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수학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15.03.18
  • Accepted : 2015.05.20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rgeting 5th and 6th grades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based on the results, examine the implications that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ha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order to solve the study problems, 5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40) and 6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39) who had passed the selection criteria of D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nd had been receiving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were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alth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it statistically had some differences in avera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Second, although mathematical self-efficac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it statistically had some differences in avera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Third, in the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5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an 6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i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athematical tasks', a sub-level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the openness of learning', 'the initiative of learn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sub-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o that it could be meaningfully used as a teaching method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t educational sites of independent study project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영재들을 대상으로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영재 교육에서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이 가지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 D광역시 소재 D교육대학부설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초등수학영재선발 기준에 통과하여 현재 이 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5학년 초등수학 영재 40명, 6학년 초등수학영재 39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에서 어느 정도 향상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에서 어느 정도 향상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측면에서 6학년 초등수학영재들보다 5학년 초등수학영재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수준인 '수학과제 난이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수준인 '학습 개방성', '학습의 솔선수범성', '학습 책임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을 처음 접하는 초등수학영재들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조심스럽게 추론해 본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은 초등수학영재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이 일선 현장에서 영재교육교수법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지선 (1999).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3.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교육부.
  4. 김경아 (2010).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흥미 및 태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욱 (2013).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동관, 류성림 (2014).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서술형 평가를 통한 수학적 추론 능력 및 오류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123-148.
  7. 김미숙, 서혜애, 이해연 (2005). 영재교육 강화 사업성과 지표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
  8. 김영남 (2002). 구체적 조작 도형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해결력,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홍원 (1997).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2, 검사 제작 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김희정 (2003). 초등 수학과 프로젝트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승인, 류성림, 백선수 (2008). 주 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수학학습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형 과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1), 79-103.
  12. 류성림 (2009). 수학 영재의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에 나타난 내용 유형에 관한 연구. 과학.수학교육연구, 32, 123-147.
  13. 류신영 (2007). 프로젝트를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하진 (2011).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수진 (2010). 초등학생의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차이.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민지 (2013). 프로젝트 기반 초등 수학 수업의 효과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 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우광식 (2005). 초등학교 수학 영재 교육에 대한 사례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동조 (1999). 개별화 열린 수업이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 특성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22. 이정화 (2012).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종욱 (2000).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확산적 사고 발달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진기 (2008).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총체적 언어학습을 기반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임근광 (2009). 수학영재학생들의 독립연구 절차와 교사의 역할.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임해미 (2007).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전보영 (2012). 초등수학영재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독립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승용 (2012).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수학불안의 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주용, 박성선 (2014). GSP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도형의 대칭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59-474.
  30. 하성태 (2010). 초등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교 태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31. 한순미 (2005). 지식사회에서 영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4(1), 85-104.
  32. 한정숙 (2007). 독자적 연구 프로그램. 경상북도 교육청.
  3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35. Bandura, A., Adams, N. E., Hardy, A. B., & Howells, G. N. (1980). Test of generality of self-efficacy theor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 39-66. https://doi.org/10.1007/BF01173354
  36. Betts, G. T. (1985). The autonomous learner model for gifted and talented. Greeley, CO: ALPS.
  37. Betz, N. E., & Hackett, G. (1983).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the selection of science-based college maj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3, 329-345.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46-5
  38.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6467A.
  39. Hackett, G. & Betz, N. E. (1989). An exploration of the mathematics self-efficacy/mathematics performance corresponde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3), 261-273. https://doi.org/10.2307/749515
  40.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Association Press.
  41. Long, H. B. (1987). Item analysis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6(4), 331-336. https://doi.org/10.1080/0260137870060406
  42.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pp. 111-141).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43. Schunk, D. H. (1984).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ist, 19, 48-58. https://doi.org/10.1080/00461528409529281
  44. Tough, A. (1979). The adult's learning project: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4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