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on Perceived Usabilit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t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지각된 유용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Yu, Byeong Min (Educational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 Park, Hye Jin (Faculty Fundamental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 박혜진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 Received : 2015.11.16
  • Accepted : 2015.12.13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elf-efficacy(${\beta}=.14$, p=.000), perceived usefulness(${\beta}=.52$, p=.000) and social support(${\beta}=.31$, p=.00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second, perceived usefulness(${\beta}=.52$) was found on the most influential of the three variables. Finally, when students perform studies related to agro-industry can be called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also The real working environment for the agro-industrial field placement, explore the world of work, ways of understanding reality based on what they learned at school such as university-industry linkage will also be established.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식, 김정겸, & 정회인. (2011).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7(1), 133-150.
  2. 강선영. (1996). 아이덴티티(Identity) 발달 수준과 진로 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태용. (2008).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단희. (2002).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수리. (2004).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용재. (2014).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경로 및 진로결정 행동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의철, &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들의 심리 행동 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8. 김지혜. (2005).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충기. (1988).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도 대책. 성곡논총 , 19, 57-113.
  10. 김혜정. (2014). 대학생들의 부모애착, 진로성숙도, 자아존중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희수, 홍성훈, & 윤은종. (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 16(2), 37-65.
  12. 박민기, 박성열, & 차승봉.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23-46.
  13. 박성실. (2012).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성열, 최승철, 차승봉, 김재선, & 송민영. (2011). 기 술수용모델(TAM)을 이용한 농업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도 분석과 향상 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38(3), 475-502.
  15. 박아청. (2007).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실태와 이를 위협하는 요소. 한국교육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16.
  16. 박영신. (2007).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85-125.
  17. 박영용, & 김진모. (2006). 기업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 215-239.
  18. 박지은. (2006).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혜진, 유병민, & 차승봉. (2015).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실재감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2(3), 321-332.
  20. 백부천. (2013).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e-러닝 리터러시, e-러닝 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방해요소가 e-러닝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신소영, & 권선영. (2014).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4(7), 167-185.
  22. 신선임, & 김계현. (2012). 진로결정과정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검증: 예언변인과의 비교를 통하여. 상담학연구 , 13(4), 1663-1677.
  23. 오선영. (2012). 청소년의 내적.외적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오선옥. (2001). 초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유소연. (1993). 자신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유수복. (2013).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윤광현. (2013). 특성화고등학생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 감의 조절효과: 대구.경북지역 특성화고생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7(4), 19-39.
  28. 윤미경. (1997).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간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학식, & 임지훈. (2008). SPSS 14.0 매뉴얼 . 서울: 법문사.
  30. 조명실. (2007).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조명실, & 최경숙. (2007).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 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 8(3), 1085- 1099.
  32. 주석진. (2013). 청소년의 직업가치가 진로성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 모형을 적용하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천성수. (2012). 사회적 지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충청남도지역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최용성, & 최광성. (2000). 사회적 지원 효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관한 일 연구. 사회문제 , 6(2), 1-14.
  35. 최은영. (2011).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 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6. 한수현. (2003).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 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홍현경. (2012). 자기 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현정환. (1993).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동향과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 12(1), 81-97.
  3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0.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41. Betz, N. E. (1992). Career assessment: A review of critical issues.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453-484). New York: John Wiley.
  42.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 179-189.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4.x
  4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4. Ginzberg, E., Ginsburg, S. W., Axelrad, S., & Herma, J. L. (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5.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p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a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46.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UK: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47. Dati, I., & Levin, N. (2014). Counseling for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Measures and method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2(2), 98-113. https://doi.org/10.1002/j.2161-0045.2014.00073.x
  48. Kelly, K. R., & Lee, W. C. (2002). Mapping the domain of career decision problem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1, 302-326.
  49. Lin, N., Ensel, W. M., Simeone, R. S., & Kuo, W. (1979). Social support, stressful life and illness: A model and an empirical test. Journal of Heath and Social Behavior, 28, 108-119.
  50. Park, S. Y. (2009). An 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understanding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3), 150-162.
  51. Krumboltz, J. D. (1982). Behaviors associated with good and poor outcomes in a stimulated career 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1(3), 349-358. https://doi.org/10.1016/0001-8791(82)90042-2
  52. Rogers, M. E., Creed, P. A., & Creed, A. I. (2008). The role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3, 132-142. https://doi.org/10.1016/j.jvb.2008.02.002
  53. Thoist, P. A. (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and Person Control.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145-159.
  54. Tolbert, E. L.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
  55.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56. Vealey, R. S. (1986).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21-246. https://doi.org/10.1123/jsp.8.3.221
  57. Wood, R. E., Mento, A. J., & Locke, E. A. (1987). Task complexity as a moderator of goal effects: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 416-425. https://doi.org/10.1037/0021-9010.72.3.416
  58. Weiss, R. S. (1974). The provisions of social relationships. In I. Rubin (Eds.), Doing unto other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9. Zhou, J. (2015). Core self-evalu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mediation model of value orienta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6, 450-454. https://doi.org/10.1016/j.paid.2015.07.012

Cited by

  1. Agricultural High School & College Students’ Intention of Career Selection in Agri-industrial Sector, and its related Variables vol.49, pp.2, 2015, https://doi.org/10.23840/agehrd.2017.4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