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진로코칭 모형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of Hybrid Career Coaching Model and Effect Analysis

  • 투고 : 2015.10.01
  • 심사 : 2015.11.22
  • 발행 : 2015.11.30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진로 상담 분야에서 직접 코치와 학습자가 만나서 확인하고 상담하는 면대면 코칭과 인터넷을 통해 코치와 학습자가 상담하는 E-코칭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진로코칭 모형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하이브리드 진로코칭에서는 프로파일, 적성 검사 등 인터넷 상에서 원격 접속하여 수행 가능하고 데이터 저장이 필요한 것은 E-코칭으로 처리하고, 점검, 상담 및 성찰 등 학생의 상황을 파악하고 대화가 필요한 부분은 면대면으로 설계하였다. 제안한 하이브리드 진로코칭 모형은 진로코칭 안내, 자기이해, 진로의사결정, 진로실행계획 수립, 실행계획 및 실행의지 점검, 실행결과 점검 6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하이브리드 진로코칭 모형을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진로개발을 위한 인지적, 행동적 행동변화를 촉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졌으며, 코칭을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 분석과 실행 전략이 중요성 및 학습법과 자기조절능력 등을 획득하였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진로코칭 모형은 진로지도가 강화되는 대학에서 교수의 진로지도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develops the hybrid career coaching model combined the face to face and the E-coaching, and applies students of childhood education for career guidance. The presented hybrid career coaching manages a profile and state information and a remote access between the coach and coachee on Internet. Then, online part of hybrid coaching deals with saving the data, and understand of the situation of the coachee if it is necessary. And face to face part of hybrid coaching have a conversation, the checking, counsel and introspection if the coach needs. Presented hybrid career coaching model has th procedure of 6 steps such like career coaching guidance, self-understanding, career decision-making, establishment of the career execution planning, execution plan and action will inspection and execution result inspection. Proposed hybrid career coaching is possible to understand coachee's current state on the career map,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execution strategy and maximiz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self-regulation capa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장서영, 정연순, 조아름, 이종범 (2004). 대학 교수용 학생 진로지도가이드 개발. 한국고용 정보원.
  2. 김은주 (2008). 한국대학생 진로준비유형검사의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1), 311-333.
  4. 조정진 (2013). 대학생 코칭 프로그램 운영 효과 분석과 활성화 방향 모색- 3개 대학 4개 사례를 중심으로-. 코칭능력개발지. 15(3), 235-246.
  5. Ives, Y. (2008). What is 'coaching'? an exploration of conflicting paradigms.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Coaching and Mentoring, 6(2), 100-113.
  6. Ribbers, A. & Waringa, A. (2015). E-coaching-theory and practice for a new online approach to coaching-. NY : Routledge.
  7. Ghods, N., & Boyce. C. (2013). Virtual coaching and mentoring. In J. Passmore, D. B. Peterson, T. Freire (Eds),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coaching and mentoring(pp. 501-523). UK : John Wiley & Sons, Ltd.
  8. 박윤희 (2014). 학습이론에 근거한 커리어코 칭-학습 모델 분석. 코칭능력개발지. 16(3), 191-203
  9. Cox, E. (2006). An adult learning approach to coaching. In D. Stober, and A. M. Grant, (Eds), Evidence-based coaching handbook.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10. Alexander, G. (2010). Behavioral coaching-the GROW model. In J. Passmore(2th Eds), Excellence in coaching : the industry guide. London : Koran Page.
  11. Whitmore, J. (2007). Coaching for performance. Boston, MA : Nicholas Brealey Publishing.
  12.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 Prentice-Hall.
  13. Mezirow, J. (1991).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4. Hargrove, R. (2008). Masterful coaching. 3rd ed. San Fransico, CA: Jossey-Bass.
  15.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1982).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6.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8. 이명숙 (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전주대학교 국제상담 대학원, 전주.
  19.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 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3(2), 47-70.
  20. Ribbers, A, & Waringa A. (2015). E-coaching: theory and practice for a new online approach to coaching. NY :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