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Systems Archytypes of the Resilience for the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요소와 인과순환적 원형구조에 관한 연구

  • 최남희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Received : 2015.11.30
  • Accepted : 2015.12.30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w paradigm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 theory of Resilience. Resilience can be defined in terms of a set of interacted capacities to absorb and adapted to different kinds of shocks and disturbance at the regional level. This study focuses particularly on the interaction of component of resilience with the context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s a result of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about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resilience components and regional problems, this study find that there are many feedback structures which is ne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regional resilient development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chytypes of resilience-focused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which could help achieve an evolution for regional community and people to adapt and bounce back from crisis.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 (2014).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자연재해로부터 커뮤니티 회복탄력성 개념의 재정립". GRI 연구논총 제16권 1호: 321-341.
  2. 강수영. (2015). "회복력(Resilience) 요인에 따른 사회생태계의 재난복구과정 구현".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129-133.
  3. 김동환. (2004). 시스템 사고. 선학사.
  4. 김묵한. (2014). "회복탄력성 도시". 세계와 도시 제7호: 82-86.
  5. 김재홍. (2014). "정부 3.0 시대의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국토 1월호, 통권 387호: 52-58.
  6. 김현주. (2012). 지역사회 방재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7. 김현호.이소영.오은주.이원섭. (2010).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한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마이클 루이스.팻 코너티(저), 미래가치와 리질리언스 포럼(역).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12가지 이야기. 따비.
  9. 맹태훈. (2015). "위기의 계룡시, 인구 4만명 '붕괴'". 시사충청. 8월13일자.
  10. 방설아.신유승. (2015). Goal 11 - 회복력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거주지 조성. 연구보고서, 217-238.
  11. 변창욱. (2015). "지역경제 회복력의 개념과 정책방향". 국토, 2월호, 통권 400호: 11-16.
  12. 서지영.조규진. (2014).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과 이슈". STEPI Insight 제147호: 1-32.
  13. 서지영. (2015). "회복력의 구성요소와 실행방향". 국토 2월호, 통권 400호: 6-10.
  14. 세계일보. (2013). "농촌인구 유출.고령화... 고향 마을이 사라진다". 9월23일자.
  15. 세계일보. (2015). "[사설] 가뭄 이겨낼 근본적인 물관리 대책 세워야". 10월 7일자.
  16. 연합뉴스. (2014). "지역개발 주도권 중앙서 지방으로...패러다임 바뀐다". 3월12일자.
  17. 영양군. (2013). 2013. 영양군 통계연보.
  18. 오은열.변혜선.채성주.이미홍.김태병.장철순. (2015). "지역개발제도의 통합과 의미". 도시정보 통권 제399호(2015-06): 4-15.
  19. 유현숙 외. (2009).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 구축: 복원력과 사회적 자본. 정지범.이재열(편). 서울: 법문사.
  20. 월간중앙. (2014). "주민소득 전국 1위 '조선(造船) 도시'의 비명소리 - 수만 명 잘린다는데...불황공포 거제를 덮치다". 12월호. 11월30일자.
  21. 이양수. (2009). "참여정부와 신정부의 지역개발정책 평가와 전망".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4호: 25-46.
  22. 이용균. (2014).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개발의 방향". 한국지리학회지, 3(2), 147-157.
  23. 장원봉. (2015).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의미와 역할". 국토 11월호, 통권 409호: 5-11.
  24. 전대욱. (2013). "시스템의 회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4권 2호: 5-30.
  25. 전대욱.전진형. (2014).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과 생태관광의 회복력 (resilience)에 대한 시스템 사고".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5권3호: 61-79.
  26. 전대욱. (2015a). "지역공동 회복력 (Community Resilience)의 개념과 적용방안". 국토 2월호, 통권400호: 34-39.
  27. 전대욱. (2015b). "회복력(resilience) 이론의 경제적 적용". 2015년도 제4차 지역정책포럼(지역회복력(resilience) 및 위기관리 관점에서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발표자료. 한국지역정책학회: 1-25.
  28. 정지범.이재열.김은성 외 4인. (2009).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 구축.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위험.안전관리 연구총서, 09-34-04. 파주: 법문사.
  29. 조한종. (2015). "금강산 관광 중단 7년, 지역경제 시간 갈수록 피폐...가정 붕괴되는 현실에 눈물...정부가 나서 희망불씨 지펴야". 서울신문. 7월7일자.
  30. 최병호. (2014). "예산 늘었지만 비전은 실종..지역개발 계획 논란". 뉴스토마토. 12월2일자.
  31. 최남희.이종근.김근세.이명석. (2014). "우리나라 군지역의 고령화 위기와 동태성의 인과순환적 구조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5권 1호: 75-96.
  32. 하수정.남기찬.민성희.전성제.박종순. (20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3. 하수정. (2015).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한국지역정책학회 2015년도 제4차 지역정책 포럼, 27-45.
  34. 행정자치부. (2015). 주민등록 인구통계. 11월.
  35. 허재완. (2015). "새로운 지역개발제도". 도시정보 6월호(No. 399): 2-3.
  36. MBC 뉴스. (2015). "'수도권 젖줄' 소양강댐.충주댐 가뭄 비상". 뉴스. 11월 4일자.
  37. Springe. (2013). Resilience in Ecology and Urban Design Linking Theory and Practice for Sustainable Cities. Springer. 4-15.
  38. Bonstrom, H., & Corotis, R. B. (2014). First-order reliability approach to quantify and improve building portfolio resilienc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C4014001.
  39. Bristow, G.(2010). Resilient regions: re-'place'ing regional competitivenes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no. 3(1): 153-167. https://doi.org/10.1093/cjres/rsp030
  40. CARRI.(2011). Community Resilience System Initiative(CRSI) Final Report. A CARRI Report.
  41. CARRI.(2013). Definitions of Community Resilience: An Analysis. A CARRI Report.
  42. Dawley, S., Pike, A., & Tomaney, J. (2010). Towards the resilient region?. Local Economy, 25(8), 650-667. https://doi.org/10.1080/02690942.2010.533424
  43. Grosvenor. (2014). Resilient cities: a Grosvenor research report. (http://www.grosvenor.com, 2015년 10월31일 확인)
  44. Holling, C. (1973).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4: 1-23. https://doi.org/10.1146/annurev.es.04.110173.000245
  45. Pinto, H. (Ed.). (2015). Resilient Territories: Innovation and Creativity for New Modes of Regional Developmen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6. Leanne Seeliger, Ivan Turok.(2013). Towards Sustainable Cities: Extending Resilience with Insights from Vulnerability and Transition Theory. Sustainability, 5, 2108-2128. https://doi.org/10.3390/su5052108
  47. Martin, R. (2012).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hysteresis and recessionary shoc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no. 12(1): 1-32. https://doi.org/10.1093/jeg/lbr019
  48. O'Rourke, T. (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The Bridge, no.37(1): 22-29.
  49. Perloff, H. S. (1963). How a region grows.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50. Silva, D.J., B. Morera. (2014). City Resilience Index: City Resilience Framework. London, U.K.: Ove Arup & Partners International.
  51. Seeliger, L., & Turok, I. (2013). Towards sustainable cities: extending resilience with insights from vulnerability and transition theory. Sustainability, 5(5): 2108-2128. https://doi.org/10.3390/su5052108
  52. Walker, B., D. Salt (2006). Resilience Thinking: Sustaining Ecosystems and People in a Chaing World. Washington DC, USA: Islan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