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etypical System Dynamics Modeling Approach: Constructing C-S-I model into smart work system

  • 김동환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 이은규 (클리브랜드 대학교 도시 및 행정학과)
  • Received : 2015.08.31
  • Accepted : 2015.09.2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한 사회 분야에 있어서 IT 기술이 적용되는 과정을 SD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여 연구한 경험과 발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모델의 초기 단계에서 우리는 다양한 사회 분야마다 다른 SD 모델을 만들 것이냐 아니면 기본적으로 유사한 모델 구조를 취할 것이냐를 선택해야 했다. 사회 분야마다 다른 구조의 SD 모델을 만들면, 상호간의 구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기 어렵다. 하지만 상호 모델 구조를 유사하게 구축하려고 하니, 서로 다른 모델링 팀들간의 의사소통에 노력과 시간 소비가 지나치게 커져 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에도 시스템 사고의 원형적 피드백 루프에서와 같은 원형적 SD 모델을 만들고, 이를 사회 각 분야에 적용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하였다. 먼저 최근 IT 기술 발전을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요소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기기, 사물 인터넷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상호 관계성을 표현하는 SD 모델을 만들었다. 이를 원형(archetype)으로 하여, 교육, 의료, 원격 근무 등 사회 각 분야의 IT 확산 과정에 적용하여 모델링을 하고 시뮬레이션을 하여 상호 비교하면서 정책 시사점을 논의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원격 근무(smart work)에 관한 적용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SD 모델링에 있어서 원형적 접근 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hristopher Barnatt. (2010). "A Brief Guide to Cloud Computing", Constable & Robinson Ltd.
  2. Doa-Hoon Kim, Tae-Hoon Moon, Dong-Hwan Kim, 1999, System Dynamics, Daeyoung Moonhwasa, Seoul, Korea.
  3. Eric Wolstenholme. (2004). "Using Generic System Archetypes to Support Thinking and Modeling", System Dynamics Review vol. 20, no. 4, pp.341-356 https://doi.org/10.1002/sdr.302
  4. John D. Sterman. (2000). "Business Dynamics, Systems Thinking and Modeling for a Complex World". MacGraw-Hill Companies, Inc.
  5. Joseph M. Deluca, Fache, and Rebecca Enmark. (2000). "E-Health: The Changing Model of Healthcare", Frontiers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vol.17, no.1, pp.3-15
  6. Meadows, D. H. (1980). "The Unavoidable A Priori", In Jorgen R. (ed.). Elements of the System Dynamics Method. Massachusetts. The MIT Press, pp.31-36
  7. Richard E. Klosterman. (1990). "Community Analysis and Planning Techniqu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