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의 여가활동 특성 및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The Study on Leisure Activities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Analysis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Happiness Level in Middle Classes. : Based on 2012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 박민정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Bark, Min jeng (Dep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hildren, Daejeon University)
  • 투고 : 2015.06.30
  • 심사 : 2015.08.24
  • 발행 : 2015.08.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levels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middle-class and to find way to incorporate them into policy. In this study, a status analysis on leisure life and One-Way ANOVA conduct a study on leisure resource and income levels that affect the happiness level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To recap briefly, to reduce the social and cultural polarization caused by economic disparity and to promote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is possible quantitative-qualitative growth and maturation of middle class. The most important thing here is increasing in leisure time and leisure costs that consumed in real leisure life. In other words,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s in the middle class has se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ending on whether and how much to spend on leisure time and cost, rather than differences of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More particularly, analysis results seem to hoping of the extra leisure costs about 50,000 won per person and increasing the leisure time on weekdays and long weekend holiday.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redefine the middle class that meets the recognition of the people and it should reflect government policy. Ultimately, The state of the socio-economic-welfare policies will be further expanded in the direction for the middle class, thinking of themselves as middle class and leading national conscious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향신문(2013). 한국인 유급휴가 일수 연평균 10일로 최저. 2013. 12. 11. http://news.donga.com/3/all/20140903/66182517/1#.
  2. 김맹선.이문주(2005). 전업주부의 여가형태에 따른 만족도 연구, 소비문화 연구, 8(3), 63-76.
  3. 김상조 (2014). 국세청의 통합소득 자료를 이용한 소득분배 및 실효세율 추이 분석. 서울: 경제개혁연구소
  4. 김승현 (2013).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여가정체성 및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영태 (2006). 중산층의 투표행태: 1992년-2002년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역할과 사회발전 제2차 포럼, 58-75.
  6. 김외숙 (1997). 도시기혼여성의 여가선호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79-88.
  7. 김정욱 (1996). 가족생활주기와 여가활동 참여의 관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종환 (1995). 생애주기에 따른 대도시 주민의 여가활동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현수 (1996). 도시 중산층의 여가양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동아일보 (2014). 국가대혁신, '골든타임. 2014. 09. 03.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312111149451&code=920401&med=khan.
  11. 문숙재.윤소영.차경욱.천혜정 (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신정
  12. 박광주 (1985). 국가론을 통한 한국정치의 패러다임 모색 : 최근의 연구동향과 그 반성, 한국인문사회과학원, 9(2). 30-78.
  13. 박민정.윤소영 (2013). 근로자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여가자원 이용 및 여가활동 비교분석 :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9-37.
  14. 박민정.윤소영 (2013).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25-138.
  15. 박성연.이기영 (2007).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 만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137-154.
  16. 신인수 (2005). 가족여가 증진을 위한 가족공원 개념화 및 실행방안 연구 : 하남시 미사리 조정경기장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혁제 (2009). 중산층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계숙.김수화.임정현.최혜림.채희화(2011). 가족여가활동.가족식사활동 빈도와 가족친밀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99-116.
  19. 윤소영 (2006).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6(1), 187-202.
  20. 이기숙 (1995).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 한국가족학 연구회. 대한 어머니회 중앙연합회 제2회 심포지엄 자료집.
  21. 이두희.박미석 (1998). 여가와 삶의 질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국소비자학회, 9(4), 101-116.
  22. 이연숙.김외숙.이기영.조희금.이승미.김하늬.한영선 (2012).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99-227.
  23. 이우람 (2013). 결혼적령기 전-후 미혼여성들의 여가권태 및 여가시간과 여가활동 유형의 영향요인: 평균초혼연령을 기준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윤정 (2003). 노인 여가의 기능과 여가자원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117-130.
  25. 이정우 (1997). 중년기 기혼여성의 여가태도와 여가행동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79-95.
  26. 이정우.이윤미 (1999). 신세대 기혼여성의 여가시설선호 및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2), 1-16.
  27. 이정우.장병욱 (2001). 도시주부의 정보이용도와 여가자원에 따른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5(2), 29-44.
  28. 이준협 (2014). 당신은 중산층 입니까. 서울: 현대경제연구소.
  29. 이지혜 (201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여가활성화를 위한 관련 변인 고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이해욱 (2010), 노인의 행복한 여가생활을 위한 네트워크형 노인여가복지시설 공급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집, 2010(1), 17-25.
  31. 장연주.이기영.최현자 (2012). 여가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 성별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95-211.
  32. 조동기 (2006).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 29(3), 89-109.
  33. 조명희 (2006). 노년기 여가활동: 노년기 여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6(1), 163-183.
  34. 조민구 (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요인의 실증적 연구. 한국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조택구.최진이 (2008). 각국의 여가정책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여가학회, 9(2), 61-91.
  36. 지영숙.이태진.김선미.전희정.최보아 (1999). 가족여가의 생활적 의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3(1), 83-94.
  37. 진명훈 (2007). 중년기 남성의 여가활동유형과 인구사회학적특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차승은 (2013). 중고령 남성의 시간-소득자원 확보와 건강증진행동의 관련성 : 가용이론의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73-194.
  39. 채현미.이연숙 (2003). 초등학교 아동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인식: 아동과 어머니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59-79.
  40. 천혜정 (2004).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여가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8(2), 1-13.
  41. 홍두승 (2005). 한국의 중산층.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2. 홍두승.김병조 (2006), 한국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역할과 사회발전 제1차 포럼, 2-17.
  43. 홍성희 (2006). 노인의 삶과 여가, 그리고 노인여가정책의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집, 2006(1), 221-222.
  44. 홍성희.곽인승 (2012).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69-92.
  45.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 Russell Sage Foundation.
  46.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47. Kelly, J. R.(1983). Leisure identity and interactions. London: George Allen & Unwin.
  48. Lansing, J. B. & Kish, L.(1957). Family Life cyc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merican Socialogical Reveiw 22(5/2-5/9) Oct.
  49. OECD (2014). 'remains at historically high levels Insights from the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SOCX)' http://www.oecd.org/els/soc/OECD2014-Social-Expenditure-Update-Nov2014-8pages.pdf
  50. Rapoppt, R & R. N(1975. Rapopport.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L Routledge and Kegan.
  51. Shaw, S. M.(1999). Propositive leisure : Examining parental discourse on family activities. In W. Stwart & D. Sandahi(Eds.), Abstracts from the 1999 Symposium on Leisure Research(p.7). Ashburn, VA : National Park and Recreation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