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별 에너지성능 비교 분석

  • 김길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전주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선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5.08.18
  • Accepted : 2015.10.27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analyses of energy performance in apartment houses adopted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ventilation. As the object of energy simulation, the three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rea of $84m^2$ was selected in apartment house. As a result, when the ECO2 simulation was performed, the 1st requirement quantity per annual were $159.9kWh/m^2yr$(CASE1, Natural Ventilation), $179.7kWh/m^2yr$(CASE2,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161.0kWh/m^2yr$(CASE3, Heat Recovery Ventilation).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환기장치를 선정하고 환기장치의 에너지특성 분석과 에너지저감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ECO2)을 이용하여 환기장치 별 에너지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환기장치 별 에너지 효율등급평가 기준에 따른 소비량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단지별 에너지소비량과 비교 검토 결과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공동주택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장치별 에너지 소비량 실태를 파악하였다. 중부지방의 84type, 한 개동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자연환기장치의 등급용 1차에너지소요량 값은 $159.9kWh/m^2yr$, 전열교환환기장치 $161kWh/m^2yr$, 바닥환기장치 $179.7kWh/m^2yr$로 계산 되었다. 위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동주택의 실제 현장자료로 검증하였으며, 환기장치별 에너지소요량에 대한 비율로 비교해본 결과, 전열교환환기방식이 자연환기방식에 비해 -1~6% 적은 값을 보였으며, 바닥배관환기방식이 자연환기방식에 비해 약 10~20% 더 많은 1차에너지소요량이 나타났다. 환기장치의 팬동력과 열회수효율에 따라 에너지소요량의 난방과 환기 값이 변화하며, 향후 기계환기장치의 효율화 및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13),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에 관한 규칙.
  2. 이은혜 등(2013), "주거공간 내 IT기술 적용 에너지 저감 창호형 환기기스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2): 61-68.
  3. 이창근(2009),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적용사례", 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38(9): 35-40.
  4. 전지운(2013), ECO2를 활용한 업무용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조현, 이명준, 방승기(2010), "실별 환기시스템 적용에 따른 공동주택에너지소비량 및 환기성능 예측",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 525-526.
  6. 홍승훈, 노상태(2011), "공동주택 하이브리드 환기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해석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7. LH 전문시방서(2012).
  8.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