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Methods of Forming the Fandoms of the Theatre - Centered on the Comparisons between K-POP and the Theatre

연극의 팬덤 형성 방법 연구 K-POP과 연극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이경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융합예술학과)
  • Received : 2015.10.29
  • Accepted : 2015.11.2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the methodologies for forming the fandoms of the Theatre. For the research, I explain by giving the example of the K-POP, of which the fandom has already been spread. Afterwards, I describe about the items which can substitute the plays and about the limits. By escaping from the passive consumptions, the fandoms have been expanded to the domain in which the culture is reborn.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fandoms have come out of simply liking the fans, and the domain has been widened to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case of the K-POP, it has gone beyond Korea and has the fandoms in the whole world. Regarding the reasons why the fandoms could be formed in relation to the K-POP, firstly, it is because the project-type stars made by the large-scale agency had existed. Secondly, it is because the methods of accessing the contents had become simple through the online proliferation, such as the YouTube and the SNS's. Lastly, it is because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fandoms give the joys, thereby continually maintaining the fandoms. If this is substituted for the Theatre, in the case of the Theatre, in order for the large-scale agencies to make the plans for and train the actors and the actresses, there are, somewhat, the excesses. However, if a PR method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is developed and if the common joy is given to the audience of the Theatre,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fandoms can be invigorated regarding the Theatre. Although, with regard to the K-POP and the Theatre, there exi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if the methodologies of the K-POP fandoms, which have invigorated the fandoms and have been managing stably, are substituted for the plays, the invigoration of the fandoms is possible regarding the Theatre, too.

본 논문은 연극에서의 팬덤 형성 방법론을 모색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를 위해 이미 팬덤이 확산된 K-POP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후에 연극에 대입 가능한 항목과 한계점에 관해 기술한다. 팬덤은 수동적인 소비에서 벗어나 문화를 재탄생하는 영역까지 확장되었다. 팬덤의 문화 활동은 단순히 팬을 좋아하는 것을 벗어나 사회활동까지도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K-POP의 경우 한국을 넘어서 전 세계까지 팬덤을 가지고 있다. K-POP에서 팬덤이 형성될 수 있었던 이유는 첫 번째로 대형 기획사에 의한 기획형 스타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유투브(youtube)와 SNS 같은 온라인 확산으로 콘텐츠 접근방식의 간편화를 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팬덤의 문화 활동이 즐거움을 주어 팬덤을 유지, 지속시키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분석 되었다. 이를 연극에 대입해 보면 연극의 경우 대형기획사에서 배우를 기획하여 양성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홍보방식을 개발하고 연극 관객에게 공통의 즐거움을 준다면 연극에서도 팬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K-POP과 연극은 콘텐츠 상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팬덤이 활성화 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K-POP 팬덤의 방법론 중 온라인 홍보방식의 채택과 공유할 수 있는 문화를 제시하는 방법을 연극에 대입한다면 연극에서도 팬덤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스-티즈 레만, 김기란 옮김,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대미학사, 1991.
  2. 강진숙, 팬덤(Fandom)문화의 생산과 아비투스 : - 한국 록키호러픽쳐쇼 팬클럽 <더블 피쳐스> 의 생산활동 분석 -, 言論硏究 Vol.7 No.1, 1998, pp.91-105.
  3. 김용석, 팬클럽에서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연구 - '소녀시대' 팬클럽을 중심으로, 시민청소년학연구, 제 2권, 제1호, 2011, pp.101-138.
  4. 김은미, 권경은,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 49(2), 2012, pp.74-114.
  5. 김형호, 팬덤의 개념과 선행연구 검토, 정보문화포럼 제6회 세미나자료, 2012.
  6. 배 영, 문화 콘텐츠 유형별 소비패턴과 소셜미디어의 역할, 정보와 사회.15(2), 2014, pp.33-65.
  7. 서민수, 연극 공연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관람 문화 실태 조사, 문화정책논총 24, 2010, pp.63-194.
  8. 손승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 2PM 팬포럼 Wild2Day 회원 인터뷰의 근거이론적 분석, 미디어. 젠더&문화, 25호, 2013, pp.73-181.
  9. 송정은, 장원호,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홍콩의 10-20대 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13, pp.156-169
  10. 심두보, 노광우, 유투브와 소녀시대 팬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2012, pp.125-13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125
  11. 임성준, K-POP의 글로벌 경쟁력과 성공요인, 한국경영학회, Korea Business Review17(2), 2013, pp.323-346.
  12. 조인희, 윤여광, 한류문화에 영향을 미친 Youtube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가수 싸이(PSY) 신드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2), 2013, pp.9-18.
  13. 조흥미, 안병곤, 오타쿠에 관한 시대별 특징 연구, 일본문화연구 Vol 42, 2012, pp.513-531.
  14. 백현주, 팬덤을 통한 하위문화 자본 축적과 활용 - 아이돌그룹의 팬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pp.200-205.
  15. 신동석, 남성집, 남명현, K-POP의 세계시장 진출 성공요인 분석: VRIO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4, pp.167-176.
  16. 소연수, "해외소비자의 K-POP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 동남아, 구미주 3개 시장의 차이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12.
  17. 차윤미, "한국 뮤지컬로 바라본 대중문화 속 팬덤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4.
  18. 최수용, "스타마케팅이 뮤지컬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석사논문, 2009.
  19. Stacy Wolf, Wicked divas, musical theater, and Internet girl fans, Camer Obscura 65, 2007, pp.39-71.
  20. SETH KOOZEL SOULSTEIN, "Macbeth as Avatar: fandom in British Romantic theatre audiences",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aster of Art, 2012, pp.42-59.
  21. Scott Duchesne, Stardom/Fandom: Celebrity and Fan Tribute Performance, Canadian Theatre Review, Issue 141, 2010, pp.21-27.
  22. http://blog.naver.com/foolhun3/220309347260, 검색어: 박정자 꽃봉지회
  23. http://star.mbn.co.kr/view.php?no=524277&year=2015&refer=portal, 검색어: 연극 팬덤
  24. http://www.playdb.co.kr/playdb/PlaydbDetail.asp?sReqPlayNo=69604, 검색어: 리타
  25.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415&contents_id=80276, 검색어: 리타
  26. http://news.visualdive.co.kr/2014/12/2014%EB%85%84-%EB%AC%B8%ED%99%94%EC%98%88%EC%88%A0-%EA%B4%80%EB%9E%8C%EB%A5%A0-71-3-%EB%AC%B8%ED%99%94%ED%96%A5%EC%9C%A0-%EC%8B%9C%EA%B0%84-%EC%A6%9D%EA%B0%80-%EC%9D%B8%ED%8F%AC%EA%B7%B8%EB%9E%98/ 검색어: 문화예술관람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