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rehensive Equity Implications of a Carbon Pricing Policy in South Korea: Based on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 Output Analysis Together with Household Expenditure Data

탄소가격정책의 분배적 함의: 가계동향조사자료와 환경산업연관분석 (EEIO)을 이용해

  • Kim, Hana (Institute for Legal Studies, Yonsei University)
  • 김하나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Received : 2015.03.06
  • Accepted : 2015.06.1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 cap-and-trade program accounting for 60 percent of total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s was launched in South Korea in 2015. Academic literature expects that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policy is likely to adversely impact income distribution among various socioeconomic groups in developed countries. South Korea is challenged by equity issues, as well circumstances,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carbon pricing policies need to be examined and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program prior to implementation in order not to exacerbate social inequity. Using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analysis together with household expenditure data, this study finds that a carbon pricing policy will be regressive in South Korea, but the extent depends on whether relative burdens of a carbon pricing policy are measured based on current incomes or proxies of permanent incomes. Along with poor households, this paper finds that elderly and urban households will be more adversely impacted in South Korea. These burdens can be relieved if a small fraction of the revenue is redistributed to households.

한국은 2015년부터 총 국가배출량의 60%를 차지하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다. 선진국에서 탄소가격 정책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구성 집단 사이의 소득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현재 한국 사회는 분배적인 문제뿐 아니라,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대응, 경제 성장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탄소가격정책이 소득 분배적인 측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계동향조사자료와 환경투입산출분석(EEIO)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저소득 가구, 노인가구와 도시가구가 탄소가격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담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수의 일부가 가구에 재분배 될 경우 이러한 부담은 경감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