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Core Competence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Received : 2015.11.02
  • Accepted : 2015.12.3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perception of core competence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e hundred fourteen element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math and sc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IPA matrix. As the result,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perception of core competence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Secondly, core competencies of 'understanding knowledge', 'research and instruction', 'passion and motivation', and 'ethics' are high in both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However, both 'communication and practices' and 'profess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re low. Thir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core competence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math and science at the competence of 'passion and motivation'. Math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passion and motivation' high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hile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its importance low and performance high. In addition, math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wed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its importance in the sub-categories; 'knowledge of gifted development', 'gifted child assessment', 'information gathering and its literacy', and 'creative answers to various questions'. However,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wed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its importance in sub-categorie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its subject', 'teaching methodology for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 behavior of the gifted', and 'counseling the gifted'.

본 연구는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영역의 영재 담당 교원 114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IPA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재교육 담당 교원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과 실행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IPA Matrix 분석을 살펴보면 핵심역량 중 지식과 이해, 연구와 교수, 열정과 동기, 윤리와 도덕의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소통과 실행, 전문성 교육과정개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역량별 차이에 있어 인지적 역량군에서는 '영재성 발달에 대한 지식', '질문에 대한 창의적 답변 능력', '교과 간 융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수능력'과 정의적 역량군에서는 '영재학생의 문제행동파악'이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과학 영역별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있는 영역은 '열정과 동기'로 수학에서는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학에서는 중요도는 낮고 실행도는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수학영역과 과학영역의 세부역량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수학영역에서는 '영재성 발달에 대한 지식'과 '학급에서의 영재아 판별 능력', '정보수집과 활용능력', '다양한 질문에 대한 창의적 답변능력'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학영역의 경우는 '해당교과에 대한 고차원적 분석과 종합능력', '해당 교과와 타 교과와의 융합 능력', '영재아에게 적합한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영재학생의 문제행동 파악'과 '상담기법을 활용한 영재 상담'이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석 (2010). IPA방법에 의한 사이버대학 운영데 대한 중도탈락자의 인식 및 재학생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개선사항의 우선순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4), 481-503.
  2. 강석주 (2003). 중등교사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교무분장표에 나타난 교사직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9(2), 59-91.
  3. 강석주 (2004). 중등학교 담임교사 역량 탐구: 일반계 고등학교 담임교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2(4), 237-264.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8년도 교원연수 운영 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5. 권혁훈 (2011).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소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115-134.
  6. 김민성 (1996). 학생들이 지각한 잘 가르치는 교사의 수업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종철, 문인원, 윤팔중, 진원중 (1988). 교사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8. 김판수 강승희 (2003).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2), 191-208.
  9. 김혜숙 (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10. 김호권 (1981). 바람직한 교사의 양성. 교육학연구, 19(3), 24-29.
  11. 김흥원, 조석희, 이윤식, 박주상(2000).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및 임용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2000-1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노명완 (2001). 중등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한국교사교육, 18(1), 45-68.
  13. 류지춘, 이신동 (2011). 영재교육 담당교원에 대한 전문가집단과 영재교육 담당교원 간의 인식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0(2), 55-78.
  14. 류지춘, 이신동 (2012). 미국, 영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한국의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임용 및 후속지원에 대한 동향과 교육적 시사. 영재와 영재교육, 11(1), 5-34.
  15. 류지춘, 이신동 (2014).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모형 개발 및 타당화. 영재와 영재교육, 13(2), 63-95.
  16.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17.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해정 (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99-320.
  18. 박종덕 (2007). 인성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초등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 초등교육연구, 20(3), 107-127.
  19.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20.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2-310.
  21. 서혜애, 박경희, Van Tassel-Baska, J. (2005).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계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성낙돈 (2008). 초등학교장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325-248.
  23. 신상명 (2007). 교장의 핵심역량 탐색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4. 안미화 (2005).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개발 척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281-306.
  25. 여상인, 변소윤 (2008). 초등과학,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37-44.
  26. 이덕로, 김태열 (2013).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1(1), 29-63.
  27. 이면우, 장병기, 박문환 (2010). 영재교육 전문지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수준.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1), 9-15.
  28. 이명숙 (2003). 교사의 전문적 지식.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초등교육연구 논총, 19(1), 395-424.
  29.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30.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31. 이윤옥, 김현철, 이정규 (2007).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질 및 교수능력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연구, 16(3), 221-233.
  32. 이인혜 (2011). 과학영재와 수학영재의 학습전략 비교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지원청 소재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영숙, 강경석 (1999).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향상 및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1-22.
  34. 정은이, 박용한 (2008). 교사창의성에 대한 암묵 이론적 접근. 교육방법연구, 20(2), 57-76
  35. 조규성, 정덕호, 박경진, 김흐진, 박선옥 (2014).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영재교육연구, 24(4), 543-559. https://doi.org/10.9722/JGTE.2014.24.4.543
  36. 주현준 (2007). 학교장 지도성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3), 85-105.
  37. 진성희, 나일주 (2009). 초등 교수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 간 교수역량 인식 비교. 초등교육연구, 22(1), 343-368
  38. 최인수 (1998).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2), 133-166.
  39. 최진영, 김경자, 장신호, 이경진 (2008). 초등교원의 핵심역량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0. 허영주 (2009).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41. 황정규 (1998). 교육심리학의 교육 현장 적용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2(1), 27-34.
  42. 한경임, 이경화, 성병창, 부재율 (2008). 교사와 부모 설문조사를 통한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핵심역량 분석.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51(4), 261-288.
  43. Barnett, J.,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https://doi.org/10.1002/sce.1017
  44. Barron, F(1969).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proces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45. Borich, G. (2000). Effective teaching methods (4th ed.), NJ: Pearson Education, Inc.
  46.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47. Driel, J.,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37::AID-TEA1001>3.0.CO;2-U
  48. Feldhusen, J. F. (1997). Educating teachers for work with talented youth.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547-552). Boston: Allyn & Bacon.
  49. Feldhusen, J. F., Moon, S. M., & Rifner, P. J. (1989).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Strengths, weaknesses, and prospects. Educational Perspectives, 26(1/2), 48-55.
  50. Gruber, H. E., & Davis, S. N. (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Plympus: The evolving 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243-2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Mackinnon, D. W. (1962).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talent. American Psychologist, 17(7), 484-495. https://doi.org/10.1037/h0046541
  5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
  53.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ume I.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4. Tuttle, F. B., & Becker, L. (1983).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G/T students, 2nd ed. Washington DC: NEA.
  55. Wallace, J., Nesbit, C., & Miller, A. (1999). Six Leadership Model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0(4), 247-268. https://doi.org/10.1023/A:1009451517934
  56. Whitelock, M. S., & DuCette, J. P. (1989). Outstanding and average teachers of the gifted: A comparative study. Gifted Child Quarterly, 33(1), 15-21. https://doi.org/10.1177/0016986289033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