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공해가스로 인한 많은 환경문제들 때문에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스테이션 설치가 많아져 전기수요가 늘고 있다[1, 2]. 그러나 전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화석연료가 점점 고갈되고 있어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은 점차 증가할 것이며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이 지금보다도 더 보편화 될 것이라 예상되지만 독립형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은 안정성, 신뢰도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전력공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력 수요에 맞게 공급이 충분해야하는 신뢰도 및 안정성이지만 신재생 에너지의 특성상 기상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독립형 신재생 에너지발전 시스템은 안정성을 만족시키는 부분에서 한계를 보인다[3]. 또한 안정성만을 고려하여 그리드로만 전력을 공급받기에도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그리드 내 전력 가격 상승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공해가스도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그리드의 전력만 사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4, 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계통연계 및 에너지 저장장치로 쓰이는 배터리 설치가 필수적이다[6]. 마이크로그리드는 보통 풍력발전기, 태양광 발전기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기원으로 이루어져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형 전원 시스템으로 소비자 근처에 설치되어 질 수 있으며 이를 계통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및 보수비용, 전력 송전 및 배전 시에 발생하는 전력손실도 줄일 수 있다. 이는 안정성, 신뢰성 또한 만족시킬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에 연결되어졌을 때 전기품질이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7, 8].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내 전력 가격과 평균 풍속에 따라 어떤 종류의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을 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지 분석하였다. 특히 일사량 및 부하사용량 리소스 값은 특정 값으로 설정하였고 평균 풍속 및 유가는 변수로 고려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변수에 따른 최적의 마이크로 그리드를 설계하였다.
2. 평균 에너지비용 및 순 현재비용
본 논문에서는 평균풍속 및 유가변동에 따른 최적 마이크로그리드 구성을 위해 평균 에너지비용(Cost Of Energy : COE) 및 순 현재비용(Net Present Cost : NPC) 값을 사용한다. COE는 평균에너지 비용을 나타내며 단위는 $/kWh 이다. NPC는 순 현재비용으로서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가치화한 것으로 설계된 마이크로그리드의 프로젝트기간 동안 발생하는 초기 설치비용, 교체비용, 유지보수 및 운영비용, 연료비 및 기타 수익을 포함하며 단위는 $ 이다. NPC는 식 (1)과 같이 CNPC로 표현하여 계산할 수 있다.
Cann.tot는 총 연간 비용(Total Annualized Cost)을 나타내고 CRF(i,n)는 자본회수계수(Capital Recovery Factor)를 나타낸다. 또한 i는 연이율(Interest Rate)을 의미하며 n(Project Time)은 대출기간 또는 프로젝트기간이다.
평균 에너지 비용 COE는 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prim는 주요 총 부하량(Total amounts of primary load) 이고, Edef는 지연 총 부하량(Total amounts of deferrable load)이다. Egird.sales는 연간 그리드에 판매한 에너지의 양 (Amounts of energy sold to the grid)을 나타낸다.
3.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최적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기위해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배터리, 컨버터, 인버터 등의 설비들을 사용하였다.
3.1 태양광 발전기
다음의 식 (3)은 태양광 발전기에 적용되는 식이다.
fPV는 PV 감쇠계수[%](PV derating factor)를 나타내고 YPV는 PV 어레이의 정격용량[kW](Rated capacity)을 나타낸다.또한 IT는 PV 어레이 표면의 태양복사[kW/m2] (Global solar radiation incidence on the surface of the PV array)를 나타내고 IS는 표준 일사량(Standard amount of radiation)을 나타내며 이 값은 1[kW/m2]이다.
태양광 발전의 1년당 지출비용(CAPPV)은 식 (4)와 같이 정의된다.
식 (4)에서 APPV는 태양광 발전기의 원금(Principal amount)이고 O / M Cost 는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이다. i는 연이율(Interest Rate), n (Project Time)은 대출기간 또는 프로젝트기간을 나타낸다[9].
3.2 풍력 발전기
본 논문에서는 그림 1 및 그림 2와 같은 전력곡선 특성을 갖는 Generic 3kW와 Generic 10kW 두 종류의 풍력발전기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두 발전기의 수명은 15년으로 선정하였다.
그림 1Generic 3kW 전력곡선 Fig. 1 Power Curve of Generic 3kW
그림 2Generic 10kW 전력곡선 Fig. 2 Power Curve of Generic 10kW
풍력발전기의 발전량( Pwind )은 식 (5)과 같이 계산된다.
CP는 풍력발전기의 출력계수(Power Coefficient)를 나타내고, ρ는 공기밀도(Density of Air)를 나타낸다. 또한 A는 회전자의 단면적[m2](Swept area)이고 v는 풍속[m/s] (Wind speed)이다[10].
풍력발전기의 1년당 지출비용(CAPWind)은 식 (6)과 같이 계산된다.
식 (6)에서 APWind는 태양광 발전기의 원금(Principal amount)이고 O/M Cost는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이다. i는 연이율(Interest Rate), n (Project Time)은 대출기간 또는 프로젝트기간이다.
3.3 배터리
배터리에는 부하추종 급전 방식(Load-following dispatch)과 순환충전 급전 방식(Cycle-charging dispatch)이 있다. 부하추종 급전 방식은 발전기가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전원으로 충전하는 방식이고 순환충전 급전 방식은 발전기에서 부하가 필요로 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하여 과잉 전기에너지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Battery wear cost는 다음의 식 (7)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Rep,Batt는 배터리 뱅크 교체 비용(Replacement cost of the battery bank)이고 NBatt는 배터리 뱅크의 배터리 수 (Number of batteries in the battery bank)를 나타낸다. 또한 QLifetime는 배터리의 하나의 수명(Lifetime throughput of a single battery)이고 ƞRt는 충·방전 효율(Round-trip efficiency)이다[9].
4.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 시뮬레이션
4.1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본 연구에서는 그림 3과 같이 그리드와 컨버터, 인버터, 풍력발전기, 태양광발전기 그리고 남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배터리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림 3마이크로그리드 설계 Fig. 3 Design of micro-grid configuration
4.2 마이크로그리드 리소스
일일 부하 사용량과 일사량은 그림 4, 그림 5와 같이 선정하여 입력하였다. 일사량이나 부하 사용량에 비해 풍속 및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풍속의 경우 1m/s 간격으로 3~8m/s의 값을 변수로 설정하였고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의 경우 0.1$/kWh 간격으로 0.3$/kWh~0.8$/kWh의 값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디바이스들 각각의 용량 및 개수에 따른 비용 산정은 표 1 - 표 5와 같이 산정하여 입력하였다.
그림 4월별 부하 사용량 Fig. 4 Monthly load profile
그림 5월별 일사량 및 청명도 Fig. 5 Monthly Global Horizontal Radiation and Clearness index
표 1PV 비용 산정 Table 1 Determination of Photo Voltaic Cost
표 2Generic 10kW 비용 산정 Table 2 Determination of Generic 10kW Cost
표 3Generic 3kW 비용 산정 Table 3 Determination of Generic 3kW Cost
표 4배터리 비용 산정 Table 4 Determination of Battery Cost
표 5Inverter/Converter 비용 산정 Table 5 Determination of Inverter and Converter Cost
표 6은 본 논문에서 고려된 각 장치 별 용량 및 개수를 나타낸다.
표 6각 장치별 고려된 용량 Table 6 The Sizes of Each Device to Consider
4.3 시뮬레이션 결과 및 비교
그림 6은 그림 3-그림 5 및 표 1-표 6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각 조건에서의 NPC 수치가 가장 적게 산출된 마이크로그리드 구성을 구분하여 연속적으로 이어 나타낸 것이다.
그림 6최적시스템 유형 그래프 Fig. 6 The Graph of Optimal System Type
그림 6에서 x축은 풍속 값을 나타내고 y축은 그리드 내의 전력 가격을 나타낸다. 평균 풍속이 4.3m/s 이하인 지역에서는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5$/kWh 이하일 때 오직 그리드의 전력만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0.5$/kWh를 초과한 경우에는 태양광발전기와 배터리를 설치하여 그리드와 병행하여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평균 풍속이 4.3m/s 이상, 5m/s 이하의 지역인 경우에는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5$/kWh를 초과할 시 그리드 내 전력 가격에 따라 태양광발전기와 배터리를 그리드와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태양광발전기와 풍력발전기 그리고 배터리를 그리드와 함께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0.5$/kWh 이하인 경우에는 오직 그리드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만약 평균풍속이 5m/s를 초과하는 지역이라면 그리드 내 전력 가격에 따라 그림 6을 참고하여 가장 최적인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여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위 사례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표 7과 같다. 여기서 G는 그리드, P는 태양광발전기, B는 배터리 그리고 W는 풍력발전기를 의미한다.
표 7조건에 따른 최적시스템 정리표 Table 7 Otim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다음은 평균풍속이 6m/s인 지역에 대하여 유가변동에 따른 NPC 수치를 4가지 마이크로그리드 구성으로 나누어 그림 7과 같이 나타내었다.
그림 7유가변동에 대한 NPC 비교 Fig. 7 NPC comparison depending on the grid cost
왼쪽 점선원은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3$/kWh인 경우를 나타내고 오른쪽 실선원은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8$/kWh인 경우를 나타낸다. 왼쪽 점선원의 경우에는 그리드의 전력만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오른쪽 실선원의 경우에는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배터리와 그리드를 함께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저렴한 왼쪽 점선원의 경우에는 NPC 수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NPC 수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점차 증가하므로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증가할 경우를 대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성을 미리 갖추는 것이 비용절감에 유리할 것이다.
그림 8은 그림 7에서 NPC가 가장 작은 마이크로그리드 구성의 NPC 수치를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3$/kWh인 경우에는 그리드의 전력만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지만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4$/kWh이상 0.5$/kWh이하인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및 배터리를 그리드에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6$/kWh이상인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태양광발전기 및 배터리를 그리드에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유가변동에 따른 최적구성 Fig. 8 The optim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grid cost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내 전력 가격과 평균 풍속에 따라 어떤 종류의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을 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지 분석하였다.
평균풍속이 6m/s인 지역에서의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3$/kWh인 경우에는 그리드의 전력만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4$/kWh~0.5$/kWh인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및 배터리를 그리드에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0.6$/kWh 이상인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태양광발전기 및 배터리를 그리드에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리드 내 전력 가격이 증가할수록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의 NPC와 그리드의 전력만 사용한 경우의 NPC 차이가 증가한다는 결과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경제적인 전력사용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여 앞으로의 그리드 내 전력 가격 상승에 대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평균 일사량과 평균 부하 사용량을 일정 값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도출했기에 일사량과 부하 사용량이 본 논문과 다른 지역의 경우 다소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일사량 또는 부하사용량도 변수로 두어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결과를 내도록 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 K. Qian, C. Zhou, M. Allan, and Y. Yuan, “Modeling of Load Demand Due to EV Battery Charging in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 Power systems, Vol. 26, No. 2, pp. 802-810,May. 2011. https://doi.org/10.1109/TPWRS.2010.2057456
- A. Ashtari, E. Bibeau, S. Shahidinejad, and T. Molinski, “PEV Charging Profile Prediction and Analysis Based on Vehicle Usage Data,” IEEE Trans.Smart Grid, Vol. 3, No. 1, pp.341-350, Mar. 2012. https://doi.org/10.1109/TSG.2011.2162009
- A. M. O. Haruni, et al, “Dynamic operation and control of a hybrid wind-diesel standalone power systems,” in Proceedings of IEEE APEC, pp.162-169, 2010.
- J. Baker, and A. Collinson, "Electrical energy storage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 Power Engineering Journal, vol. 13, pp. 107-112, Jun. 1999. https://doi.org/10.1049/pe:19990301
- L. Joerissen, J. Garche, C. Fabjan, and G. Tomazic, "Possible use of vanadium redox-flow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in small grids and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27, pp. 98-104, Mar. 2004. https://doi.org/10.1016/j.jpowsour.2003.09.066
- Andrew Mills, et al, "Simulation of hydrogen-based hybrid systems using Hybrid2",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29, No. 10, pp. 991-999, 2004. https://doi.org/10.1016/j.ijhydene.2004.01.004
- S. Qiuye, et al,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on Voltage Profile in Distribution System," in Computational Sciences and Optimization, 2009. CSO 2009.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2009, pp. 249-252.
- G. Pepermans, et al, "Distributed generation : definition, benefits and issues," Energy Policy, Vol. 33, pp. 787-798, 2005. https://doi.org/10.1016/j.enpol.2003.10.004
-
Charles Kim, “Lecture Note on Analysis and Practice for Renewable Energy Micro Grid Configuration,” 2013.
www.mwftr.com - M. Rezkallah, A. Chandra, B. Singh and R. Niwas, “Modified PQ Control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of Standalone Hybrid Wind Diesel Battery System,” Power India conf, 5th, IEEE, pp.1-6, Dec.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