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A Tour Application Book Using Contents Concerned with Busan Tour

부산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여행 앱북 <레인보우 부산> 개발

  • 장은진 (동서대학교 영상콘텐츠학과) ;
  • 윤태수 (동서대학교 영상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5.11.26
  • Accepted : 2015.12.2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Markets of e-book and app book in Korea see novel as genre literature and webtoon account for 80 percents in sales so that market share is too based towards some specific fields. In readiblily and easy-to-buy convenience, different from paper books mostly sold off-line, app books are more advantageous but it works as a weak point to take long to publicly spread them before they are generally accepted. Meanwhile, the sales of the e-book market in Korea has been steeply risen. Further, the market is not only restricted to genre literature but also has come into the stage that various experimental challenges are issued in the field of publication contents.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sightseeing app book as a future web-mobile platform with planning and develping the first app book dealing with localized contents based on Busan tour contents, making up for its defect that it offers only current simple information and then suggesting a strategy that the travelers' app book should be available for constant utilization connected to purchase by charged download.

현재 국내 출판계의 전자책과 앱북 시장은 장르문학인 소설과 웹툰 분야의 매출이 전체의 80%에 이르는 특정분야 매출 편중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상황이다. E-book에서 진화한 앱북은 오프라인에서 주로 판매되는 종이책과는 달리 가독성과 구매의 편리함이 강점이지만 일반화되기에는 대중적 전파력에 있어 시일이 걸린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국내 전자책 시장의 매출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장르문학에 국한되지 않고 출판콘텐츠 분야에서 다양한 실험적 도전이 시행되고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관광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지역콘텐츠 소재 앱북의 기획과 개발과정을 통해 향후 웹 모바일 플랫폼으로서 관광 앱북을 개발하고 기존의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앱북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유료다운로드를 통한 구매로 이어지는 지속적 사용이 가능한 여행 앱북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콘텐츠산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3.
  2. 우석봉, "문화콘텐츠 산업 클러스터", 부산발전연구원, 2014.
  3. 이영구외, "문화콘텐츠 기획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p.115, 2014.
  4. 류철균,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51-5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