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년층 고용통계의 변동성에 대한 지역별 비교분석: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을 중심으로

A Regional Comparison Study for the Variability of Employment Statistics in Korean Young Man: Focus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Employment Population Rate, Unemployment Rate

  • 투고 : 2015.03.10
  • 심사 : 2015.03.18
  • 발행 : 2015.03.30

초록

청년층 고용지표의 변동성에 대한 각 지역별 비교분석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실업대책이나 고용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별 차별정책의 사용이 가능해 지는 동시에 세부적인 정책적용의 효율성도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기초로하여 광역시와 도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청년층의 대표적인 고용통계 지표로서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및 실업률 등을 고려하고 이 지표들의 변동성을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광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각 시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세가지 고용지표 중 변동성이 가장 큰 고용지표를 제시하였고 각 고용지표에서 변동성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를 제시하였다.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variability of young man's employment indexes is important to unemployment or employment policy data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an use differentiated policies for the regions and keep the efficiency for the application of detailed policy. In this study, based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which consider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employment population rate and unemployment rate as typical employment indexes of young man, we analyzed the variability of these indexes by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 regions using coefficient of variation. Also we proposed the largest index in variability of three employment indexes, and proposed the city and province region with the largest variability for each employment index.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주 (2009), 청년실업 해소방안, 대전발전연구원.
  2. 곽태열 (2009), 경남의 청년실업 해소방안, 이슈분석, 경남발전연구원.
  3. 김기호, 장동구 (2005), "고용률의 의의와 유용성 분석",경제분석, 11(2), 106-135.
  4. 김대일 (2000), "한계적 경제활동참가자와 실업", 한국경제의 분석, 6(1), 1-68.
  5. 김석진, 양희승 (2004), 청년실업 중장기 전망과 정책과제, LG경제연구원.
  6. 김용성 (2008), 청년실업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개발연구원.
  7. 문외솔 (2008), "한국 노동시장 변수들의 단기 변동성 및 상관관계 분석", 경제분석, 14(4), 113- 150.
  8. 박종태, 조현수 (2009), "한국 청년실업률의 지역별 비교 분석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14, 87-104.
  9. 박종태 (2013), "국내 청년층의 지역별 고용률에 대한 통계정보 서비스 분석", 서비스연구, 3(1), 75-86.
  10. 박종태, 장희선 (2013), "지역별 경제활동참가 율의 변화에 대한 분석연구", 지식서비스연구, 6(1), 43-57.
  11. 박희석, 한진아 (2008), 서울시 청년실업문제에 대한 고찰, 서울경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2. 정인수, 김기민 (2006), 청년층의 실업실태파악과 대상별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13. 전병유 (2006), "우리나라의 지역간 고용격차에 관한 연구", 동향과 전망, 68, 205-234.
  14. 최영섭 (2004), 청년실업 문제의 구조적 원인 진단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