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당류 저감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 Received : 2015.05.19
  • Accepted : 2015.11.0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by providing data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government and food-related industries to encourage Korean consumers to maintain appropriate levels of sugar intake. A survey was conducted on 238 adult consumers regarding their purchasing power for products with high sugar content in Seoul and Bundang, Gyeonggi area from September 1~30, 2013. Nutritional information on sugary products had a greater impact than media and others' recommendations on consumer awareness regarding need to reduce sugar intake. External factors such as health and weight control were stronger reasons for consuming reduced amounts of sugar or sugar-free products than internal factors such as sweetness. However, internal factors-such as taste-did not have a greater effect on consuming reduced amounts of sugar or sugar-free products than environmental factors-such as absence of purchase channels. Consumers indicated higher acceptance for 50% reduction in sweetness of existing commercial products. Regarding methods of lowering sugar intake, sugar replacement and reducing sugar consumption both generally and at home were preferred. In addition, consumers were likely to pay 10~14% more for sugar-reduced products than for existing products. Overall, consumers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in the future, although those in their twenties tended to be more passive than other age groups.

본 연구에서는 당류 저감화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분석을 통해 국가 및 관련 산업체들이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를 줄이고 당류 적정 섭취 수준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당류 저감화 식품의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의 소비자가 이용 경험이 있었고, 당 함량을 줄인 식품에 대한 인지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 저감화 식품 자체 내 정보표시가 대중매체나 주변인의 추천보다 소비자 인식 경로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당류 저감화 식품 구매에 있어 단맛과 같은 식품의 내적 요인보다는 건강과 같은 외적 요인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당류 저감화 식품의 이용 경험이 없는 소비자가 당류 저감화 식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판매 경로의 부재와 같은 환경적 요인보다는 단맛과 같은 내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당류식품인 탄산음료류와 초코쿠키류의 단맛에 대한 선호도와 당 함량 감소 시 단맛에 대한 수용도를 분석한 결과 초코쿠키류는 50% 이하 저감화한 단맛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반면, 탄산음료는 50% 이상을 저감화한 단맛을 더 선호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았다. 한편 당 함량감소 시 단맛 수용도에 있어서는 두 당류 제품 모두 단맛을 50% 이상 저감화할 경우 수용 가능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제품군에 대한 당류 저감화 방향으로써 단맛과 당 성분에 대한 인식분석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가 단맛을 감소시킬 때 설탕을 감소시키는 대신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로 대체하는 방향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가정 내 음식 섭취 시 당류 저감화 방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천연감미료나 인공감미료로 대체하는 방향보다는 설탕을 감소하는 방향을 선호하였다. 또한 연령별로 50~60대의 경우 당류 제품에 대해서는 설탕 감소를 선호하였지만 가정 내 식품 섭취 시에는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대체를 선호하여 당류 저감화 대상에 따른 인식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당류 저감화 식품의 가격수용성 분석 결과 기존의 시판 제품보다 가격에 대한 부담이 더 클 경우에도 절반 이상의 소비자가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수용가격의 상승 범위는 10~14% 수준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 저감화 식품의 필요성과 향후 구매의사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현재 외식 시 당류 섭취 저감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보다는 향후 당류 섭취 조절 의사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0~60대가 20대와 30~40대보다 더 적극적이며 20대 소비자의 태도가 가장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제시 된 당류 제품 이외 다양한 종류의 당류 제품을 대상으로 당류 제품 섭취 실태에 대한 조사를 병행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Lustig RH. 2010. Fructose: metabolic, hedonic, and societal parallels with ethanol. J Am Diet Assoc 110: 1307-1321. https://doi.org/10.1016/j.jada.2010.06.008
  2. Lustig RH, Schmidt LA, Brindis CD. 2012. Public health: The toxic truth about sugar. Nature 482: 27-29. https://doi.org/10.1038/482027a
  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report of a joint WHO technical WHO/FAO expert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Switzerland.
  4.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47: 268-276. https://doi.org/10.4163/jnh.2014.47.4.268
  5. Kim EM, Jang JK, Oh SY, Kim YB, Suh SH, Ahn JH. 2013. The development of sugar-reduction model.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ugars excess-intake and obesity or chronic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gar-reduction model (KFDA Final Report). Inje University Press Center, Seoul, Korea. p 36-38.
  6. Rudd Center for Food Policy and Obesity. 2012. Rudd Report: Sugar sweetened beverage taxes. http://www.uconnruddcenter.org/files/Pdfs/Rudd_Policy_Brief_Sugar_Sweetened_Beverage_Taxes.pdf (accessed May 2013).
  7.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2015.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http://health.gov/dietaryguidelines/2015-scientificreport/PDFs/Scientific-Report-of-the-2015-Dietary-Guide lines-Advisory-Committee.pdf (accessed Feb 2015).
  8. The National Bureau of Asian Research Cener for Health and Aging. 2008. Obesity prevention and control efforts in Singapore. http://pacifichealthsummit.org/downloads/Obesity%20Prevention%20and%20Control%20Efforts%20in%20Singapore%20-%202008%20Case%20Study.pdf (accessed May 2013).
  9. Department of Food Journal Editors. 2012. Food Distribution Yearbook. Food Journal, Seoul, Korea. p 274-280,293-306,415-421.
  10. Kim YM. 2012. Kim Young Mo's bread, cake and cookie. The Dong-A Ilbo, Seoul, Korea. p 227.
  11. Weaver D, Finke 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ugar content information on nutrition labels and the consumption of added sugars. Food Policy 28: 213-219. https://doi.org/10.1016/S0306-9192(03)00028-9
  12. Tuorila-Ollikainen H, Mahlamaki-Kultanen S. 1985. The relationship of attitudes and experience of Finnish youths to their hedonic responses to sweetness in soft drink. Appetite 6: 115-124. https://doi.org/10.1016/S0195-6663(85)80032-5
  13. Katou Y, Mori T, Ikawa Y. 2005. Effect of age and gender on attitudes towards sweet foods among Japanes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 171-179. https://doi.org/10.1016/j.foodqual.2004.04.012

Cited by

  1. Recognition and Intake Frequency of Sugar by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on Reducing Sugar Recipes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s vol.32, pp.5, 2016, https://doi.org/10.9724/kfcs.2016.32.5.627
  2. High School Students' Sugar Intake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Sugary Processed Food Based on the Level of Sugar-related Nutrition Knowledge in Seoul Area vol.22, pp.1, 2017, https://doi.org/10.5720/kjcn.2017.22.1.1
  3. 안양시 일부 보육시설 영유아의 당류 함유식품 섭취 및 식습관 실태 - 보육시설 영유아의 부모 대상 설문조사 - vol.30, pp.5,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7.30.5.923
  4. 당류 섭취 감소를 위한 고당류 섭취율자의 특성 및 행태 분석 vol.31, pp.4,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8.31.4.565
  5. 커피전문점 음료의 당류 줄이기에 대한 대구시민의 인식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54, pp.4, 2015, https://doi.org/10.4163/jnh.2021.54.4.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