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 Devices Addiction,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on Their Use of Smart Devices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11.11
  • Accepted : 2015.12.1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s self control, mother's addiction to smart devices and parenting behavior influence the way young children used smart devices.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166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years used smart devices once or twice a week, for ten to thirty minutes, mainly during weekends.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stage started to use smart devices before reaching the age of 3, and accessed them through their parents, usually along with their siblings. Parents allowed their children to use smart devices for fun and entertainment, with only 66.3% of them setting rules. Second, the mother's tendency to be immersed in smart devices, overprotection and permi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usage of smart devices, whereas geniality, encouragement, setting limits, and children's self control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other's tendency of being immersed in smart device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ir children's overusage of smart device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children's smart device usage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5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166명이었으며, 통계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는 주 1~2회, 10~30분 정도, 주말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대부분 유아들은 3세 이전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부모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형제 자매와 주로 함께 이용하였다. 이용 규칙이 있는 경우는 66.3%였고, 자녀의 재미와 흥미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게 하였다. 둘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 과보호 허용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이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온정 격려, 한계설정, 유아의 자기조절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있어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를 위한 올바른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국민일보 (2014). 스티브 잡스도 자녀들엔 '컴퓨터 NO'.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785393&code=11141400&cp=nv에서 2015년 5월 13일에 인출.
  3.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장희 (2012). 스마트 기기 등 영상미디어가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추계 학술대회자료집, 33-55.
  5.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외 (2012).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 71-88.
  6.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7.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9(1), 1-25.
  8. 김승옥, 유구종, 김민경 (2009).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377-391.
  9.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3), 32-53.
  10. 노운서 (2009). 만3-5세 유아 컴퓨터게임 이용 실태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8(2), 43-63.
  11.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12. 박성연 (1989).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4), 151-165.
  13.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영일 (2006). 놀며 공부하고 공부하며 노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정보과학지, 24(2), 10-14.
  15.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192-225.
  16.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방효국, 김낙홍 (2013). 만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43-64.
  18. 서민영, 임은미 (2010).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19(4), 163-175.
  19. 서소정, 박주영, 김진희 (2014). 유아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유아의 주의집중력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논문.
  20. 양옥승,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2), 69-90.
  21.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22. 유은정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2.
  24.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25. 이영임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27. 이윤미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32. 임남균, 류정진 (2012). 부모의 제한적 시청지도에 대한 자녀의 지각이 그들의 TV 프로그램 시청행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2(1), 98-129.
  33. 조은정, 김지현 (2011). 가정 내 인터넷 게임 사용실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967-980. https://doi.org/10.5934/KJHE.2010.19.6.967
  34. 조준오, 황해익 (2014).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87-218.
  35. 최정윤 (2008). 보육시설 아동의 코티솔 수준: 보육 경험, 사회계층,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한국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012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38.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7-225.
  39. 홍남희 (2012). 초기 모성수행기 여성들의 스마트폰 이용. 미디어, 젠더 & 문화, 21, 135-164.
  40. 황미경, 권연희 (2014). 자기조절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69-289.
  41. 황태경, 손원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생태학회지, 4(1), 69-83.
  42. KBS 뉴스 (2015). 스마트폰이 아이들 뇌발달에 장애. 2015. 02. 25일자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025795에서 2015년 11월 20일에 인출.
  43. SBS 보도자료 (2012)a. 스마트폰 중독 어린이 뇌 반응이상 '팝콘브레인'. 2012. 11. 19.일자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492119에서 2015년 10월 15일에 인출.
  44. SBS 보도자료 (2012)b. 유아 스마트폰 중독심각. 뇌균형 깨뜨린다. 2012. 2. 18.일자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 read.jsp?news_id=N1001091289에서 2015년 05월 16일에 인출.
  45. Atkin, D. J. (2001). Home ecology and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J. A. Bryant (Ed.),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pp. 49-74).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6. Bank, A. M., Barr, R., Calvert, S. L., Parrott, W. G., McDonough, S. C., & Rosenblum, K. (2012).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media us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2), 208-216. https://doi.org/10.1007/s10826-011-9464-1
  47. Bittman, M., Rutherford, L., Brown, J., & Unsworth, L. (2011).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5(2), 161-175. https://doi.org/10.1177/000494411105500206
  48. Brenner, V.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the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ogical Reports, 80(3), 879-882. https://doi.org/10.2466/pr0.1997.80.3.879
  49. Griffiths, M. D., & Hunt, N. (1998).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s, 82(2), 475-480. https://doi.org/10.2466/pr0.1998.82.2.475
  50.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89-214.
  51.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On the Horizon, 9(5), 1-6. https://doi.org/10.1108/10748120110424816
  52. Rideout, V., Vandewater, E., & Wartella, E. (2003). Zero to six: Electronic media in the lives of infant, toddlers and preschoolers. Menlo Park, CA: Kaiser Family Foundation.

Cited by

  1. Effects of Hyperactivity Tendency and Ego-Resiliency on Smartphone Game Overflow Among Young Children vol.38, pp.4,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4.117
  2.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y in Preschool Children vol.24, pp.4, 2018, https://doi.org/10.4094/chnr.2018.24.4.383
  3.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의 매개 효과 vol.55, pp.1,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01
  4.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 vol.14,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5.117
  5.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과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vol.16,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39
  6.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vol.16,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