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is the major disease in cool-season turfgrasses.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this pathogen in soil and thatch is important to developing disease control strategies. In this study, toothpicks were used to detect S. homoeocarpa in the turfgrass canopy, thatch, and soil at different distances from dollar spot infection centers. The effect of penetrant and contact fungicide applications with different water volumes on distribution of S. homoeocarpa was also investigated. S. homoeocarpa was detected in 100% of samples taken from the leaf canopy, 83.3% in thatch area, and 0% in the soil from within the infection center. S. homoeocarpa was isolated in 100% of samples taken from the edge of the infection center, but was only detected in 13% of the samples taken at 1.5 cm away from the infection center edge. S. homoeocarpa was isolated at a higher frequency in the propiconazole treated plots than those treated with chlorothalonil and was not detected in leaf canopy samples when either fungicides was applied with 6.78 L of water. In conclusion, the toothpick-aided detection technique has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S. homoeocarpa epidemiology and could be used as a diagnostic tool to detect for fungicide resistance on golf courses.
동전마름병은 Sclerotinia homoeocarpa가 원인균으로 주로 한지형 잔디에 발생하는 주요 병이다. 본 연구는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동전마름병 전염원 검출과 처리물량을 달리하여 약제 살포하였을 때 병원균 검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동전마름병 병원균을 검출한 결과 병반 중심의 잎 부위에서는 100% 검출되었으며, 대취 부분에서는 83.3%가 검출되었으나 토양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대취층 아래 1, 2와 3 cm). 병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서는 100% 검출되었으며 병반으로부터 1.5 cm 떨어진 부분에서는 13% 검출되었으며 병반으로부터 3와 4.5 cm 떨어진 부분에서 병원균의 분리빈도는 각각 3와 0%로 나타났다. 동전마름병 병원균은 병반으로부터 1.5 cm 떨어진 지점의 잎과 대취에서는 73.3%와 20%가 검출되었으며 3 cm 떨어진 부분과 4.5 cm 떨어진 부분에서 각각 46.6%와 13.3%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토양부분에서는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염원 검출 빈도는 병반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두 가지 약제를 같은 약량으로 2.26와 6.78 L의 물에 희석하여 처리한 결과 병원균 검출빈도는 Chlorothalonil (CH) 처리구보다 Propiconazole (PP)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병반중심부에서 CH의 경우 검출 빈도는 15.5%로 PP의 경우 20.5%로 나타났다. 잎에서는 CH약제 처리구는 각각 15.5%와 2.2%가 검출되었으며 PP 처리구에서 이보다 높은 20.5%와 4.4%가 검출되었다. 대취층에서 전염원은 CH 처리구에서 물 2.26 L와 12.7%로 물 6.78 L가 2.2%로 검출되었다. 가장자리에서는 잎 부분을 검출한 결과 CH의 경우 물 2.26 L 처리구에서는 2.7%로 물 6.78L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PP의 경우 물 2.26 L에서 9.4%로 물 6.78L에서는 CH 처리구와 같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쑤시개 방법은 빠르고 쉽게 동전마름병을 검출하여 전염원의 분포 조사 및 전염원 형성 예측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