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seon-Jinsang Related Document Analysis in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18세기 전반 물선진상 관련 자료 분석 - 『진상별단등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0.28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Jin-Sang is a local specialty donation to the palace. A local specialty donation to the palace is classified Jehyang, Bangmul, Mulseon, Medicin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when, use. Among these, Mulseon Jin-Sang is Most foods. And King was reduced Mulseon Jin-Sang in order to obtain a good image of the king. King Suk-Jong was frequently reduced Mulseon. But frequently changes of goods did not reflect to document. So type of goods, quantity is not clear in early 18th century. In 1728, King Yeong-Jo was published a Jingsangbyeldandngrok to clear type of goods, quantity. This book is written area, timing, quantity of Mulseon. Among these, type of goods, quantity are important. This book was written 176 kinds of goods. These goods was most of the fishery. And raw materials are largely accounted. In addition to processing the various creatures become like dried, pickled. By analyzing the regional allocation features, there are many types order by Gyeongsang-do, Hamgyeong-do. Gangwon-do. This area is faced east sea, so many fisheries have become records. In Gyeongsang-do, Cholla-do, these area were occupied a large portion of the fruit. And Jeju Island was assigned oranges. Finally, it has been assigned dried, pickled foods than living thing in distant area.

진상제는 지방의 특산물을 왕실에 봉진하는 제도이다. 진상물은 물품의 성격, 봉진시기, 용도에 따라 제향진상, 방물진상, 물선진상, 약재진상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물선진상은 전국의 산해진미를 봉진하는 것으로, 주로 식재료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물선진상은 다른 진상물과 달리 물품의 수량 경감 내지 일시적인 봉진 중지가 빈번하였다. 이는 물선진상의 경감을 통해 백성에게 물질적인 혜택을 줌으로써 자애로운 군주상을 확보하기 위한 국왕의 의도였다. 숙종 역시 재위기간 동안 빈번히 물선진상을 경감하거나 폐지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물선진상 변경내역의 문서 보완이 미비하면서, 영조 즉위 직후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이 불분명한 상태였다. 이에 영조는 "진상별단등록" 간행을 통해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 경감내역을 분명히 하였다. "진상별단등록"은 진상지역, 봉진시기, 봉진대상, 물종 및 수량, 경감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이 중에서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은 다른 내용에 비해 중요하다. "진상별단등록"에 수록된 물선진상은 총 176종에 이르는데, 이 중에서 어류, 패류, 건어류 등 수산물이 117종으로 약 67%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물선진상이 원재료로 구성되어 있었고, 생물 이외에 말리거나 절이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었다. 물선진상의 지역별 분정특징을 살펴보면, 경상도, 함경도, 강원도 순으로 물선진상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동해안과 접해 있다보니, 수산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경상도와 전라도는 석류, 유자 등 양남지역의 대표적인 과실류가 분정되어 있었고, 제주도는 감귤류, 각종 전복가공품 등 전국에서 유일하게 분정된 물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서울과 지리적으로 먼 곳에 위치한 도에는 건어류, 염어류 등을 집중적으로 분정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