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Uljin and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the Features

울진 불영사(佛影寺) 대웅보전(大雄寶殿)의 특징(特徵)과 건축술(建築術)

  • 오세덕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박물관)
  • Received : 2013.12.05
  • Accepted : 2014.02.18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is study, under the title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Uljin and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the architect, aimed to make a comprehensive speculation on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whose accurate construction year was confirmed in 1725. While existing studies dealt with it separately between construction and Buddhist art history this study attempted to sort out it in one perspective by means of comparison with compatible objects in the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st, by means of comparison of wall painting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and other wall paintings of Gyeongsang-do Province, it was estimated to be created before and after 1725, the founding year of the building. 2nd, the stylobate of Daeungbojeon Hall is the only and unique case that Guibu was supported by the bottom. Such stylobate was estimated to be built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stylobate of PostLintel Construction which was more simplified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unified Silla period considering specific techniques. Lastly, by means of comparison of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with other temples in Gyeongsang-do Prov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were found. In particular, the same architectural technique was confirmed by direct comparison of style with Yeongsanjeon Hall of Tongdosa Temple in 1714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same architect.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의 특징과 승장의 건축술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는 1725년 제작된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는 불영사 대웅보전에 관한 종합적 고찰 성격이 강하다. 기존 연구에서 건축과 불교미술사로 나누어져 각각 연구되던 분야를 각 분야에 맞는 대상물과 비교 검토를 통해 하나의 관점으로 재정리하여 고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불영사 대웅보전은, 건물에 남아있는 벽화와 경상도 일원 벽화의 비교를 통해 대략적으로 건물이 창건되는 1725년을 전후한 시점에 제작된 것으로 편년해 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벽화의 제작시기를 1725년 대웅보전의 창건이후에서 1735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하고, 1735년과 1739년 후불도와 삼장보살도가 완성되어 내부 장엄까지 완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대웅보전 기단은 국내의 유일무이한 귀부가 하단에 감입된 기법이 적용된 사례이다. 이러한 기단의 형태는 세부기법을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시대 가구식기단의 전통적인 방법에서 다소 간략화된 고려시대 가구식기단의 초기적인 형태로 추정되며 하부 귀부 역시 세부기법을 통해 볼 때 기단과 동일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상도 일원에서 제작된 불전과 불영사 대웅보전의 건축술 비교를 통해 건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불영사 대웅보전을 제작한 동일한 도편수가 만든 1714년 통도사 영산전과의 직접적 양식비교를 통해 고식의 기단을 사용하고 있는 점, 공포의 제공 외단과 내단을 동일하게 처리하고 있는 세부기법, 그리고 귀포 내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간포 내단과의 유사성, 대보 상부에 초각이 가미된 포대공과 화반, 귀한대의 승천하는 용의 표현, 보아지의 용두 표현 등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기법이 승장 조헌의 독자적인 건축술로 추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