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연구 현황과 성과

Research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 최응천 (동국대학교-서울, 대학원 미술사학과)
  • 투고 : 2014.06.27
  • 심사 : 2014.08.08
  • 발행 : 2014.09.30

초록

일본에는 우리나라 문화재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시기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해방 이후인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일본과 국내 모두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개설서가 증대되면서 자료 보고서 형식의 논고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분야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불교회화에서 두드러진 성과가 나왔다. 조각은 일본 학자들에 의한 한국 불상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으며 일반회화 분야에서 연구 논문 발표와 저술 활동이 국내와 일본 모두 증가하였다. 도자 분야는 다른 어느 분야 못지않게 관련 저서가 증가된 점이 주목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말까지는 국내에서 소장학자의 연구가 활발히 개시되고 신 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개별 논고가 많아진 시기이다. 일본의 경우 소수 연구자들의 지속적 활동이 이어지며 국내의 경우 기존 학자에 이어 도일 유학생들에 의한 연구조사가 실시되었다. 나아가 조사 지역 및 연구 범위가 확대되어 연구자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대여 전시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새로운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도 하였고 국가기관(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의 미흡하지만 처음으로 조사와 보고서 간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 초부터 현재까지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진 심화된 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작품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점차 이루어진 시기이다. 미술사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논문 주제로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다룬 논문이 증가되었고, 연구가 확장되어 여러 방면에 걸친 연구 인력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일반회화, 불교회화, 소수의 불교공예 정도를 제외하고 연구 분야 간 차별화 현상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도자 분야는 국립문화재 연구소에 의한 본격적인 한국 문화재 보고서가 간행되어 소장처별로 체계적인 보고서가 간행된 점은 괄목한만한 성과이다.

After independence, more introductory books on Korean culture were published in both Korea and Japan, along with various papers briefly presenting relevant material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earch field, however, a considerable number of articles about Buddhist paintings were published. Research on Korean sculpture was quite active among Japanese scholars. And numerous articles and publications on Korean painting were also presented in both Korea and Japan. Publications on Korean ceramics were increased as much as in other fields. From the late 1980's through late 1990's,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continued to increase, as many young scholars began to conduct research very actively in Korea, producing many articles to introduce new materials. A small number of Japanese scholars also continued to research Korean cultural properties. The overall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also increased, as existing scholars were joined by students who went to Japan to study and conduct research, thereby helping to significantly expand the area and topics of research. In this period, the exchange exhibi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increased. Also the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as began to b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From the early 2000 thrugh present, in all fields, research has progressed and improved since the late 1990's, with many individuals pursuing a microscopic approach to their artifacts and works. More graduate students have been focusing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as the subject of their master's or doctorial thesis in art history, and overall number of researchers in various areas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 painting, and Buddhist crafts some important book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somewhat uneven. In the area of ceramics, several significant examples of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se publications are outstanding references that illustrat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