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횡성군 육절려(六節閭)의 정려표창 연기(年記)와 육절 대상인물 고찰

A Study on the Period of Commendatorying Jeongnyeo(旌閭) of Yukjeollyeo(六節閭) in Hoengseong-gun and People of Yukjeol(六節)

  • 투고 : 2014.01.21
  • 심사 : 2014.05.21
  • 발행 : 2014.06.30

초록

이 글에서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5호인 횡성군 육절려의 중심인물인 서예원(徐禮元) 일가가 정려를 받게 되는 경위와 명확한 정려표창 연기(年記)를 밝히고, 5명의 정려가 걸려있음에도 '육절려'라는 명칭을 쓴 사유를 비롯하여 육절에 해당되는 인물을 구체적으로 고증해 보았다. 서예원은 진주목사로 재직하면서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가족과 함께 전사하였다. 서예원 사후 1811년부터 횡성문중과 지역 유생들이 관(官)에 청원을 올려 1817년 서예원과 그의 처 전주이씨(全州李氏)에게 정려가 내려졌고, 횡성에 정려각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서예원의 장남인 서계성(徐繼聖)과 그의 처 풍천노씨(豊川盧氏), 서예원의 시집가지 않은 딸의 정려를 청하는 추가 청원을 올려 1832년에 모두 정려를 받았고, 이로 인해 횡성의 정려는 '오정려(五旌閭)'로 불렸다. 이후 춘천 밀양문중에서 횡성문중 후손들이 서예원의 장파(長派)가 아니라는 이유로 정려를 밀양으로 이건해 가려고 했으나, 이건하지 못하자 1945년 밀양에 새로운 여각을 새우고 '육절려'라고 명했다. 1945년까지 횡성의 정려각 명칭은 계속 '오정려'로 사용되고 있었고, 1945년 직후 육절려 현판이 걸렸다. 정려를 받은 인물이 5명임에도 불구하고 '육절려'라는 명칭을 붙인 것은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13년 만에 쇄환되어 온 서예원의 차자(次子)인 서계철(徐繼哲)의 절의를 함께 기리기 위해서였다. 횡성문중에서는 5명의 정려표창 이후에 서계철도 함께 정려를 내려줄 것을 여러 번 청원했으나 끝내 정려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자 정려를 받은 5명과 함께 서계철의 절의를 함께 기려 '육절'로 숭모하였던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간 연구가 미진했던 육절려의 연혁과 역사성을 좀 더 명확히 밝힐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how Seo Ye-won(徐禮元) who was the main character of Yukjeollyeo(六節閭) which mean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an receive Jeongnyeo(旌閭) and when he received it clearly. Also this thesis concentrates on why the name of 'Yukjeollyeo' was used even if there are five Jeongnyeos in the Yukjeollyeo. Lastly, this thesis also focuses on the people related to YookJeol. Seo Ye-won passed away with his family in 1593 when he acted as a head of local administration. In that time, the Jinjuseong(晉州城) battle was originated from Korea-Japan war(1592). After his death, Hoengseong(橫城) family(門中) and Confucian scholar made petition for administration in 1811. As a result Seo Ye-won and his wife Lady Lee of the Jeonju-Lee clan(全州李氏) were celebrated as the Jeongnyeo and Jeongyeogak was built in 1817. And his son(Seo Gye-seong:徐繼聖), Seo Gye-seong's wife Lady Noh of the Pungcheon-Noh clan(豊川盧氏), Seo Ye-won's daughter who were not married also could receive Jeongnyeo as Hoengseong family and confucian scholar made additional petition for administration in 1832. For these reasons, Jeongnyeogak(旌閭閣) was called 'Ojeongnyeo(五旌閭)'. After that, Miryang(密陽) family wanted to move it because Seon Ye-won is not the eldest son in the Hoengseoung family. But it could not be enforced and they made a new Yeokak(閭閣) and called 'Yukjeollyeo'. From that time to 1945, the name of Jeongnyeo in the Hoengseong had been still used 'OjeongYeo' and the signboard of Yukjeollyeo was hanged in Jeongnyeo in Hoengseong after 1945. Although there are five people who can get prize of Jeongnyeo, the reason why the name of 'YookJeol' is to memorize the loyalty of Seo Gye-cheol(徐繼哲) who was Seo Ye-won's second son. Hoengseong family made a representation to the government in order to made Seo Gye-cheol receive Jeongnyeo but he could not be celebrated. For these reasons, the loalty of Seo Gye-cheol with five people who received Jeongnyeo has been celebrated as 'YukJeol'.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record of Yukjeollyeo and historic point clear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