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료패널의 치과외래 이용 및 의료비 지출에 대한 4년간(2008-2011)의 변화추이

Dental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in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8-2011

  • 정세환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Jung, Se-Hwan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Research Institute of Oral Science)
  • 투고 : 2014.02.13
  • 심사 : 2014.04.24
  • 발행 : 2014.05.01

초록

Korea Health Panel Survey (KHPS)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nationally representative estimates of health care use and expenditures for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in Korea since 2008.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estimates from KHPS on dental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from 2008 to 2011. While weighted estimates were presented for each year from 2008 to 2011,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2011 estimates and changes in dental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between 2008 and 2011. Weighted estimates were obtained using population weigh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analysed by independent t-test or ANOVA test using SPSS version 20 for Windows. In 2011, 21.1% of Korean population obtained outpatient dental services from dentists. From 2008 to 2011, the percent of people with a dental visit in each year increased slightly. In 2011, the mean number of dental visits was 4.46. While the mean number of dental visits remained stable by 2010, it increased slightly in 2011. The total annual dental expense in 2011 for people with a visit was about 460,000 Korean Won and 10% higher in 2008. In summary, this study results highlight low rates of dental utilization and high dental expenses in Korean popul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2012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2013.
  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1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년도(2011). 2012.
  3.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건강보험통계연보. 2013.
  4. 전지은, 정원균, 김남희. 한국인의 치과진료이용과 관련된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1;35(4):441-449.
  5. 김남희, 전지은, 정원균, 김동기. 국내 미충족 구강진료의 지역간 격차와 관련된 사회결정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2;36(1):62-72.
  6. 전지은, 정원균, 김남희. 우리나라 국민의 인구사회경제특성에 따른 치과진료 미충족 이유: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2;36(1):73-81.
  7. 최문실, 박형수, 이병훈, 정상길, 박종. 한국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치과의료이용과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851-860.
  8. 박명자, 감신, 박재용. 농촌주민의 치과의료 이용양상 및 치아보철 요구도. 대한보건협회지 1991;17(2):20-36.
  9. 이흥수. 전라북도 수개지역 주민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I.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3;17(1):121-134.
  10. 김일준, 남칠현. 일부지역주민의 구강보건인식도 및 치과의료 이용양상.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3;10(1):34-60.
  11. 이흥수. 앤더슨-뉴만 모형을 이용한 여성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4;18(2):513-525.
  12. 김지영, 남용옥. 대도시 지역 일부 어머니들의 치과의료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3;3(2):143-155.
  13. 김수경. 어머니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05;5(4):171-177.
  14. 박득희, 이광희. 어머니의 건강신념이 아동의 건강신념과 치과의료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치과연구회지 1994;4(1):143-159.
  15. 이흥수. 모친의 구강보건행태와 사회경제적요인이 아동의 치과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7;21(1):87-105.
  16. 김영숙, 권호근. 정신지체장애인 보호자의 구강보건인식도가 장애인의 치과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7;21(4):649-674.
  17. 장분자, 이성국.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4):587-599.
  18. 장지언, 이천희.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841-849.
  19. 황혜림, 이수영, 조영식. 일부 대학생의 치과불안과 치과의료이용 행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10;10(5):357-363.
  20. 김선주, 황수현, 유지수. 국내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치과의료 이용 실태조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11;11(5):381-388.
  21. Manski RJ, Brown E. Dental services: use, expenses, and sources of payment, 1996-2000.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Pub. No. 04-0018. 2004.
  22. Manski RJ, Brown E. Dental use, expenses, private dental coveragen and changes, 1996 and 2004. Rockville(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7. MEPS Chartbook No.17. (http://www.meps.ahrq.gov/mepsweb/data_files/publications /cb17/cb17.pdf)
  23. Clara ED, Leonard EE. Association of serious psycohological distress with health services expenditures and utilization in a national sample of U.S. adults. Gen Hosp Psychiatry. 2011;33(4):311-317. https://doi.org/10.1016/j.genhosppsych.2011.03.014
  24. Okunseri C, Okunseri E, Garcia RI, Visotcky A, Szabo A. Predictors of dental care use: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J Adolesc Health. 2013(in press).
  25. Locker D, Maggirias J, Quinonez C. Income, dental insurance coverage, and financial barriers to dental care among Canadian adults. J Public Health Dent. 2011;71(4):327-334. https://doi.org/10.1111/j.1752-7325.2011.00277.x
  26. Sondell K, Soderfeldt B, Hugoson A. Dental care utilization in a Swedish country in 1993 and 2003. Swed Dental J. 2010;34(4):217-228.
  27. Grytten J, Holst D, Skau I. Demand for and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in the adult population in Norwa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2;40(4):297-305. https://doi.org/10.1111/j.1600-0528.2011.00659.x
  28. Listl S. Income-related inequaltities in dental service utilization by Europeans aged 50+. J Dental Res. 2011;90(6):717-723. https://doi.org/10.1177/0022034511399907
  29. Listl S, Moran V, Maurer J, Faggion JR CM. Dental service utilization by Europeans aged 50 pl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2;40(2):164-174. https://doi.org/10.1111/j.1600-0528.2011.00639.x
  30.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의료패널의 이해. 2008.
  3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제8차(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2012.
  32. OECD Korea Policy Centre Health and Social Policy Programme. 한 눈에 보는 OECD 보건지표 201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