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hiTan Li Shen-Yi(石灘 李?儀)'s Daxuezhalu (『大學箚錄』)

석탄(石灘) 이신의(李?儀)의 『대학차록(大學箚錄)』에 관한 연구(硏究)

  • Received : 2014.06.02
  • Accepted : 2014.07.04
  • Published : 2014.07.31

Abstract

The study examined Daxuezhalu written by ShiTan Li Shen-Yi. Three different editions of Daxuezhalu were looked into, one of which in Shitanji("石灘集") could be considered methodical, if not perfect. In addition, Guojirucangben("國際儒藏本" as goudou(句讀) and correction was made on its wrong contents through dainjiao(點校) by WangXinzhu(王心竹). For these reasons, Daxuezhalu in Shitanji was used as the basis for the study and Guojirucangben as a supplement. Explanatory notes were added to Daxuezhangjuxu("大學章句序") in Daxuezhalu, but consent cannot be given to some of them, which include the author's opinion that views Jing(敬) as essence of Xiaoxue("小學") and Daxue("大學"), and the unique interpretation of Zhangju(章句),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uthor didn't revise Daxuezhalu after writing it at the age of 37. However, the explanatory notes on xin(心), xing(性), qing(情), zhi(志) and yi(意) in An(按) toward the end of Daxuezhangjuxu are considered unique. The followings in Jingwen(經文) were examined as questionable. ShiTan(石灘) reflected on the ways to reach zhishan(至善) as in the table that shows Sangangling(三綱領), which may be viewed as distinctive. The review of zhizhijie('知止'節) reveals that ShiTan(石灘) followed Zhuzi(朱子) on the issue of whether to relocate zhizhijie('知止'節) through his interpretation for leaving it where it was. The same was applied regarding tizhi(體制) in chuanwen(傳文) by following Zhuzi(朱子)'s argument on Daxuezhangju("大學章句"). While the tendency to divide it into zhi(知) and hang(行) was seen, there was difficulty in thorough understanding with all the comments being in goujie(句節). It is considered overreaction that he argued in favor of shen(?) without any comments on Gewuzhizhibuwangzhang("格物致知補忘章"), although he mentioned characters, jin(謹) and shen(?) unlike Zhuzi(朱子).

석탄(石灘) 이신의(李?儀)의 "대학차록(大學箚錄)"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학차록(大學箚錄)"의 3가지 판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석탄집(石灘集)"에 실린 "대학차록(大學箚錄)"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체계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제유장본(國際儒藏本)"이 왕심죽(王心竹)의 점교(點校)을 거쳐 구두(句讀)도 되어 있고"석탄집(石灘集)"의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석탄집(石灘集)"에 실린 "대학차록(大學箚錄)"을 저본(底本)으로 삼고 "국제유장본(國際儒藏本)"을 보충자료로 삼겠다. "대학차록(大學箚錄)"에서는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에 대한 註釋을 하고 있는데 필자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보인다. "소학(小學)"과 "대학(大學)"의 핵심을 경(敬)으로 본다든지 '章句'에 대한 독특한 해석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오류(誤謬)는 "대학차록(大學箚錄)"이 37세 때에 지어지고 그 이후에 수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가 끝나는 부분의 안(按)에서는 심(心), 성(性), 정(情), 지(志), 의(意) 등을 주석(註釋)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독특하게 여겨진다. 경문(經文)에서 의심 가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석탄(石灘)은 삼강령(三綱領)을 표시한 표와 같이 지선(至善)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독특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지지(知止)'절(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지지(知止)'절(節)을 그냥 두느냐 옮기느냐의 문제에서 석탄(石灘)은 그냥 두는 쪽으로 해석하여 주자(朱子)의 의견을 그대로 답습한다. 전문(傳文)의 체제(體制)는 주자(朱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지(知)와 행(行)으로 나누어 보려는 경향을 보이지만 언급들이 모두 구절(句節)로 되어 있어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었다. 그리고 주자(朱子)와는 다르게 '근(謹)'자(字)와 '신(?)'자(字)를 들어 언급했지만 "격물치지보망장(格物致知補忘章)"과 같은 부분은 아무런 말이 없다가 '신(?)'자(字)가 맞는다고 하는 것은 너무 과민반응을 보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