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Kim Goeng-pil in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한국유학사에서의 김굉필(金宏弼)의 위상

  • Received : 2014.06.08
  • Accepted : 2014.07.04
  • Published : 2014.07.31

Abstract

Hanhweon-dang Kim Goeng-pil(1454~1504) sublimated ethics whose lead was opened up by Jeong Mong-ju in late Goryeo as one scholarly tendency. Kim Goeng-pil was called 'the father of ethics in Joseon' and has been respected as a model of ethicist for 400 years since then. Following Kim Goeng-pil,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cultivated perseverance through Xiaoxue and the perseverance was sublimated to Confucian scholars' energy and then that of state, which served as driving force to keep the national legacy. Kim Goeng-pil suggested how to study with Xiaoxue and sought moral human beings and ethically ideal societies based on strong practicability which is required in Xiaoxue. Individuals' cultivation and social reform are not at a different dimension. Spirit of 'self-cultivation' that Kim Goeng-pil himself demonstrated advanced to pursuit of ethical, ideal state when reaching a level of Jo Kwang-jo. Kim Goeng-pil thought that teaching in Xiaoxue could be achieved through 'Gyeong (敬, respect).' It is the ke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o control one's mind through the cultivating method of 'Gyeong.' Kim Goeng-pil settled Joseon's Confucianism as 'practical ethics(心學).' Before Kim Goeng-pil, no scholars had well presented the aspects of practical ethics. After King Myeongjong and Seonjo, Confucianism in Joseon worked as the cornerstone of practical ethics. Since mid-17th century, the system of practical ethics had been firmly established with focus on 'Gyeong. Literary men of Kim Goeng-pil and scholars they fostered led the academic and political world of Joseon after mid-16th century. They played the lead in Sarim faction's(士林派) ruling after King Seonjo came to throne. The very foundation which sublimated Joseon to the ethically ideal state and made the Dynasty a 'state of Sarim' was actually laid by Kim Goeng-pil.

한훤당 김굉필(1454~1504)은 고려 말엽 정몽주가 단서를 열어놓은 도학을 하나의 학문 경향으로 승화시켰다. 김굉필은 '조선도학의 시조'로 일컬어졌으며, 이후 4백여 년 동안 도학자의 전형으로 받들어졌다. 김굉필이 씨를 뿌린 도학은 학문과 정치의 기준이 되었다. 조선의 선비들은 김굉필을 본받아 "소학"을 통해 근기(根基)를 배양하였고, 그 기운은 선비의 원기(元氣), 나아가 국가의 원기로 승화하여 국맥(國脈)을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김굉필은 "소학"으로 학문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소학"에서 요구하는 강한 실천성을 바탕으로 도덕적 인간, 도덕적 이상사회를 추구하였다. 개인의 수양과 사회 개혁은 서로 다른 차원의 것이 아니다. 김굉필이 몸으로 보인 '자기 수양(律己)'의 정신은 조광조(趙光祖)의 단계에 이르러 도학적 이상국가의 추구로 발전하였다. 김굉필은 '경(敬)'을 통해 "소학"의 가르침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경'이라는 수양 방법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조선 성리학의 요체다. 김굉필은 조선의 유학을 '심학(心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김굉필 이전에는 심학의 모습을 제대로 선보인 학자가 없었다. 명종 선조 시기 이후로 조선의 유학은 심학으로 정초되어 갔다.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경'을 중심으로 한 심학 체계가 공고하게 구축되었다. 김굉필의 문인과 그들이 양성한 학인들은 16세기 중반 이후, 조선의 학계 정계를 이끌었다. 이들은 선조 즉위 이후 사림파(士林派) 집권의 주인공들이었다. 조선을 도덕적 이상국가로 승화시키고 '사림의 나라'로 만든 그 기초는 사실상 김굉필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