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of the Ideally Right People of Modern Education since Liberation

해방 이후 현대 교육의 이상적 인간상 탐색 - 전환기, 산업화 시기, 민주화 시기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11.14
  • Accepted : 2014.11.28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s of right people for society on the period from liberation in 1945 to democracy in the late 1990s. Those periods classified into 'Transitional Era', Industrial Era and 'Democracy Era' based on historical ev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hanges of value system of Korean people or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not only main values and right people for society but also the way of changing value system in those periods were suggested by investigating factor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Main values and right people for society on each period were as follows : In Transitional Era, main values were manners and social norms, and right people for this period were practical intellectuals pursuing the principle of action-oriented truth-and- knowledge-seeking. In Industrial Era, main values were sincerity, diligence, self-help and collaboration, and right people for this period were skilled man having occupational ability which was essential for economic development. In Democracy Era, main values were sincerity, participation, equality and coexistence, and right people for this period were scientific talented man who can make the survival of the country and prosperity in the crisis of the slowdown in economic growth A discussion of right people for each era, proposed that emphasis on the pragmatic and practical type of person in those days required,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of Community value.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현대 교육의 이상적 인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해방 이후에서 90년대에 이르는 시기를 광복 이후 분단까지의 '전환기'와, 경제성장을 통한 현대 국가 발전의 기반이 된 '산업화 시기',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정치?경제?사회 참여를 요구하는 '민주화 시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특성에 대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교육적 인간상의 추출을 위하여 이들 각 시기의 주요 가치를 탐색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각 시기별 인간상을 고찰하였다. 시기별로 나타나는 주요가치와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 전환기의 주요가치로는 예의와 규범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무실역행(務實力行)하는 자세가 강조되는 실천적 지식이었다. 산업화 시기의 주요가치로는 성실, 근면, 자조, 협동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경제발전에 필수적이고 강력한 직업능력을 갖춘 기능인이었다. 민주화의 주요가치로는 참여, 평등, 공존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경제성장의 둔화라는 위기감 속에서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이바지하는 우수한 과학인재상이었다. 각 시기별 인재상은 실용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유형의 인간상이 드러나고 있으며 공동체적 덕성을 중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가치관의 연속선상에서 시기별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