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igitalization of Military Examination(武科) Candidates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정보화 사례 연구 - 집단지성에 의한 사료의 복원 -

  • Received : 2014.08.20
  • Accepted : 2014.09.23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A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means of creation of new knowledge is a keyword in the internet era. However, all parts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s not useful.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scattered historical data restoration by us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nditions for effective restoration. A restoration of historical data is the basis of research and uncovering the historical facts. In the past, some passionate researchers restored the historical data. However, its progress was slow and the amount of the restored data was not much. Moreover, the restoration itself was not easy even to verify the results. The internet made a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general public collaborate for restoration of historical data. Due 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internet, a possibility of historical data restoration increased. This paper examined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military examination roster(武科及第者) in Korean Historical Figures DB(韓國歷代人物綜合情報). The passionate users took part in the restoration in such a way to donate the old documents and inform the location of originals and articles of military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were reliable. And this paper confirmed that passionate participants, competent and professional operators, and reliable focal point(Internet Community) should be add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store the data.

새로운 지식창출 수단으로서의 집단지성은 인터넷 시대의 핵심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집단지성이 모든 부분에서 유용한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흩어져 있는 역사 자료를 수집하고 원형을 복원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그 복원 가능성 및 복원 과정에서 참여자의 가치관과 이해관계에 따른 왜곡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역사 자료를 복원하는 것은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기초가 된다. 과거에는 이것이 열정을 가진 몇 몇 연구자 개인의 역량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때문에 연구의 진척이 느릴 뿐 아니라 복원되어 축적되는 정보의 양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그 결과를 검증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연구자 및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사료의 복원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협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역사 자료의 복원은 양과 질 면에서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수의 협업에 의한 사료 복원 사례로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DB의 무과 급제자 정보 복원 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해 본 결과 이용자들은 자료의 직접 제공, 자료 소장처 제보, 자료 내용 속의 급제기록 제보 등의 방법으로 참여하여 흩어져 있던 상당수의 사료를 복원하였고, 복원된 사료의 정확성도 매우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이 복원 과정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적극성, 운영자의 전문성, DB의 신뢰성이 덧붙여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