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우권태훈(鳳宇權泰勳) 선생(先生)의 조식법(調息法)(용호비결(龍虎秘訣))과 『대학(大學)』·『중용(中庸)』의 상위표리설(相爲表裏說)에 관한 고찰(考察)

Study on the Respiration Control Method(yonghobigyeol) of Bongwoo Gwon Tae-hoon and the Xiangweibiaolishuo (duplicity theory) in Daxue/Zhongyong

  • 투고 : 2014.03.03
  • 심사 : 2014.03.22
  • 발행 : 2014.03.30

초록

이 글은 우리 시대 선도(仙道)의 개조(開祖) 이자 유학자(儒學者)인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 선생이 개진(開陳)하고 있는 도가(道家)의 "용호비결(龍虎秘訣)"과 유가(儒家)의 "대학(大學)" "중용(中庸)" 양자(兩者)의 표리관계(表裏關係)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선생은 공자문하(孔子門下)의 전수심법(傳受心法)이 담겨있는 유가의 경전을 "대학(大學)" "중용(中庸)"과 더불어 "주역계사전(周易繫辭傳)"으로 보았는데, 이 가운데 주자(朱子)가 주석(註釋)한 "대학장구(大學章句)" '삼강령(三綱領)'의 해석이 송대(宋代) 당시의 시대 논리에 원용되어 공문(孔門)심법 본래의 요지를 드러내지 않기 위한 주자의 의도적 해석이라고 보아, "대학" '삼강령(三綱領)'에 대한 새로운 주석을 가(加)하였고, 더불어 "중용(中庸)" '윤집궐중(允執厥中)'의 '중(中)' 자(字)의 함의를 '일중론(一中論)'으로 밝히는 등의 새로운 해석을 통하여 공문심법의 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이러한 새로운 해석의 기저(基底)에 더하여 공자(孔子)가 "주역계사전(周易繫辭傳)"에서 "역경(易經)"의 주요 요지를 뽑아내어서 지었다고 하는 '원상법(原象法)'을 유가의 형이상학(形而上學) 공부의 정수로 삼아 이를 도가(道家)의 용호비결(龍虎秘訣)과 함께 수련 공부의 최종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하여 양자(兩者)의 밀접한 유기성에 주목 하였다. 이와 같은 "대학" '삼강령'의 새로운 해석을 통한 "대학(大學)"의 본지(本旨)규명과 "대학(大學)" "중용(中庸)" "계사전(繫辭傳)" 삼자일관(三者一貫)의 유기성에 대한 심고(審考), 그리고 도가와 유가 양가(兩家)의 원리를 합일시킨 '이교합일(異敎合一)'의 공부론 등은 조선조 청하자(靑霞子) 권극중(權克中)의 '선란호수론(禪丹互修論)' 이래의 일로서 선생이 우리의 사상계에 남겨놓은 새로운 화두라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duplicity relation between the Daxue/Zhongyong of Confucianism and the Yonghobigyeol of Taoism, which was advocated by Bongwoo Gwon Tae-hoon, who was a Confucian scholar and the progenitor of Sundoism. The view of Bongwoo Gwon Tae-hoon was that the Confucian scriptures that contain the mind control method handed down from Confucius are Daxue, Zhongyong and Zhouyixicichuan (周易繫辭傳). His another view was that Zhuzi (朱子) intentionally did not expose the original object of Confucian mind control method in the interpretation of Sangangling (三綱領) of Daxuezhangju (大學章句) annotated by him, since he was invoked by the contemporary logic of Sung Period (宋代). Bongwoo Gwon Tae-hoon added a new annotation on Daxue Sangangling and tried to disclose the original object of Confucian mind control method through new interpretation by explaining the implied meaning of character '中' (zhong) of Zhongyong Yunzhijuezhong (允執厥中) by way of Iljungron (一中論). In addition to this new interpretation, Bongwoo Gwon Tae-hoon took the Yuanxiangfa (原象法), which Confucius compiled as the extract of Yijing (易經) from Zhouyixicichuan (周易繫辭傳), as the core of Confucian metaphysical philosophy study. He suggested Yuanxiangfa as a methodology to reach the ultimate target of study together with the Yonghobigyeol of Taoism and paid attention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ongwoo Gwon Tae-hoon verified the original object of Daxue by new interpretation on Daxue Sangangling, left an analytical thought on the consistency among Daxue, Zhongyong and Xicichuan (繫辭傳) and the study method of Igyohabil (異敎合一), where he integrated the principle of Taoism and Confucianism. Bongwoo Gwon Tae-hoon left a new topic to Korean world of thought, which is as important as the Seondanhosuron (禪丹互修論) of Cheonghaja Gwon Geuk-jung (靑霞子 權克中) in Joseon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