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Noju Oh Hui-sang's account of Nature and Principle(songli性理) - focusing on Horak Controversy in the early 19th century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의 성리설(性理說) 연구(硏究) - 19세기 전반기의 호락논쟁에 유의하여 -

  • Received : 2014.02.21
  • Accepted : 2014.03.22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Noju Oh Hui-sang(1763-1833) is one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representing with Hong Chik-pil the Kiho-Nak School from the late 18th to the early 19th century. He did sincerely not only succeed theories of Kiho School originated from Yulgok, but also strengthened the main view of the Nak faction by clarifying the theoretical stance of it derived from Kim Chang-hyop. Not only he does suggest critical points of view against Ho faction in terms of Horak Controversy, but also criticizes heterodox account, which raised by an inner circle of Nak faction. In this vein, Oh established the neo-Confucian ways of realization of morality and ideal society by setting up his own points of view on mind and bright virtues that are followed by various issues of Horak Controversy. My paper will examine the values of Oh's account of Nature-Principle in the light of intellectual historical context by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his critical views of Ho faction. Oh's main idea is how to systematize practical foundation of realizing morality. Thus, he wants to theoretically explain both the practice of morality and the reality of pure moral mind in order to establish concrete practices of them in the real world. In doing so, he pays attention to mutual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Matter(ki:氣). The mutual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exactly appli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So, the realityof moral principle explicitly implies the pure goodness of moral agency. Furthermore, his elucidation of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and its values via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m is to set up a system of cultivation, i.e., realizing practical foundation of pure moral mind. In conclusion, we can evaluate that Oh's account of Nature-Principle, at least, aims not only at establishment of moral agency and its reality in a theoretical dimension, but also at a guarantee of their realization in the world.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1763-1833)은 18세기 후반기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홍직필(洪直弼)과 더불어 당시 기호 낙론을 대표하는 산림학자이다. 그는 율곡(栗谷)으로부터 비롯되는 기호학파의 학설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김창협(金昌協)으로부터 연원하는 낙학의 이론적 입장을 보다 명확히 하면서 낙론의 종지를 확고히 하였다. 호락논쟁의 연장선상에서 호론(湖論)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18세기 중반 이후 낙론 내부에서 제기된 이설(異說)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며 낙론의 학문적 입장을 굳건히 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오희상의 성리설을 사상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위상을 확인하고, 그의 학문 활동이 주로 호락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놓여 있었던 만큼 그의 호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 유의하면서 그의 성리설 체계를 고찰하였다.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의 중심에는 인간 도덕성 실현을 위한 현실적 근거의 체계화가 자리하고 있다. 인간의 순선한 도덕성의 실재성과 이의 구체적인 실천을 정초하기 위해 세계 구성과 도덕의 실천을 리기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특히 도덕 실천의 근거로서 리의 순선성과 실재성을 확인하고, 그것의 현실적 실현을 위한 주체의 정초를 위해 리기 관계의 상함성에 주목하였다. 그가 심성에 대한 리기론적 이해를 통해 심성의 논리적 관계와 가치적 측면에 대한 해명을 제시한 것은 순선한 도덕성의 현실적 기반 구축과 이것의 실현, 즉 수양의 체계를 수립하는 데로 이어졌다. 따라서 오희상의 논의는 적어도 원리적 차원에서 만큼은 순선한 도덕성의 실재성과 본선한 도덕 주체의 확립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방향이었으며, 현실적 측면에서도 이를 담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갔다고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