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rical Status of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 저술(著述) 『천명도설(天命圖說)』의 사상사적(思想史的) 위상(位相)

  • 박성순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 Received : 2014.02.25
  • Accepted : 2014.03.22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A pen name Chuman(秋巒; a mountain of Fall), Jeong Ji-wun(1509-1561) is a famous person wrote "Cheonmyeong-Doseol" which made two men, Yi Hwang and Ki Dae-$s{\breve{u}}ng$ dispute Sachil-Nobyeon(traditional argument about heart/mind). But except this point, few people of nowadays know who Jeong Ji-wun was. Therefore this paper is made for understanding Jeong Ji-wun in the point of view in history of thought.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had systemized traditional theory of Cheonil-Habil(sky and human are an organic body), through this theory, Jeong Ji-wun had taken an important role who developed the Neo-Confucian theory in the field of political thought at that time. All Neo-Confucian literati used the theory of heart/mind as a sole useful method in political field from after King Myeonjong and Seonjo. "Cheonmyeong-Doseol" by Jeong Ji-wun was a first step to this scene. Especially "Cheonmyeong-Doseol" was got famous by arguments of Yi Hwang and Ki $Dae-s{\breve{u}}ng$, great scholars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y firstly developed Sachil-Nobyeon, Sandan(pure morality) comes from li, Chiljeong(emotions) comes from Ch'i, is it right or not? This argument with "Cheonmyeong-Doseol" raised up the level of Neo-Confucian theory at that time. Like this, "Cheonmyeong-Doseol" was on the first step for Neo-Confucian literati to study and develop their theory of political thought which covered politics in Chosun Dynasty.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1509-1561)은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칠논변(四七論辨)의 단초가 된 "천명도설(天命圖說)"를 그린 당사자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런 사실을 제외하고, 아직까지 추만 정지운이라고 하는 인물에 대해서 학계는 물론 일반대중들도 깊이 있는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정지운에 대한 선행연구도 "천명도설(天命圖說)"의 내용 분석을 위주로 하는 미시적 방식을 취하는 데 머물러 있다. 정지운의 삶과 학문이 그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지운은 "천명도설(天命圖說)"를 지어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논리적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밝혀 기묘사림(己卯士林)을 신원하고, 그들의 유지를 정연하게 체계화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성숙시키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사림파의 성리학설이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사상으로 자리 잡는다는 점을 볼 때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를 두고 이황과 기대승 간에 벌어진 논변은 조선 성리학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는 "소학(小學)"과 "근사록(近思錄)"의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던 당시 상황에서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을 본격화함으로써 조선 전기 성리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황과 기대승은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를 중심으로 논변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심화시키는 출발점에 서게 되었다. 이때 정착된 사림파의 심학화(心學化) 경향은 명종과 선조대를 거치면서, 완전히 조선 정치사상사를 주도하는 정치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는 그러한 정치사상사의 흐름을 견인한 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정지운의 "천명도설(天命圖說)"가 지니고 있는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확인하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