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드름의 변증 유형별 주요 증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jor Symptoms by Each Pattern of Acne Vulgaris

  • 정우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홍유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신준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김윤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남혜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김규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이준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Jeong, Woo-Yeol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Hong, Eu-Gen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hin, Jun-Hyuk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Yoon-Bum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Nam, Hae-Jung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Kyu-Seok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un-Hee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4.10.13
  • 심사 : 2014.11.12
  • 발행 : 2014.11.25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tial point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for Acne vulgaris and suggest them to the clinic setting Methods : We searched the papers that suggest patterns identification for Acne vulgaris through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We looked through all the papers, excluded unintended papers, and finally chose some papers that are suitable for inclusion. Then, We extracted all the patterns of Acne vulgaris and chose frequently suggested patterns. Finally we extracted symptoms from selected patterns and arranged them in order of frequency. Results and Conclusions : 1. We found 215 papers and chose 17 papers (Korean : 6, Chinese : 11). 2. We extracted total 67 demonstrations and chose Patterns of Wind-Heat, Damp-Heat, Phlegm and Static blood, Disharmony of the Thoroughfare and Controlling vessels. 3. In Acne vulgaris, the pattern of Wind-Heat tends to have a red papule, sometimes pustule, pain with itching, burning sensation, tidal reddening of the cheeks, white head or black head. The pattern of Damp-Heat tends to have a pustule, node, redness and swelling, pain and greasy skin. The pattern of Phlegm and Static blood has a tendency to be a nodule or cystoma that is hard, dark, painful, long lasting and hard to recover and easy to recur with a scar, pimple, pigmentation. The pattern of Disharmony of the Thoroughfare and Controlling vessels tends to be exacerbated before menstruation, have a small papule that is not easily treated under the chin or around the mouth.

키워드

Ⅰ. 서 론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염증 질환을 뜻하며 면포, 구진, 농포, 결절, 거짓낭(pseudocyst) 등 다양한 병리적 소견들이 나타난다. 또한 오목흉터(Pitted scar)나 비대흉터(Hypertrophic scar)와 같은 후유증이 남기도 하며1), 이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자신감 결여 등의 심리적 문제들을 야기할수도 있다. 여드름은 특히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인안면과 흉배부에 호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여 20대 중반 이후에는 대부분 호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2).

한의학적으로 여드름은 痤瘡, 面疱, 肺風粉刺 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 病因病理로는 肺經風熱이 顔面部로 外溢 하여 나타나는 경우, 飮食不節하고 肥甘厚味를 과식하여 발생한 濕熱이 顔面部로 逆上한 경우, 血行이 不暢하고 久濕이 內程하여 형성된 痰熱이 肌膚에 鬱滯한 경우, 衝任脈의 氣血不和로 인하여 肌膚의 疏泄기능이 不暢되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2).

변증이란 望聞問切의 과정을 통하여 임상 증상과 신체 징후들에 대한 분석과 판단을 의미하며 한의학에서의 “證”이라 함은 발병원인이 되는 인자의 작용하에 인체에 생기는 증상 및 징후의 총합을 뜻한다3).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환자를 변증함에 있어서 환자의 주관적 표현이나 의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소지가 있으므로 객관적인 진찰이 어렵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수치화된 자료가 아니며, 證型의 객관적인 비교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다4).

현재까지의 한의학계에서 여드름의 변증에 관한 한의학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 등5), 김 등6), 이7) 가古典 및 중의학 서적을 통해 여드름의 변증 분류에 대해 고찰하였으나, 다양한 변증 분류들의 제시에 그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이에 저자는 한국과 중국의 논문들을 토대로 각 문헌에서 제시한 변증 분류 및 증후 분석을 통해, 여드름의 변증 유형별 주요 증후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임상 진료에 응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1. 논문 수집

1)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http://www.cnki.net)

여드름을 의미하는 痤瘡의 간체자인 “痤疮”과, 證의 간체자인 “证”을 and 연산을 통해 Cross-language Search하였다. 검색 Subject는 “Medicine & Public Health” 중 “Traditional Chinese Medicine”과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항목을 선택하였다(검색일 : 2014년 8월 18일).

2)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http://oasis.kiom.re.kr), 한국전통지식포탈(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 http://www.koreantk.com),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http://kiss.kstudy.com)

세 군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드름”을 주제어로 논문 검색을 시행하였으며(검색일 : 2014년 8월 18일), KISS에서는 검색 후 한의학 관련 발행기관에서 출간한 논문만을 선택하였다. 선택한 발행기관은 대한본초학회, 대한한의학원전학회, 대한침구의학회, 대한한방부인과학회, 경희대학교 동서약학연구소,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한국생약학회, 경락경혈학회, 한방비만학회, 고려인삼학회였다.

2. 논문 선택

검색된 논문들 중, 먼저 중복되는 논문 및 전문을 구할 수 없는 논문을 제거한 후, 여드름과 관련이 없는 논문과 정식 학술 논문이 아닌 것, 그리고 실험 연구 논문을 제거하였다. 또한 辨證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논문, 辨證이 제시되어 있더라도 기준이 되는 증상들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辨證 유형에 국한하여 진행된 증례 및 임상연구들을 배제하였다.

3. 변증 유형 추출

최종적으로 선택한 논문들에 제시된 여드름의 변증유형을 살펴보고, 각 변증 유형들이 제시된 빈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변증명과 제시된 증상을 살펴본 후,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변증들을 하나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빈도를 계산하였다.

4. 다빈도 변증 유형들의 증상 및 처방 추출

다빈도로 추출된 변증 유형에서 제시한 증상들을 구체적으로 각각 살펴보고 빈도순으로 정리하였다. 크게 피부 증상과 전신증상으로 나누었고, 구체적으로 피부증상은 염증성 증상, 비염증성 증상, 반흔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전신증상은 舌, 脈, 大小便, 消化, 月經, 기타로 나누어 보았다. 증상 용어는 或有膿疱와 或膿疱, 顔面潮紅과 顔面色潮紅처럼 뜻이 완전히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개별 증상으로 계산하였다. 또 한 증상 추출 시, 원문 보존을 위해 중국 논문의 경우에는 간체자를 그대로 인용하였으며, 국내 논문에서 번체자로 제시된 증상과 동일한 경우에는, 번체자로 통일하여 합산하였다. 또한 처방이 제시된 논문들의 경우 변증별로 언급한 처방들을 추출하였다.

 

Ⅲ. 결 과

1. 논문 검색 결과 및 논문 선택

검색 결과, 총 21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CNKI에서 63건, OASIS에서 53건, KTKP에서 78건, KISS에서 21건이 검색되었다. 이 중, 중복된 논문은 CNKI를 제외한 OASIS, KTKP, KISS에서 발생하였는데 총 38편이였고, 전문이 없는 논문 1편과정식 학술 논문이 아닌 23편은 CNKI에서만 검색되었다. 또한 전체 검색 결과에서 여드름과 관련이 없는 논문이 37편이었는데 이는 모두 KTKP에서 검색되었다. 이 외에 실험 연구 27편, 변증 제시가 없거나 변증이 제시되었더라도 기준이 되는 증상들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논문 57편, 특정 변증 유형에 국한하여 진행된 증례 및 임상연구 15편을 모두 배제하여 최종적으로 215편 중 17편의 논문이 선택되었다(Fig. 1).

Fig. 1.Flow chart of paper selection.

2. 변증 유형 추출

선택된 17편의 논문에서 제시된 변증 유형을 정리 한 결과, 총 67개의 변증유형이 제시되었다. 이 중, 肺經風熱 9건, 肺胃蘊熱 2건, 肺經血熱 2건, 肺熱血熱 1건, 肺胃積熱 1건, 肺胃熱盛 1건, 風熱 1건은 4인의 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해 風熱型(17건)으로 범주화하였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腸胃濕熱 7건, 濕熱蘊結 5건, 濕熱 1건, 脾胃濕熱 1건은 濕熱型(14건)으로, 痰瘀結聚 2건, 痰瘀互結 3건, 痰瘀凝結 2건, 瘀血阻滯 2건, 血瘀痰凝 1건, 痰凝或血瘀 1건, 血瘀痰結 1건, 痰濕凝結 1건, 痰濕瘀滯 1건은 痰瘀型(14건)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衝任不調 8건은 衝任不調型(8건)으로, 脾失健運 3건, 脾虛痰濕 2건, 脾虛濕盛 1건은 脾失健運型(6)으로, 氣血鬱滯 3건, 肝氣鬱結 1건, 肝鬱化火 1건은 氣血鬱滯型(5건)으로 분류하였고 熱毒 2건과 陰虛火旺 1건은 기타로 분류하였다(Table 1, Fig. 2).

Table 1.Pattern Identification in Selected Papers

Fig. 2Collected patterns in selected papers

3. 다빈도 변증 유형들의 세부 증상 및 처방 추출

범주화한 변증유형들 중, 빈도가 높았던 辨證인 風熱型, 濕熱型, 痰瘀型, 衝任不調型을 토대로 변증별 세부 증상 및 처방을 추출하였다(Table 2).

Table 2.Extracted Symptoms and Formulas from Selected Patterns

Table 2.계속

1) 風熱型

피부증상 중 염증성 증상으로는 紅色의 丘疹이 많았고 膿疱가 나타날 수 있음이 빈번히 언급되었다. 통증은 痒痛 양상이 많았고 灼熱感, 面頰潮紅感 등도 제시되었다. 비염증성 증상으로는 白頭 또는 黑豆 양상의 粉刺가 언급되었다.

전신증상으로는 舌紅, 苔薄黃이 대부분이었으며 脈浮數 또는 脈數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대변은 乾燥하고 便秘경향이 있으며 소변은 尿赤 또는 尿黃하였다. 그 외에 특징적인 증상으로 口乾渴, 顔面潮紅, 鼻息氣熱 등이 있었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枇杷淸肺飮加減이 언급되었다.

2) 濕熱型

피부증상 중 염증성 증상으로는 膿疱, 結節이 매우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紅腫, 色紅한 경향이 나타났고 통증의 경우에는 疼痛 양상을 보였다. 비염증성 증상으로는 皮膚油膩가 독보적으로 많이 제시되었다.

전신증상으로는 舌紅, 苔黃膩, 脈滑數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대소변은 風熱型과 마찬가지로 便秘, 尿黃赤 경향을 보였으나 그 빈도가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또한 특징적으로 納呆腹脹, 口臭가 빈번히 나타났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茵蔯蒿湯加減이 제시되었다.

3) 痰瘀型

피부증상 중 염증성 증상으로는 結節, 囊腫이 빈번히 나타났으며 堅硬하며 疼痛의 경향이 나타났다. 또 한 비염증성 증상으로는 皮疹의 색이 暗紅하며 多在面頰及下頷이 제시되었다. 또한 특징적으로 瘢痕, 疙瘩, 色素沈着의 증상들이 나타났다.

전신증상으로는 舌暗紅, 紫暗, 或瘀斑, 舌淡胖이 빈번히 나타났으며 苔는 白膩한 경향이 보였으나 그 빈도가 2건으로 크지는 않았다. 脈은 滑澁한 경향이 있었다. 그 밖에, 便溏, 納呆腹脹이 제시되었으나 빈도는 크지 않았으며, 여자의 경우 經前加甚, 月經不調, 血塊의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음이 언급되었다. 또한 특징적으로 經久不愈, 反復發作, 面色晦暗의 증상이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丹梔逍遙散加減, 桃紅四物湯, 血府逐瘀湯加減, 桃紅二陳湯加減方, 桃紅四物湯合海 藻玉壺湯이 제시되었다.

4) 衝任不調型

衝任不調형의 경우, 피부 증상은 월경주기와 유관하게 經前加重되는 증상이 빈번히 나타났고, 黑頭爲主, 小發疹而不易愈, 丘疹見于下頷或口周도 언급되었다. 또한 전신증상으로 舌紅, 脈弦, 脈細數이 제시되었고, 특징적으로 月經不調, 小腹脹痛, 痛經이 다빈도로 출현하였으며, 기타 증상으로 心煩易怒, 乳房脹痛이 한 건씩 나타났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丹梔逍遙散과 加味六君子湯이 제시되었다.

 

Ⅳ. 고찰 및 결론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발생하며,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피지선이나 모공이 막혀 발생하는 모낭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여드름의 형태는 심상성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 응괴성 여드름, 켈로이드성 여드름, 전격성 여드름, 신생아 여드름, 월경 전 여드름,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등이 있으며 이 중 심상성 여드름이 가장 흔한 형태로, 일반적인 여드름을 의미한다5).

여드름의 병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로 남성호르몬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모낭의 과각화와 모공 폐쇄, 세균(P.acne)의 증식, 염증 유발, 피부장벽기능의 이상,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여드름의 약물치료는 크게 국소요법과 전신요법으로 대별되는데, 국소요법은 비염증성 면포만을 갖는 환자나 경증 또는 중증의 염증성 환자에게 시행하며 전신 치료 시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면포만 있거나 초기 여드름의 경우 retinoic acid, benzoyl peroxide, azelaic acid 및 erythromycin, clindamycin과 같은 도포용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신 치료는 국소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반흔을 남길 수 있는 중증의 여드름에 사용되는데, Vitamin A 유도체인 isotretinoin과 tetracycline, erythromycin 등의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흉부와 체간의 여드름은 국소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므로 경구제의 투여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광치료, 레이저 치료, 광역동 치료, 박피술 등이 시행되고 있다23).

여드름은 한의학적으로 痤瘡, 面疱 등이 가장 유사하며, 이 밖에도 面生瘡, 粉刺, 面腫, 面熱, 肺風粉刺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여드름의 원인은 六淫 중에서 風, 熱, 濕, 寒, 火와 관련되며 내부적 요인으로는 肺熱血熱, 腸胃濕熱, 脾虛濕痰, 血熱, 毒熱, 濕毒, 陰虛血瘀, 痰飮 등이 있고, 臟腑로는 특히 肺, 脾, 胃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4). 여드름의 한의학적 치료를 살펴보면 肺熱血熱型에는 枇杷淸肺飮, 黃芩淸肺飮加減을 사용하고, 脾胃積熱型에는 三黃丸合茵蔯 蒿湯加減, 熱毒熾盛型에는 三花湯加減, 血瘀痰凝에는 桃仁茵蔯湯加減, 陰虛血熱에는 淸營湯, 衝任不調에는 丹梔逍遙散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2), 문헌에 따라 그 변증 분류와 제시된 증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 문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빈도로 제시된 辨證을 알아보고 빈도별 증상 추출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검색 결과, 국내 논문 152편, 중국 논문 63편이 검색되었고, 배제 조건에 의해 국내 논문 6건, 중국 논문 11건 총 17건이 논문이 선택되었다. 이들의 변증유형을 살펴 본 후, 病因을 중심으로 風熱, 血熱, 熱의 병태를 風熱型이라 묶고, 熱證에 濕이 겸한 병태들을 濕熱型으로, 痰과 瘀血이 함께 나타난 병태를 痰瘀型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특이적으로 월경이 밀접한 유발 요인이 되는 경우를 衝任不調型으로 나타내었고, 각 변증별 세부 증상 및 처방들을 추출하였다. 脾失健運型과 氣血鬱滯型도 각각 6편, 5편씩 언급되었으나, 세부 증상들을 살펴본 결과 脾失健運型의 경우 痰瘀型과, 氣血鬱滯型은 衝任不調型과 유사한 측면이 있어 명확히 구분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배제하였다. 또한 熱毒 2건과 陰虛火旺 1건은 빈도가 낮아 추출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熱毒의 경우 그 양상이 風熱型과도 대치되는 부분들이 많아 風熱型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연구 결과, 風熱型의 경우에는 丘疹紅色, 或有膿疱하여 구진성 여드름의 양상이 보이고, 痒痛, 灼熱感, 面頰潮紅, 白頭或黑豆粉刺의 피부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전신증상으로는 舌紅, 苔薄黃, 脈浮數或數, 大便秘結, 尿赤, 口乾渴, 鼻息氣熱이 나타날 수 있으며 枇杷淸肺飮加減을 사용할 수 있다. 大便秘結, 尿赤, 口乾渴을 통해 裏證의 모습들을 다소 확인할 수 있으나 舌苔薄, 脈浮數을 통해 아직 완전히 入裏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濕熱型은 膿疱, 結節性皮疹, 紅腫, 色紅, 疼痛, 皮膚油膩의 피부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화농성 여드름과 유사한 모습으로 판단된다. 또한 舌紅, 苔黃膩, 脈滑數하여 風熱型의 苔薄黃, 脈浮數에 비해 좀 더 入裏한 모습을 보이며, 風熱型에서도 제시된 便秘, 尿黃赤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날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로 더 많은 빈도로 추출되었다. 이 밖에도 納呆腹脹, 口臭가 나타날 수 있으며, 茵蔯蒿湯加減을 사용할 수 있다.

痰瘀型은 結節, 堅硬, 囊腫, 皮疹暗紅, 多在面頰及 下頷結節, 疼痛한데, 앞서 제시한 두 가지 변증유형보다 병변이 좀 더 견고한 형태인 낭종성 및 결절성 여드름의 형태와 유사하다. 또한, 經久不愈하고 反復發作하는 양상과 瘢痕, 疙瘩, 色素沈着과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 있음을 통해 비교적 만성화된 형태의 여드름으로 판단되며, 瘀血로 인한 舌紫暗或瘀斑, 脈澁과 痰으로 인한 舌淡胖, 苔白膩, 脈滑이 나타날 수 있다. 처방으로는 丹梔逍遙散加減, 桃紅四物湯, 血府逐 瘀湯加減, 桃紅二陳湯加減方, 桃紅四物湯合海藻玉壺湯이 제시되었다.

衝任不調型은 여드름이 월경주기와 밀접히 관계되어 經前加重되는 것이 특징적이었으며 黑頭爲主, 잘낫지 않는 小發疹의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턱 아래 및 입 주변부에 다발한다는 내용도 언급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유 등25)이 월경병과 하악부 면포 사이의 관계를 임상적으로 관찰하였으나 유의한 연관성을 찾지는 못했다. 단, 연구방법에 있어서 여러 한계점들이 발견되어 추후 보완된 형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月經不調, 小腹脹痛, 痛經과 같은 월경증상과 心煩易怒, 乳房脹痛舌紅, 脈弦, 脈細數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丹梔逍遙散과 加味六君子湯이 제시되었다(Table 3).

Table 3.Differential Points of Dermal Symptoms Following Each Pattern

본 연구는 한국 및 중국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빈도순으로 여드름의 변증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증상을 비교함으로써 주요 감별점들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로 여겨지나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다. 먼저 높은 빈도의 변증유형을 추출한 후 큰 범주로 묶는 과정에서, 변증마다의 세세한 차이점들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증상이 비슷하더라도 구체적인 病理機轉을 살펴보면 크고 작은 차이점들이 있을 것 으로 생각한다. 또한 연구대상으로 삼은 6편의 국내논문과 11편의 중국 논문에서 제시된 변증을 각각 살펴보면, 국내 연구들에서는 33%(2/6)에서 脾虛痰濕型이 제시되어 虛證형태의 여드름을 제시하였으나, 중국 논문들에서는 陰虛火旺이 한 편을 제외하고는 虛證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는 곧 韓醫學과 中醫學의 관 점이 조금씩 다름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들을 간과하고 하나로 합산하여 연구를 진행한 아쉬움이 있다.

임상에서는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의 환자들이 있고 환자의 유형도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문헌에 제시된 변증과 증상에 의해 환자를 진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문헌에 기반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추후 이를 기초로 삼아 임상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한다면 추후 더 유용한 변증지표 개발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6th Edition Dermatology. Seoul:Medbook, 2014:528
  2. Korean Traditional Dermatology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Seoul:Sunwoo. 2007:486-90
  3. Yim HJ, Kim SH, Lee SR, Jung IC.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8;22(5):1071-7
  4. Lee EH, Choi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435-50 https://doi.org/10.7231/jon.2013.24.4.435
  5. Joo HA, Bae HJ, Hwang CY. A literature Study about Comparison of Eastern-Western Medicine on the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2):1-19 https://doi.org/10.6114/jkood.2012.25.2.001
  6. Kim SJ, Yun CY. A Literatural Study on the Classifcation of Differential Diagnosis for Acne Treatment in Oriental Medical Papers. Korean Journal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Dermatology & Aesthetics. 2010;3(1):36-52
  7. Lee SH. The Clinical Classification as Identify of Symptoms about 54 Cases of Patients with Acne. Korean Journal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Dermatology & Aesthetics. 2005;1(1):114-126
  8. Jeong HY, Ji SY. Consideration of Acne Vulgaris in East and West medicines.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1997;22(4):41-54
  9. Kim KH, Gil HS, Choi BM. Comparison Consideration of Acne Vulgaris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Korean Medical Gi-gong Academy. 2001;5(1):284-302
  10. Kim DI, Lee TG. Management of female acne in OPD of Korean medicine OB. J of Orient Obstet Gynecol. 2001;14(3):80-100
  11. Park SY, Na CS, Jeong WC, Lee JC. A Clinical Study for Effect of Herbal Cosmetics Containing Cortex Betulae Platyphyllae Extract Complex on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3):1-19 https://doi.org/10.6114/jkood.2013.26.3.001
  12. Wu XX, Jia HS. The Syndrome and Treatment of Acne Vulgaris. Shanxi Correspondenc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0(3):22-3
  13. Gao LY. TCM Syndrome Typing and the Syndrome Differentiation Treatment on Acne Vulgaris. Chins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2;20(5):701
  14. Wang HY, Zhou CH, Chen GQ. Relationship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Sex Hormone Levels in Women with Acne Vulagaris. New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5;37(5):24-5
  15. Qu JH, Yaho WH, Wang P, Chen XY, Liu JS. Clinical Research and Experiment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Facial Flora of Acne patients. Journal of Medical Research. 2006;35(10):100-1
  16. Zhang JL, Yang HI, Bai X, Zhang JD, Wang YH.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 of Sex Hormones in the Luteal of Menstrual Cycle in Women with Acne Vulagaris and Typing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 J Derm Venereol. 2009;23(1):672-80
  17. Li ML, Yang L, Huang WJ, Zou ZM, Pan C, Lai MS. Discussion on TCM Pathology of Acne based on Prof.Yang Liu's Four Different Syndrome Typings.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10;21(2):456-7
  18. Li ML, Zou ZM, Huang WJ, Pan C, Lai MS, Yang 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rof.Yang Liu's Academic Thoughts about Acne and Recent 20 years' Literature.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10;21(4):985-7
  19. Cang T, Wang P, Qu JH. Research Chen Tong-yun's Clinical Medicine and Syndrome Characteristic on Treatment of Acne. Beij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29(5):329-32
  20. Zhou BK, Zhou T.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Experience of Acne.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 of TCM. 2010;14(7):13-5
  21. Ouyang WJ, Chen XY, Chen XQ. Research Progresse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CM Syndrome Typing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Acne Vulgaris. Medical Recapitulate. 2013;19(23):4340-7
  22. Peng QD, He HX. TCM Dialectically Nursing and Acupuncture Treatment for Acne vulgaris Patients in Puberty. Chinese Journal of Aesthetic Medicine. 2013;22(23):2325-7
  23. Ahn SK, Jang KH, Song, JW, Cheon SH. Common Skin Disease. Seoul:Doctor's Book, 2009:114-145
  24. Lee WG, Kim BH, Jeon SW, Kim KS, Nam HJ, Kim YB. The Latest Trends of Treatment for Acne Vulgaris in Pubmed.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2):41-56
  25. Yu HJ, Lee SD, Choi IH. A Clin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cne Distribution in the Jaw and Emmeniopath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4;17(2):87-93

피인용 문헌

  1. Inhibitory effects of Cheongsangbangpoong-tang on both inflammatory acne lesions and facial heat in patients with acne vulgar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 vol.16, pp.1, 2015, https://doi.org/10.1186/s12906-016-1000-9
  2. An Expert Survey for Developing the Pattern Diagnosis Instrument of Acne vol.28, pp.2, 2015, https://doi.org/10.6114/jkood.2015.28.2.023
  3. Twenty-two Case of Acne Treated by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Therapy Combined with Herbal Medicine and Extrusion vol.28, pp.3, 2015, https://doi.org/10.6114/jkood.2015.28.3.114
  4. A Literature Review for Developing the Clinical Phenotype Evaluation System of Atopic Dermatitis vol.29, pp.1, 2016, https://doi.org/10.6114/jkood.2016.29.1.145
  5. 여드름 외용제에 관한 한의학 문헌 고찰 vol.31, pp.3, 2014, https://doi.org/10.15188/kjopp.2017.06.31.3.153
  6. 여드름 흉터의 한의학 치료에 대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vol.31, pp.2, 2018, https://doi.org/10.6114/jkood.2018.31.2.086
  7. 중국 논문에 나타난 건선의 변증 분석 및 변증체계에 대한 고찰 vol.33, pp.2, 2014, https://doi.org/10.6114/jkood.2020.33.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