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문평론』에 나타난 ‘지나(支那)’- 자기화 된 만주와 제국의 ‘안의 밖’ 지나 -

‘Jina(支那)’ in Inmunpyungnon - focused on Manchuria and 'outside in' Jina of Empire -

  • 발행 : 20140000

초록

1930년대 후반 인문학계를 대표하는 잡지인『인문평론』은 복잡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대한 문학의 선도성을 놓치지 않으려 했다. 문학의 지도력에 대한 욕망으로 인해『인문평론』속에는 어떤 방식으로건 제국 일본의 이데올로기와 그에 대한 식민 조선의 반응이 드러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시대에 대한 지도력을 놓치지 않으려 했던『인문평론』에서 거듭 부각되고 있는 공간이 바로 ‘지나(支那)’이다. 지나라는 공간의 특성 및 이에 대한 정념, 정동은 만주와의 차이를 통해 보다 선명히 부각된다. 1930년대 후반 당대 조선의 현실적 삶에 보다 가까이 있었던 것은 만주이다. 만주는 당시 이미 120만의 이주민들이 존재하는 “조선사회의 탈출구”, 제2의 생활의 공간으로, 식민 조선의 입장에서는 현실의 이해득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곳이었다. 이로 인해 이기영의「만주와 농민문학」등에서도 확인되듯이 어느 순간 만주에는 근대의 논리, 생활인의 논리에 동양을 호명하는 제국의 동일화 논리와 조선의 민족주의가 큰 충돌 없이 겹쳐지게 되었다. 이에 비해 지나는 여전히 조선인의 생활이 탈각된 공간으로, 제국 일본이 동양을 호명하며 그 ‘안’으로 끌어들이고 싶어 했던 동양의 ‘안의 밖’이었다. 이러한 차이는『인문평론』의 시선이 만주가 아닌 지나를 향했던 이유와도 연결된다. 『인문평론』에 나타난 지나 역시 만주와 같이 문명 대 미개 구도에서 ‘미개’로 다루어지지만, 지나 나름의 고유한 특색과 그로 인한 가능성이 부각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물론 이때의 가능성이 제국 일본의 논리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나라는 공간에서의 경험과 이에 대한 정동은 배호 등의 글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이에 그치지 않고 여러 갈래의(지나와 조선, 조선과 일본 등) ‘같지 않음’에 대한 인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즉, 지나에 대한『인문평론』의 관심과 시선은 제국 일본의 욕망 및 논리와 맞닿아 있는 것이지만, 그 편중된 관심은 어떤 의미에서는 적극적인 저항이나 정면충돌을 피해, 한편 시대에 부합하며 다른 한편 그 나름의 길을 모색하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만주가 아닌 지나를 향한 관심과 그 시선은 시대를 보는『인문평론』의 감각적 예민성을 확인케 하는 한 예이며, 그 시선의 흔들림과 균열은 제국 일본이 아닌 조선의 입장에서 본 지나의 가능성이기도 할 것이다.

Since the modern times, literature has tried to exercise leadership onthe times in any forms. Yet, like all kinds of desires, this is also relatedto the reality. In particular, this was not an easy one in the rapidlychanging situation when KAPF fell out and the Sino-Japanese Warbroke out in late 1930s. Inmunpyungnon tried not to lose leadership ofliterature even during the complex period from October 1939 to April1941, that is, from the end of the Sino-Japanese War to the PacificWar. The space which was continuously emphasized in Inmunpyungnonwith the intention of leadership on the times was 'jina(支那-China).'With a focus on this,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Inmunpyungnonwhich tried to lead literature at that time recognized the place calledjina, which was different not only from Gyeongseong (Seoul) and Tokyobut also from Manchuria, and based on the specific aspects and affectsabout it, it also aims at investigating the matter of a political order andidentit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new order in East Asia” or ”theone-body theory of East Asia.”Manchuria, the “place to escape from Joseon society” and the secondliving space with about 1.2 million immigrants, was the place where thegain and loss of the reality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compared tothis, jina was the space that is relatively free from Joseon people's life.jina was a unique place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at it was theonly nation that was located outside of the empire among the three EastAsian countries and secured a certain amount of distance from thenational view point of Joseon.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Joseon often regarded the situation of Manchuria before and after Manchukuo asbarbarism and disorder. This view point was also applied to jina.However,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jina was explained as“uncivil zed”, also as having its own features and potential from them.For instance, Han Seol-ya emphasized that both its nature andartificiality were unfamiliar but new, pointing out that the ways toexplain jina were also not about jina itself but underestimated it at thewriters’ distraction. Bae Ho’s experience is also worthy of attention.While doing sightseeing in Beijing with a Chinese college student, hereceived special treatment. The Chinese students were the target ofphysical custody, but he could avoid it as westerners could. Theinteresting part is his sense of this preferential treatment. It was notsuch a pleasant experience to him. The internal logic and that ofassimilation becomes clear easily at the place wher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ones became equal such as inManchuria, but in some part, the differences in the power relationshipbetween the ruling and the subjugated group could be understood injina. In short, through this sense about jina, it could be made sure thateven though the logic of the empire could be repeated faithfully, theassumption that Japan was identical to Joseon was merely “imaginaryidentity.” In addition, Joseon inside the empire was different in kind andtherefore stood out as ”the outside of insid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