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in Dementia Offered National Long Term Care Insurance

국내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제공 받는 치매 환자 대상 작업 중심 회상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정해인 (단양 다사랑 노인요양원)
  • Received : 2014.06.05
  • Accepted : 2014.06.30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in Dementia offered National Long term care Insurance.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we have to compare the studies. Methods :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 from 2009 to 2013, using KERIS. Main words to examine are Dementia, Long term care service, Day care center, reminiscence therapy, occupational centered, etc. Results : 6 studies were selected, All of them were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Reminiscence therapy can be devided into communication centered reminiscence therapy and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maintenance cognitive skills and reminiscence skills, decreased depression, behavioral change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nd quality of life etc.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05). Conclusions : If occupational therapists can obtain knowledge and make a program for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research in this field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study, the use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applied to a variety of interventions and majority of patients is needed o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제공받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 작업 중심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중재 적용한 연구 효과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을 통해서 확인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치매, 시설 서비스, 주간 보호 센터, 회상치료, 작업 중심 프로그램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총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연구에서의 회상치료는 모두 작업 중심 프로그램을 병행한 집단 회상치료이다. 세부 중재 형태는 의사소통 중심 회상치료, 작업 중심 회상치료로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치매 환자 대상의 회상치료의 효과는 인지기능 유지 및 회상기능 향상, 우울감소, 문제행동 감소,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삶의 질 향상 등 총 5가지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연구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적은 대상군, 짧은 연구기간, 추적조사 미시행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내적, 외적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매환자 대상의 다양한 형태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