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무도로서 공수도 형(形) 기술의 활용

Application of karatedo Kate Techniques as a Security Guard Martial Arts

  • 정일홍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과)
  • 투고 : 2014.05.07
  • 심사 : 2014.05.28
  • 발행 : 2014.05.30

초록

본 연구는 경호무도로서 공수도 형(形)기술의 활용의 적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형 기술을 통해 경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완전한 임무수행을 할 수 있으므로 공수도 수련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공수도의 가치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공수도, 경호무도, 무도 등 관련서적과 자료, 논문을 수집하여 참고하였다. 공수도가 경호무도로서 가지고 있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수도 형은 신체의 모든 부분을 이용하는 동작을 통해 경호원의 체력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공수도 형은 실전에서 터득하거나 수련을 통한 성과의 기술들이 내재되어 있어 위해자로부터 다양한 공격에 대비할 수 있는 호신 또는 경호무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공수도 형의 예를 배우며 정신력 또한 가다듬을 수 있어 상대와의 대결에서 생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경호무도로서의 공수도는 다변화에 따른 사회의 제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범죄 발생 등에 따라 경호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경호무도로서 더욱 발전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the use of Karate Kata martial arts as a guar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mission to protect the subject guard it with the type technology. So, it is possible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karate training. And placing the purpose in raising the value of karate. Approach is a literature study. Collect and materials related books, papers karate, martial arts guards, such as martial arts, was helpful. First, karate kata use all the parts of a body. Thus, it is possible to form physical strength security staff. Second, Karate Kata has techniques are included.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for a variety of attacks from the reservoir's. Thus, karate is capable of use as a security guard martial arts. Third, understand karate kata learn manners. And it can be a good learning mentality. Therefore Karate is in accordance various social changes such as the need to guard. Karate is security guard martial arts as a guar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두현, "경호학개론", 서울: 엑스퍼트, 2011.
  2. 박기범, 김태민, "한국 합기도 기술의 경호무도 적용", 대한무도학회지, 12권, 3호, 343-359, 2010.
  3. 김경지, "태권도경기의 과학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논총, 6권, 139-149, 1993.
  4. 김주훈, 김길평, "태권도와 공수도의 역사성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권, 1호, 51-61, 2003.
  5. 대한공수도연맹, 공수도지도자교육자료, 부산, 대한공수도연맹, 2008.
  6. 류호평, "한국 태권도 심사제도 변천의 역사적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북,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7. 안용규, "태권도사관 정립을 위한 제언", 태권도사관 정립과 태권도 정신도를 위한 세미나, 대한태권도협회 연구개발위원회, 1997.
  8. 임관인, "태권도 품새와 태극권 투로의 비교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0.
  9. 전인배, "공수도의 유래와 명칭 변경",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10. 최영의, "실전 공수도교법", 서울, 서림문화사, 1993.
  11. 全日本空手道聯盟, "空手道形敎本", 東京, 株式會社べ一スボ一ル․マガジソ社, 1981.
  12. 中山正敏, "空手道実践", 東京:株式會社永岡書店, 1995.
  13. 정일홍, "경호무도로서 공수도 수련의 가치", 융합보안논문지, 12권, 5호, 33-39, 2012.
  14. 오정주, "경찰체포 호신술 교본", 서울, 도서출판 인동, 1999.
  15. 최석기, "現代跆拳道修鍊에 관한 硏究",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강태정 역, "공수도백과", 서울: 서림문화사.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