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Smart Education and German Media Education

한국의 스마트교육과 독일의 미디어교육

  • Received : 2014.04.15
  • Accepted : 2014.06.2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inspired by the issue that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have been overlooked, as today's smart education policies established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have only focused on building digital environment and its efficiency. To carry out the study, the media education of Germany, which is equivalent of Korea's smart education, was analyz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Korea's smart education. In Germany, the media education has been managed by the country ever since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gun. Since 2009, the media education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all schools in every state. Thus, the current media education policy of each state has been analyzed,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1) The media education is closely linked to existing curriculum and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onducted separately with different standards. 2) The media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 democratic manner by actively reflecting the exemplary cases of school teachers, rather than following the instructions and guidelines from the government. 3) The media education deals with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young students, based on their basic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ociety, which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fe in the upcoming society. Unlike the first and second implication linked to the method and procedure of media education policy, the third implication is the basic purpose of media education, which is also the key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media education policy of Germany, which is being conducted with its own educational philosophy,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s smart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education only revolves around device-based environment innovation or content develop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is developing smart individuals who can bring better, happier, and more successful society - rather than establishing a smart environment. Therefore, the focus of discussion on Korea's smart education that revolves around environment, infrastructure, device utilization, and contents development should be changed to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students, which are required in the future smart era. That's when 'human-based' educational revolution, instead of 'device-based' classroom revolution can begin.

이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정보화사회의 심화와 더불어 생겨난 우리의 스마트교육 정책이 교육환경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등 교육체제의 혁신에 집중한 나머지 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인간교육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스마트교육에 해당하는 독일의 미디어교육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우리 스마트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했다. 독일도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미디어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관여하며, 2009년 이후 미디어교육은 모든 주의 모든 학교가 실천해야 하는 의무사항이 되었다. 따라서 추진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정책을 각 주별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이들 주에서 실천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미디어교육을 일정기간 완수해 내야하는 특수교육 기준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과정과 유기적 관계에서 실천하고 있다. 2) 미디어교육전개 과정이 위로부터의 일방적 지시와 전달이 아닌, 현장 교사의 실천적 사례를 적극 반영하며 그 방향성을 모색하는 민주적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3) 정보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청소년의 인성과 정체성에 관여하고 있다. 미디어교육정책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첫 번째와 두 번째 시사점과 달리 세 번째 시사점은 미디어교육의 근본적 목적으로 이 연구논문에서 제시하는 가장 핵심적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적 맥락에서 시도되고 있는 독일의 미디어교육 정책은 환경혁신이나 교육콘텐츠개발과 같은 물리적 기반혁신이 중심이 된 우리 스마트교육정책에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교육의 목적은 스마트환경구축과 스마트한 교육방법이 아니라, 미래사회를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스마트한 인간의 양성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교육환경 인프라라와 물리적기반에 치우쳐진 우리 스마트교육의 담론을 스마트시대에 요구되는 인격과 정체성에 대한 담론으로 바꾸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때 비로소 교실혁명이 아닌 인간중심 교육혁명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