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Enhanc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school in Gyeongsangbuk-do : Focusing on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 - 교육과정 및 진로교육 측면 -

  • Received : 2014.04.15
  • Accepted : 2014.06.2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system of high-school recently diversified, but there are criticisms that general high-schools relatively fall into cri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suggestion on the enhanc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school in Gyeongsangbuk-do. In this paper, there needs to be evoke sympathy for development, strengthen educational responsibility, substantially guarantee curriculum autonomy, pursuit diversity of student-customized curriculum, integrate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and flexibly manage teacher selection and disposition for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school. In a career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re needs to be organize curriculum coincidentally with students' career, aptitude and interest, to describe clearly roles of school and community for career education, and to guarantee the right of subject choice in school. We should believe normalization of general high-school is namely substantiality of career education.

최근 고교체제가 다양화되었지만, 일반계 고등학교(이하 일반고)가 상대적으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경상북도 일반고 발전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발전을 위한 공감대 형성, 일반고의 교육적 책무성 강화, 실질적인 교육과정 자율화 보장,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의 다양화 추구,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의 통합화, 교사 확보 및 배치의 탄력적 운영 등의 전제가 필요하며, 진로직업교육 측면에서 학생들의 진로, 적성, 흥미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심층적인 진로직업지도를 위한 단위 학교 및 지역사회의 노력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과목 선택권이 보장되고 있는지는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일반고 교육과정의 정상화는 곧 자연스러운 진로교육의 내실화의 방향이 되도록 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