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소음.진동의 사전 영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liminary Influence Analysis of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 투고 : 2014.09.02
  • 심사 : 2014.09.26
  • 발행 : 2014.09.30

초록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은 일시적이고 간헐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영향은 매우 크다. 건설기계의 적은 소음 진동이라도 발생하면 먼 거리까지 전달되어 차음 및 방진 등의 대책이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의 소음 진동 안전기준을 30m로 적용하였고 발파소음은 60m, 진동은 160m로 적용하였다. 지금까지는 2D를 사용한 모델링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건물이나 산과 언덕 등 크기와 높이를 고려한 3차원 3D 모델링으로 측정 분석하여서 정확도를 높였다.

Although the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are transient and intermittent, their impa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huge. Since the construction equipment noise and vibration is usually transmitted because of the long distance, the sound insulation and the proper design of anti-vibration measures are very difficult. The regulation requires that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equipments should be measured within 30m from the source, whereas the blasting noise and vibration should be measured at least 60m and 160m away from the source, respectively. Instead of the 2D modelling mainly conducted so far, the 3D analysis of noise and vibr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nd size of the building, mountains and hills in the vicinity of the source is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주한, 최원석, 안명석, 2012, 발파 전 사전조사 지침에 의한 민원처리 사례, 대한화약발파공학회 추계학술 발표회 논문집, pp. 176-180.
  2. 환경부, 2006, 공사장 소음 .진동관리지침서, pp. 17-18.
  3. 국토교통부, 2006, 도로공사 노천발파 설계 .시공지침, pp. 11.
  4. 김화일, 한경민, 2007, 부산시 도로교통소음의 3차원소 음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연구, Vol. 6, No. 1, pp. 130.
  5. 김낙영, 김태수, 박영호, 이준우, 2011, 터널공사 중소음 . 진동영향 평가 사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61-162.
  6. Sound Plan GmbH, 2014, Designing a sound Environment, www.soundplan.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