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of medical staff stress and accommodating manners on the death of patients in a hospital setting for serving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of medical personnel from April 1 to April 30, 2014. A survey was performed on 353 medical personnel at K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time and preparedness of a meaningful future' were the most important perspectives on the contents of death education (p<0.05), 'in order to chang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death positively' was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y required death education'(p<0.05), 'case-based teach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was the most effective way of death education (p<0.05), 'negative or hostile response of a patient's guardian to medical personnel' was the largest stress that medical personnel confront upon witnessing a death'(p<0.05). An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patients by medical personnel and an awareness of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will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their guardian, and medical personnel themselves. The main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medical personnel in a hospital set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의료진의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와 수용 방식을 병원 중심으로 조사하여 의료인 대상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4년 4월부터 동년 4월30일까지이며, 대전지역 K 대학병원 의료진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카이스퀘어 검정이며, 연속변수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죽음교육의 내용 중 중요하게 다뤄야 할 것은 시간의 소중함 및 의미 있는 미래 삶 준비였으며(p<0.05), 죽음교육 필요 이유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꿔보기 위해서였다(p<0.05). 죽음교육 방법은 사례연구 문제 기반학습이었으며(p<0.05), 죽음 목격 후 가장 큰 스트레스는 보호자의 의료진에 대한 부정적 반응(p<0.05)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의료진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교육 필요성 제고는 의료진 자신은 물론 환자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죽음에 대한 의료 인문적 시각을 동시에 포함한 본 조사는 병원 공간과 의료진 대상의 특성화된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