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Postharvest Management and Packaging Technology of Strawberries in Korea

국내 딸기의 수확 후 관리와 포장기술 현황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rie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me factors of the quality decay of strawberry harvested in Korea. Strawberries are highly perishable with soft surface. Surface injury and fungus growth are common as a result of handling and distribution. Many growers and distributers are considered to protect the physical impact and inhibit the fungus growth for prolonging the shelf life in the distribution and market channels. Post-harvest treatments of precooling, carbon dioxide, chlorine dioxide, ozone, and ultrasound are practiced on strawberry in order to extend shelf-life and preserve the qualit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edible coating, and oxygen absorbent application can be used as supplemental treatments to extend postharvest-life of strawberry. The packaging types for current domestic and export strawberry in Korea were summariz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trawberry packaging development associated with the proper handling and distribution of strawberry. This could be useful for the strawberry growers, distributors, and buyers.

국내 딸기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과실로 소비자들은 대부분 신선한 생과로 이용하지만, 유통 기간이 매우 짧고 경도가 약하며 곰팡이에 의한 부패가 쉽게 발생하여 선도유지에 어려움이 있다. 딸기의 주요 부패균인 Botrytis cinerea, Rhizopus stolonifer는 생존율이 높고 쉽게 전이되어 품질 저하가 심각한 수준으로 이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확 후 예냉, 이산화탄소, 이산화염소 처리 등을 있으며, 포장 처리 방법으로 modified atmosphere 포장, 가식성 코팅, 고산소 포장, 산소 흡착제 등을 적용하여 유통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연구 보고되었다. 딸기는 1차 포장 형태인 PET 용기에 담아 이를 골판지 상자에 포장하여 국내 및 해외 유통에 주로 이용하며 주요 수출국은 홍콩,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해마다 수출국이 늘어나고 수출양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수출 딸기의 유통 기간 연장을 위한 품질 개선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유통 과정에 적합한 수확후 선도 유지 처리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상품성 부여를 위한 수출 대상국 소비자의 기호성에 맞춘 개선된 포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