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Use Characteristics and the Sense of Community by the Type of Urban Neighborhood Park

도시생활권공원의 유형에 따른 이용특성 및 커뮤니티 의식의 관계

  • 김묘정 (울산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10.07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use characteristics and the sense of community by the type of urban neighborhood park,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make urban neighborhood parks that can contribute to a rise in the social function. The cases for the study were two small parks in Gimcheon and Daegu, two children's parks in Gyungsan, and two community parks in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arks and a survey of 520 residents. The survey conta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use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the analysis of frequency, chi-squared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rban neighborhood parks users visited the parks with different aims, such as to take walks and rest, to workout, to play with kids, to meet friends, and they stayed 54.1 minutes on average. Sometimes they came alone. Second, the user group for the small park came with their children and generally played with them, or walked and rested for about 38.1 minutes. The other group, children's parks users, commonly visited to take a walk and rest alone for an average of 32.8 minutes. The community park users often visited with a friend or neighbor for 1 or 2 hours to walk and relax. Third, the small park user group and community park user group have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than the children's park user group. In other words, they felt not only a powerful sense of fellowship, belonging, attachment, and closeness but also security, and interest in neighborhood.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기윤,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 국토교통부, 쌈지공원, 동네쉼터 등 생활공원 조성사업 가시화, http://www.molit.go.kr
  3. 국토해양부,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 백서 26권-2008년 시범마을 경북 김천시, 2010
  4. 고은정, 담장허물기 사업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공윤경, 양흥숙, 도시 소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일상-부산 전포돌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5), p.p. 582-599, 2010
  6. 김미영, 문정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도시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권 6호, p.p.291-299, 2011
  7. 김상모, 도시공원 이용프로그램을 통한 커뮤니티 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 김성진, 이동숙, 윤충열, 근린공원 이용특성에 따른 시설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8(2), p.p.27-33, 2006
  9. 김윤재, 친환경적 도심재생을 위한 가로공원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 도심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0. 김원주, 이용자의 평가를 통한 어린이공원 개선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11. 김효경, 정성원, 도시공원 내 오픈스페이스 이용자 행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11), p.p.37-44. 2010
  12. 박원규, 어린이공원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반영운, 윤중석, 정재호, 이태호, 정헌근, 백종인, 광역권 근린 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분석-청주시의 구룡공원을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1(3), p.p.185-203,2008
  14. 서현진, 손병운,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p.p.221-237,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221
  15. 손승우, 도시공원 유치거리 내 면적 및 인구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인구분포 자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신승현, 어린이공원 이용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신지영, 도시공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복원녹화 12(2), p.p.40-49, 2009
  18. 오기영, 택지개발지구내 노후 어린이 공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유임춘, 자연형 생태하천 복원이 주민 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1. 이양병, 윤갑근, 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도시공원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순천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8호, p.p.67-76, 2009
  22. 이우걸, 심준영, 김대수, 이시영,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어린이공원 이용 활성화 방안-대전시 서구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3권 1호, p.p.17-30, 2012
  23. 이은기, 도심지 쌈지공원의 이용 후 평가 및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4. 이재정, 소규모 생활권공원의 용도지역별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5. 이주희,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이지웅, 택지개발사업지내 근린공원의 이용행태 및 공간선호 요인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정길수, 도심속 소공원 활성화 디자인 연구, 대구광역시 정책기획관실 시정연찬 22, p.p.421-433, 2010
  28. Maas, J., van Dillen, S.M.E, Verheij, R. A., Groenewegen, P.P (2009a) Social contacts as a possible mechanism behind the 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health, Health and place. Vol 15 (2): 586-595.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8.09.006
  29. Kweon, B.S., W.C. Sullivan and A. Wiley (1998) Green common spaces and the social integration of inner-city older adults, Environment and behaviour 30: 832-858. https://doi.org/10.1177/001391659803000605
  30. Pitts, A.,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profit, Architectural Press, 2004.
  31. 경기농림진흥재단. http://www.ggaf.or.kr
  32. 지역발전포털(REDIS), http://blog.naver.com/redis12?Redirect=Log&logNo=140170602085
  33. 법제처 www.moleg.go.kr

Cited by

  1. The Usage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and Social Psychology Role of Open Spaces in Urban Neighborhoods of Gyeongsan vol.26, pp.5,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5.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