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rameters for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of sewage discharged intermittently

부정기적 발생 오수의 유기물 생분해도 특성 parameter 산정에 관한 연구

  • Han, Gee-Bong (Department of biotechnology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Young-S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Hanseo university)
  • 한기봉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학부 환경공학전공) ;
  • 이영신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4.09.19
  • Accepted : 2014.09.26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biodegradability of sewage discharged intermittently, field scale sampling and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biodegradability of sewage discharged intermittently, average concentration of TCODcr is 325.5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resulted 100%. Also, average concentration of SCODcr resulted 135.9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resulted 41.8%. Average concentration of Ss showed 74.1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resulted 22.8%. Average concentration of $S_I$ was analyzed to be 61.8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was calculated to 19.0%. Xs which is particulate matter was analyzed to show 27.8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also showed 8.5%. Average concentration of $X_H$ is 103.4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resulted 31.8%. Inert particulate matter showed that average concentration of $X_I$ is 58.5mg/L and ratio of TCOD fraction resulted 18.0%. Accordingly, dissolved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showed the ratio of 41.8%, and readily biodegradable matter among this showed 22.8%. Thus intermittent inflow is expected to have less effect with regards equalization by organic loading rate of influent.

본 연구에서는 부정기적 발생 오수의 생분해도 특성 parameters를 현장 시료채취 및 분석실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TCODcr (Total CODcr)의 1,2차 평균 농도는 325.5 mg/L 이며 TCOD 분율은 100% 로 분석되었다. SCODcr (Soluble CODcr)의 1,2차 평균 농도 는 135.9 mg/L 이며 TCOD 분율은 41.8% 로 분석되었다. Ss (Readily biodegradable substrate)의 1,2차 평균 농도는 74.1 mg/L 이며 TCOD 분율은 22.8% 이다. $S_I$ (Soluble inert non-biodegradable substrate)의 1,2차 평균 농도는 61.8 mg/L 이며 TCOD 분율은 19.0% 이다. Xs(Slowly Biodegradable Substrate)의 1,2차 평균 농도는 27.8 mg/L 이며 TCOD 분율은 8.5% 이다. $X_H$의 1,2차 평균 농도는 103.4 mg/L 이며 TCOD 분율은 31.8% 이다. $X_I$ (Particulate inert non-biodegradable substrate)의 1,2차 평균 농도는 58.5 mg/L 이며 TCOD 분율은 18.0% 이다. 따라서 대상 시료의 용존성 생분해 가능 유기물질은 41.8%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생분해가 용이한 분율은 22.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부정기적인 유입 유량으로 인한 유량조정 또는 균등조의 운전으로 유입부하 변동폭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환, 조재현, 김무훈, 이용우, "생물막 담체를 이용한 질산화 반응 특성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19, No.3, pp.415-424, 1997
  2. 김준, "유동상 생물막 반응조를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 함유폐수처리" 여수대학교 석.박사 논문, 2003
  3. 김영준, 이건영, 이진용. "퇴비로부터 분리한 종속영향세균의 동정및 특징에 관한 연구": 유기성자원학회, Vol. 13, No.2, pp121-128, 2005
  4. 김용태, 고수정, 김영오, 이태호, 박태준, "CSTR내 생물고정화 기술을 이용한 폐수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한국물환경학회, 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논문,pp 307-310, 2004
  5. 박상민, 박노백, 전항배, "질산화 반응에 미치는 SRT 및 HRT의 영향",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Vol. 23, No.1, pp.239-248, 2004
  6. 권동식, "고정상 및 유동상 및 생물막 반응조에서의 질산화 성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02
  7. 신항식, 안용태, 채소룡, 강석태, "혐기-호기 결합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함유 폐수처리",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 2002
  8. 엄태규, 한동엽, 구인수, "순환형 A/O시스템을 이용한 질소제거에 관한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논문, pp 569-574, 2002
  9. KSM. Standard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Water in Korea, Korea standard method, pp. 87-137. 2011
  10. NIER. The National Water Quality Assessment 20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o. 2012-160, pp. 2-7. 2012
  11. U.S.EPA., (1993), Manual - Nitrogen control. EPA/625/R-93/010
  12. Dowing, A.L., H. A. Painter and G. Knowels (1964) Nitrification in the activate sluge process, J. of Institute of Sewage Purifcation, 130-158
  13. Metcalf and Eddy, Inc., (2003)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Reuse 4th edi., Mcgraw - Hill
  14. Focht, D. D., and Chang, A. C., Nitro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Adv. Appl. Microbiol., Vol. 20, 631 (1975)
  15. Abeling, U., and Seyfried, C. F., Anaerobic-Aerobic Treatment of High - strength Ammonium Wastewater - Nitrogen Removal via Nitrite, Wat. Sci. Tech., Vol. 2b, No.5-6, pp.1007-1015, 1992
  16. 권순익, 정광용, 유기성 폐기물 비료성분 표준단위 설정,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 74-100 (1994)
  17. 한국환경과학협의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1991)
  18. 최의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1)
  19.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05)
  20. 한국수자원공사,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내 경작관련 호소수질에 미치는 영향조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