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윤수.전성아 (2006). 수학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지식 형성 탐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217-230.
- 권오남.주미경 (2003). 대학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29-245.
-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49-163.
- 김남희 (2010). 예비 수학 교사 교육에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문제 해결 지도 사례. 학교수학, 12(4), 494-506.
- 김래영.김구연.권나영 (2012).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학교수학, 14(3), 395-408.
- 김영록.김수연.장재덕 (2009). 논문집 시리지 A <수학교육>에 게재된 논문들의 분류와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683-705.
- 김응태.박한식.우정호 (1984).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류희찬 (2011).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비례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작도. 학교수학, 13(1), 19-36.
- 민경아.유미현.고호경 (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89-413.
- 박경미 (2003). 중등 수학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219-228.
- 박선영.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3), 285-308. https://doi.org/10.7468/mathedu.2011.50.3.285
- 성태제.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 송근영.방정숙 (2013).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65-287.
- 이명희.김은주 (2011). 학술지 내용분석법에 의한 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81-100.
- 이중권 (2003).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111-119.
- 장선영.고은현.박인우 (2013).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방법연구, 25(3), 603-621.
- 최병훈.방정숙 (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97-215.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97
- 최승현.황혜정 (2007).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9(3), 327-352.
- 하수현.방정숙.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1), 67-83.
- Cresswell, J. W. (2003). 연구설계: 정성연구, 정량연구 및 혼합 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 강윤수 외 8인 역. 서울: 교우사.
- Greene, J. C., Benjamin, L., & Goodyear, L. K. (2001). The merits of mixing methods in evaluation. Evaluation, 7(1), 25-44. https://doi.org/10.1177/13563890122209504
- Hart, L. C., Smith, S. Z., Swars, S. L. & Smith, M. E. (2009). An examination of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1995-2005).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3(1), 26-41. https://doi.org/10.1177/1558689808325771
- Howe, K. R. (1988). Against the quantitative-qualitative incompatibility thesis or dogmas die hard. Educational Researcher, 17, 10-16.
- Johnson, R. B. & Onwuegbuzie, A. J. (2004). Mixed methods research: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 33(7), 14-26.
- Johnson, R. B., Onwuegbuzie, A. J. & Turner, L. A. (2007). Toward a definition of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Mixed Method Research, 1(2), 112-133. https://doi.org/10.1177/1558689806298224
- Moschkovich, J. N., & Brenner, M.. (2000). Integrating a naturalistic paradigm into research on mathematics and science cognition and learning. In R. Lesh & A. Kelly(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 Science Education(pp. 457-48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Schoenfeld, A. H. (2007). Method.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 69-107).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for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Tashakkori, A., & Teddlie, C. (1998).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 Tashakkori, A., & Teddlie, C. (Eds.). (2003).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피인용 문헌
-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 분석 vol.54, pp.3, 2015,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3.241
- 초등 수학교육 관련 혼합 연구에서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vol.19, pp.1, 2016, https://doi.org/10.7468/jksmec.2016.19.1.47
-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vol.55, pp.2,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2.171
-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영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vol.32, pp.4, 2016, https://doi.org/10.7858/eamj.2016.034
- 초등수학교육에 적용된 혼합연구법의 특성 및 시사점에 대한 연구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468/jksmec.2017.20.2.177
- Exploring Trends in Mixed Methods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70, pp.2, 2014, https://doi.org/10.20970/kasw.2018.70.2.011
- The History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and Research Trends of Biology Education in Korea vol.46, pp.4, 2014,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4.543
-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An Analysis of Journals Published from 1963 to 2019 vol.29, pp.4, 2014, https://doi.org/10.29275/jerm.2019.11.29.4.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