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SNS-based Advertising and the Roles of Involvement: Focusing on Facebook News Feed Advertising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4.06.03
  • Accepted : 2014.07.16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News Feed advertising in Faceboo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osited seven determinants including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irritation, trust, individualization, incentive and privacy concern, which can have influences on the attitude toward News Feed Advertising. and this research tes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even determinants and the attitude toward News Feed Advertising.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rated to collect dat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tainment as a new combined factor of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trust, individualiz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the attitude toward News Feed advertising in Facebook. It was also shown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itation and the attitude. The results in this study implied that it is needed to reinforce the attributes of advertising including infortainment, trust and individualization to boost the effects of News Feed advertising in Facebook on consumers.

본 연구의 주 목적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영향 요소로서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신뢰성, 개인화, 인센티브, 프라이버시 염려 등의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뉴스 피드 광고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요인과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속에서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성과 오락성이 한 요인으로 구성된 인포테인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는 성가심과 광고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소비자들에게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의 인포테이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의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 boyd and N. Ellison, "Social Networking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pp.210-230,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2. 나은영, "트위터 이용자들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위험감소 요인과 이익기대 요인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4호, pp.124-148, 2013.
  3.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 페이스북 이용자의 사회심리학적 동기, 이용 행위, 사회적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5호, pp.270-297, 2012.
  4. 박상호,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형태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8권, pp.55-73, 2012.
  5. 안대천, 김상훈,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투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제23권, 제3호, pp.53-84, 2012.
  6. http://www.itworld.co.kr/news/72484
  7. http://www.emarketer.com
  8. 설진아, 소셜미디어와 사회 변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9. 두진희, 김정현, "페이스북 광고 유형에 따른 효과 연구: 설득 지식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4권, 제2호, pp.300-330, 2012.
  10. 이경렬, "페이스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4호, pp.39-84, 2012.
  11. http://mushman.co.kr/2691778
  1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884
  13. 이은선, 임연수, "페이스북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의미연결망을 통한 메시지 구조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4권, 제3호, pp.124-155, 2012.
  14. 김한주,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의 지각된 적합성과 동일시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6권, 제1호, pp.7-28, 2013.
  15. http://mushman.co.kr/2691770
  16. A. Lipsman, G. Mudd, M. Rich,and S. Brunch, "The Power of "Like": How Brands Reach (and Influence) Fans Through Social-Media Marke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52, No.1, pp.40-52, 2012. https://doi.org/10.2501/JAR-52-1-040-052
  17. http://www.insidefacebook.com/2012/01/10/breaking-sponsored-stories-begin-to-appear-in-news-feed/
  18. http://www.digieco.co.kr/KTFront/dataroom/dataroom_weekly_view.action?board_seq=8020&board_id=weekly
  19. http://searchenginewatch.com/article/2333625/5-Tips-for-Using-Facebook-News-Feed-Ads
  20.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s, Intention, and Behavior: An In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ely, M. A, 1975.
  21. 김봉철,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Ducoffe(1996)의 웹 광고효과 모델확장적용", 광고연구, 제75호, pp.35-59, 2007.
  22.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5, 1996.
  23. 하성호, 오준석, 이봉규,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광고효과 분석: 광고 사용자와 광고 제공자의 인식차이비교",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21-239, 2011.
  24. 최민석, 강민철, 양성병,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에 대한 지각된 가치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9권, 제4호, pp.115-135, 2012.
  25. I. K. Brackett and B. N. Car, "Cyberspace Advertising vs. Other Media: Consumer vs. Mature Student Attitud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pp.23-32, 2001.
  26. 최인경, 이지현, "스마트폰 기반 사용자 상황인지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UX모델 연구: 상황인지에 있어 Socially Aware Computing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제25호, pp.269-278, 2013.
  27. 도선재, 조용석, "사용자 맥락(User Context)이모바일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옥외광고학연구, 제5권, 제2호, pp.79-103, 2008.
  28. M. M. Tsang, S. C. Ho, and T. P. Liang,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3, pp.65-78, 2004.
  29. R. Vatanparast and A. Masha, "Factor Affecting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Marketing, Vol.2, No.2, pp.21-34, 2007.
  30. R. E. Petty and J. T. Cacioppo, "Issue Involvement can Increase or Decrease Persuasion of Enhancing Message-Relevant Cognitive Re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7, No.10, pp.1915-1926, 197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0.1915
  31. 이문규, 김나민,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3권, 제4호, pp.1-30, 2002.
  32. 최민욱, "새로운 광고매체로서 1인 미디어 광고의 인지 및 클릭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니홈피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0권, 제2호, pp.263-287, 2009.
  33. 양영종,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27-242, 2009.
  34. 조선호, 이상호, 서상범, "모바일 단말 내의 사용자 맞춤형 광고 기술", 정보과학논문지:정보통신, 제39권, 제1호, pp.73-86, 2012.
  35. 설진아, "페이스북 이용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관한 연구", 언론과 법, 제11권, 제1호, pp.63-92, 2012.
  36. http://www.embrain.com/business/company_info.pdf
  37. 이성준, "모바일 음악 서비스의 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대안의 매력도와 전환 비용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453-465, 2012.
  38. S. Okazaki, "How Do Japanese Consumers Perceive Wireless Ad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pp.429-454, 2004. https://doi.org/10.1080/02650487.2004.11072894

Cited by

  1. A Study on Metaphor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ervice vol.15, pp.5, 2014, https://doi.org/10.9728/dcs.2014.15.5.621
  2.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ommitment between Downward Benevolence and Team Satisfaction & Team Innovative Behavior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