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of J angsagak(the Pavilion Keeping National Annals) of J eongjoksan Sago(National Archives Storehouse)

정족산사고 장사각(藏史閣)의 건축적 형태 연구

  • Received : 2014.07.02
  • Accepted : 2014.09.01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gave jangsagak or sagak(pavilion keeping national annals) of J eonjoksan sago(national archives storehouse) in Ganghwa island single-story elevation which was notably different from the other sagaks of local sagos that had double-story structure. The second purpose is to estimate the column arrangement and interior of jangsagak, which is indistinct for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There were two factors that were possible to affect the single-story elevation of jangsagak; first, the influence of the building of Manisan sago, the former sago of Ganghwa island, which had diverted a single-story J aegung(purification house) to a storehouse; second, the nee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and carrying out the historical materials to perform the roll of substancial naesago(central storehouse of national archives). Unlike the contemporary rebuilt jangsagak, the side of original jangsagak is estimated to be composed of two or three kans at regular intervals of 2.7m. And, it is highly probable that original jangsagak had dense interior column arrangement. In both ends of jangsagak building, there could be lofts to adopt the advantage of double-story sagaks and to get the additional working area for the reference and taking out the historical material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태, 강화 정족산 사고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4집, 2004.8
  2. 김동현, 김동욱, 조선시대 사고의 건축양식, 사고지조사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1986
  3. 김용곤, 오대산사고의 연혁과 사고지현황, 사고지조사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1986
  4. 김흥섭, 한국전통 창고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12
  5. 김흥수, 성주사고의 연혁과 사고지현황, 사고지조사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1986
  6. 대구대학교 박물관, 태백산사고지발굴조사보고서, 1988
  7. 문화재관리국, 88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상, 1990
  8. 문화재관리국, 88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하, 1990
  9. 문화재관리국, 90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상, 1992
  10. 문화재관리국, 90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하, 1992
  11. 문화재청, 97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지방지정문화재(상권), 2000
  12. 문화재청, 98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국가지정문화재(상권), 2001
  13. 문화재청, 동궐도 읽기, 2005
  14. 문화재청, 창덕궁 규장각 선원전 권역 복원공사보고서, 2005
  15. 문화재청, 창덕궁 인정전 행각 중건공사보고서, 1999
  16. 문화재청, 경북대산학협력단, 4대 사고 및 조선왕조도서 보존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2013
  17. 박대길, 조선후기 적상산사고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02
  18.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 조선후기 지방지도: 경기도편, 2005
  19. 성주군, 성주사고 학술조사보고서, 2009.2
  20. 신재홍, 적상산사고의 연혁과 사고지현황, 사고지조사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1986
  21. 이근화, 중국역대 고대 문헌의 보존과 관리, 4대 사고 및 조선왕조도서 보존관리 방안 연구보고서(자료집), 문화재청, 경북대산학협력단, 2013
  22. 정태헌, 강화사고의 연혁과 사고지현황, 사고지조사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1986
  23. 전주부, 전주부사, 1943
  24. 조선왕조실록
  25.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1,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