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Index for the Planning & Management Guideline on Sustainable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 계획 및 운영지침을 위한 평가도구 적용성 분석

  • 박경옥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상운 (상지대학교 생활과학산업학과)
  • Received : 2014.01.02
  • Accepted : 2014.08.11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ssessment indices on sustainable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 verify their effectiveness after application to the real cases, and finally decide the validity of the common applicability. The assessment indices were applied to the 12 cooperative villages, and the data were got from interviews with recorded tapes and observations. The statistical mean by SPSS 19.0 program gave the study the appraisal point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Some of typical assessment indices(living-environmental, socio-environmental, managerial-environmental, regional-environmental and economic-environmental) were found to be not adequate to apply because almost back-to-farm cooperative villages were too small and have orientation to eco-village. 2) Some assessment items in the living-environmental, socio-environmental and managerial-environmental indices were found to need adjustment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point because longer period explained more autonomy. 3) The item 'ecomomic base and program' of economy-environmental index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village making history, so that it was hard to apply it to all the villages. And the item 'income' showed limited discrimination as assessment by various factor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권 3호, p.p. 27-41, 2010.
  2. 김은자, 고아라, 이정원, 김상범,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농촌마을 계획지표 개발, 농촌계획, 17권 1호, p.p.29-42, 2011. https://doi.org/10.7851/ksrp.2011.17.1.029
  3. 김은정, 안유정, 이만형, 읍 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평가지표 체계의 개선방안 -기존 소도읍 사업의 평가지표 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4권 1호, p.p. 45-56, 2012.
  4. 박경옥, 이상운,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0권 1호, p.p. 71-80, 2014.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1.071
  5. 성주인, 김정섭, 마상진, 윤병석, 귀촌과 지역공동체 육성정책의 연게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6. 송승현, 지속적 마을만들기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농촌 마을규약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이남표, 농촌재정비사업 지표의 평가 연구-독일, 일본 지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이승한, 김대식,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6권 3호, p.p.43-49, 2010.
  9. 이재준, 이상문,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권 3호, p.p. 39-55, 2003.
  10. 임영환, 영국의 지속가능한 건축 가이드라인의 특성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권 6호, p.p. 51-58, 2013.
  11. 전영미, 농촌문화마을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관적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2. 조영재, 농촌마을 발전방향 설정을 위한 마을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3.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사례, 농촌계획, 13권 2호, p.p. 121-13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