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omposition of a Marriage-Enrichment Program for Middle-Aged Couples

은퇴 전.후 중년기 부부관계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박정윤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전공) ;
  • 한은주 (화성시 건강가정지원센터) ;
  • 이희윤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가족전공)
  • Received : 2014.06.30
  • Accepted : 2014.07.25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marital relationships of middle-aged couples in their 50s who either had retired or were approaching retirement and to develop marriage-enrichment program that would help them maintain a happy and satisfactory family relationshi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aged couples in their 50s who had enrolled in the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our own needs analyses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hree areas, family relationship, life management(time, leisure), and life plan for old ages.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sessions of 120 minutes each. Participants attended the program's lectures and activitie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ost-test results showed improvement over the pre-test results, so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gram would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marital relationships of middle- aged couples in their 50s both before or after their retirement.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숙.홍성희.이경희(2007). 남성 직장인의 은퇴계획유형과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2), 21-42.
  2. 권수정.전영주(2007). ENRICH 활용한 결혼 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247-275.
  3. 김나영.정영숙(2011). 중년기 부부의 애착 유형에 따른 배우자에 대한 보살핌과 긍정적 환상이 결혼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1), 59-81.
  4. 김미영.손서희.박미석(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5. 김미혜.문정화.신은경(2012). 베이비부머의 부부관계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연구-예비노인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211-239.
  6. 김수진.김세영(2013).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76-187.
  7. 김주희.이기영.최현자(2009). 은퇴자의 은퇴 이후 생활수준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73-93.
  8. 김혜연(2007). 맞벌이 부부가계의 은퇴계획 : 남편과 부인의 은퇴예상연령 및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1), 113-130.
  9. 문상정(2013). 중년기 여성의 부부갈등과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 -여가경험은 심리적 완충효과가 있는가?. 관광경영연구, 56, 105-128.
  10. 박창제(2013).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59, 115-138.
  11. 방현주.이기숙(2002).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결혼초기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관한 연구-유아기 가족의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1), 39-54.
  12. 법원행정처(2013). 2013 사법연감. 대법원.
  13. 변화순.이미정.김지경.하현정(2007). 중년기 퇴직남성 부부의 갈등과 적응.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4. 서미아(2014). 중년기 부부갈등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감정과 성역할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343-354.
  15. 성정현.여지영.우국희.최승희(2009). 가족복지론. 양서원 : 서울.
  16. 안기선.김윤정(2007). 산업체 남성 근로자를 위한 은퇴준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1), 93-118.
  17. 안지선.전혜정(2012).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65-85.
  18. 오명자(2010).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오영희.김유경(2011). 백세시대 대응 국민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80, 39-52.
  20. 유옥(2010). 결혼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신혼기 부부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이기숙.김득성.공미혜.김은경.전영주.손태홍.오경희(2013). 결혼의 기술 제 2판. 신정 : 서울.
  22. 이미정(2007). 위기에 처한 중년기 퇴직남성 가족과 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7.
  23. 이동숙(2008). 부부성장 집단프로그램이 개인 및 관계 성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1), 81-111.
  24.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1), 107-125.
  25. 이여봉(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한국인구학, 33(1), 103-131.
  26. 이은아(2006). 중년기 남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부갈등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4), 107-126.
  27. 이화자.최연실(2003). 중년기 부부관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Satir 가족치료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2), 49-76.
  28. 이희윤.박정윤.조유현(2013).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 -기혼 중년남성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39-56.
  29. 전혜성.서미아(2012).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349-357.
  30.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정경희(2012). 베이비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 생활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87, 40-49.
  32. 정지영.양세정(2013). 경제적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 세대간 자산이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99-219.
  33. 장흔성(2013). 가족관계 형성기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3), 81-103.
  34. 최정숙(2009). 중년기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7, 175-209.
  35. 최현자.김민정.이지영.김민정(2013). 장수 위험과 금융자산활용비율을 고려한 은퇴소득 준비도 평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59-178.
  36. 통계청(2010).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보도자료). 2010. 5. 7.
  37. 통계청(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중심으로. 통계청.
  38. 한경혜.최현자.은기수.이정화.주소현.김주현(2011). Korean Baby Boomers in Transition: 한국의 베이비부머연구.
  39. 홍성희.김순미.김혜연(2006). 남성 봉급생활자의 은퇴 전 생활설계프로그램 : 생활문제 인식 및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95-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