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침입에 이용되는 침입수법 및 도구의 유형화 연구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modus operandi and tools used in domestic burglary

  • 박현호 (용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조준택 (경찰대학 연구지원실)
  • 투고 : 2014.07.21
  • 심사 : 2014.09.14
  • 발행 : 2014.09.30

초록

본 연구는 건축물에 범죄예방설계가 도입되는 내용이 포함된 건축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앞으로 활성화될 방범하드웨어 개선사업이 증거에 기반하여(evidence-based) 수행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대상물 강화(target hardening)에 초점을 두고 침입범죄의 수법과 도구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침입수법에 대한 통계자료 구축방식의 개선, 침입수법에 대한 형사사법기관과 방범산업계, 관련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공유 및 협력 강화, 지역주민 대상으로 침입수법에 대한 교육 등 범죄예방 안전교육 활성화와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안전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주요 침입구인 출입문, 창문, 창살 등 방범하드웨어의 침입저항 성능시험 연구, 성능에 대한 표준 및 인증체계에 관한 연구, 방범하드웨어의 개선과 범죄율과의 관계 관한 연구 등 다양한 후속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As the revision of Building Code including applying crime prevention design to buildings passed recently and target hardening ought to be evidence-based, we studied the Modus Operandi (MO) and intrusion tools of domestic burglary to earn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rime prevention hardware in the future. To be specific, we reviewed related academic literature and police official statistics of domestic burglary critically and interviewed detectives in charge of burglary to specify and categorize MO and tools. We can derive some implications from research findings, including improvement of the statistical system for the MO of burglary, active sharing of the MO of burglary among the criminal justice agencies and related industries and experts. Also, crime prevention advice and education for the local residents focused on MO of burglary can be recommended. Based on this research, to enhance the level of community safety significantly, performance tests of crime prevention hardware such as security doors and windows etc. and the study on related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vitali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