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GBEF According to Image Aquisition Method in Hepatobiliary Scan

간담도스캔의 영상수집방법에 따른 담즙배출율의 비교분석

  • Kim, Yeong-Se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
  • Seo, Myeong-D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
  • Lee, Wan-Kyu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
  • Song, Jae-Beom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 김영선 (단국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서명덕 (단국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완규 (단국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송재범 (단국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4.09.22
  • Accepted : 2014.10.19
  • Published : 2014.11.08

Abstract

Purpos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allbladder emptying is very important in diagnosis of motility disorder of gallbladder and in biliary physiology. The GBEF obtain the statics aquisition method or the dynamic acquisition method in two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BEF value of statics acquisition method and the dynamic acquisition method. And we find the best way for calculate GBEF. Materials and Methods The quantitative hepatobiliary scan with $^{99m}Tc$-mebrofenin was performed of 27 patients. Initial images were acquired statically, for 60 min after injection of the radioactive tracer. And if the gallbladder is visualized to 60 min, performed stimulation of gallbladder (1egg, 200 mL milk). After that, started acquisition of dynamic image for 30 min. After that, image of after fatty meal of the statics method were acquired on equal terms with 60 min image. The statics GBEF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s of before fatty meal and post fatty meal by the statics method. The dynamic GBEF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s of time of maximum bile juice uptake ($T_{max}$) and time of minimum bile juice uptake ($T_{min}$) images from the gallbladder time-activity curve. A bile juice is secreted from gallbladder while eating a fatty meal. that is named early GBEF and that was calculated using before fatty meal image of the statics method and 1 min image of the dynamic method. Results The result saw very big difference between two according to $T_{max}$.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less than 1 min, the dynamic mean GBEF was $40.1{\pm}21.7%$, the statics mean GBEF was $51.5{\pm}23.6%$ in 16 cases. The early mean GBEF was $14.0{\pm}29.1%$. The GBEF of statics method was higher because that include secreted bile juice while performed stimulation of gallbladder. A difference of GB counts according to acquisition method and the early bile juice counts was $17.6{\pm}14.8%$ and $13.5{\pm}15.3%$. 2) In case of exceed than 1 min, the dynamic mean GBEF was $31.0{\pm}19.7%$, the statics mean GBEF was $21.3{\pm}19.4%$ in 7 cases. The early GBEF was $-6.9{\pm}4.9%$. The GBEF of dynamic method was higher because that include concentrated bile juice to $T_{max}$. A difference of GB counts according to acquisition method and the early bile juice counts was $14.3{\pm}7.3%$ and $5.9{\pm}3.9%$. Conclusion The statics method is very easy and simple, but in case of $T_{max}$ delay, the GBEF can be lower. The dynamic method is able to calculate accurately in case of $T_{max}$ delay, but in case of $T_{max}$ is less than 1 min, the GBEF can be lower because dynamic GBEF exclude secreted bile juice while performed stimulation of gallbladder. The best way to calculate GBEF is to scan with dynamic method preferentially and to choose suitable method between the two way after conform $T_{max}$ on the T-A curve of the dynamic method.

간담도 스캔에서 GBEF의 산출은 정적영상법과 동적영상법으로 가능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영상수집 방법에 따른 GBEF 차이를 알아보고, 정확한 GBEF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본원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99m}Tc$-mebrofenin을 정맥주사한 후 60분 동안은 정적영상법으로 영상을 수집하고 담낭이 잘 관찰되면 지방식(우유 $200m{\ell}$, 삶은 계란 1개)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지방식 섭취 후 동적 영상법으로 60 sec/frame, 30분간 영상을 수집하고, 종료 후 60분 영상과 같은 조건으로 90분 영상을 수집하였다. 정적 GBEF는 지방식 전 후 정적 영상의 담낭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동적 GBEF는 시간-방사능곡선 상에 $T_{max}$$T_{min}$의 담낭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정적영상법의 지방식 전 영상과 동적영상법의 1분째 영상을 이용하여 지방식을 섭취하는 동안의 담즙배출량(초기담즙배출량)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T_{max}$가 1분 이하인 경우는 20 case였으며, 정적영상법이 평균 $11.4{\pm}6.7%$ 높게 산출되었다(동적 : $40.1{\pm}21.7%$, 정적 : $51.5{\pm}23.6%$). $T_{max}$가 1분을 초과한 경우는 7 case였으며, 동적영상법이 평균 $-9.7{\pm}4.9%$ 높게 산출되었다(동적 : $31.0{\pm}19.7%$, 정적 : $21.3{\pm}19.4%$). 정확한 비교를 위해 영상법에 따른 담즙배출차이와 초기배출량을 지방식 전 담낭계수와의 비율로 부터 산출하였다. $T_{max}$가 1분 이하인 경우, 영상법간 차이는 평균 $16.7{\pm}13.6%$, 초기배출량은 평균 $12.7{\pm}13.8%$로, 오차범위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이는 영상법간 GBEF의 차이가 동적영상법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배출된 담즙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_{max}$가 1분을 초과한 경우, 영상법간 차이는 평균 $-14.3{\pm}7.3%$, 초기배출량은 $-5.9{\pm}3.9%$로, 8.4% 차이가 났다. 이는 지방식 섭취를 시작한 시점부터 동적영상법을 시작한 후 일정 시점($T_{max}$)까지 계속 담즙이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영상법간에 GBEF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확히 30분 동안의 GBEF 산출하기 위해서, $T_{max}$가 9.5분 이상인 4 case를 추세 분석하여 GBEF를 산출한 결과, 평균 $57.2{\pm}20.4%$로, 정적영상법 (평균 $37.8{\pm}20.9%$) 보다는 20%정도, 동적영상법(평균 $42.0{\pm}16.2%$) 보다는 15% 정도 높게 산출되었다. 정적영상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GBEF을 산출할 수 있으며, 환자의 움직임 등 여러 가지 오류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T_{max}$ 이전에 담낭자극을 시행한 경우이거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담낭자극에 반응이 느린 경우엔 GBEF가 낮게 산출된다. 동적영상법은 담낭에서 담즙이 배출되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출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T-A curve를 통해 $T_{max}$ 시점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GBEF를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식을 섭취한 후에 검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지방식을 섭취하는 동안에 배출되는 답즙이 제외되어 GBEF가 낮게 산출된다. 연구 결과 간담도 스캔을 통해 정확한 GBEF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동적영상법을 시행하여 T-A curve를 통해 담즙배출양상($T_{max}$의 시점)을 확인한 후에 두 영상법 중 적합한 GBE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