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용어에 대한 학습자의 블러핑(Bluffing)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Bluffing on Geographical Terms

  • 투고 : 2014.08.04
  • 심사 : 2014.08.26
  • 발행 : 2014.08.30

초록

본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채점에서 평가의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주제의 하나인 블러핑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먼저 연구자는 블러핑의 개념과 주요 유형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수준에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지리 교과의 주요 용어를 사례로 학습자의 블러핑 전략과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 보고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전체 학생들의 평균적 블러핑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학생의 블러핑율이 유사하다는 점, 최고 성적 집단의 블러핑율이 가장 낮았다는 점은 기존의 연구 보고와 유사하였다. 블러핑의 실제 유형은 크게 '발문의 반복 서술형', '기존 지식 편중형', '추상적 개념 활용형', '채점자 공감 유도형'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서답형 문항 채점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블러핑과 학생들의 성별 및 학령, 학습 성적 및 지적 수준,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 등과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블러핑 유형과 사례 분석 내용이 포함된 서답형 문항 채점 매뉴얼 개발 보급 및 채점 관련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적인 블러핑 유형 외에 지리 영역의 특수한 블러핑 유형을 탐구하는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luff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validity, reliability of scoring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The author identifies the conception of bluffing, and classifies major types of bluffing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heoretical level. Next, the author analyzes empirically the bluffing strategies and types of learners on key terms of Korean Geography subject.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bluffing score.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stent i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average bluffing score is similar between genders and that those students who got highest grades did least bluffing. Actually bluffing typ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peating the question' type, 'depending on a well-known or existing knowledge' type, 'applying some basic concepts regardless of understanding' type, and 'inducing scorer's basic beliefs' type. Some commen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es of the relations among bluffing and age, gender, grade, intelligence and learning styles. Second, it is required for scorers who score constructed-response items to develop and supply the scoring guide including analysis contents of bluffing types and cases, and increase opportunity for training. Third, we need to inquire the domain-specific bluffing types in geography subject based on the generalizable sample siz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