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structure of TV drink advertisement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ing

다차원척도법으로 알아본 음료 TV광고 인식구조: 주의 속성을 중심으로

  • 김은영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 이훈재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
  • 정상철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4.01.14
  • Accepted : 2014.03.21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Advertisement for one type of product competes against another type using different advertising strategies. It is important to know which factors influence people's perception of the message within the advertisement and their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ain factors were important when people perceive beverage advertisements on TV. A positioning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similarity ratings of 14 drink advertisements.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positioning map by asking a different group of participants to rate on components of attention,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and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in each advertisement. It was found that three dimensions in the map was attention to content, color, and motion respectively. More importantly, the attentional component to content was related to the attitude of affection and action toward a beverage introduced in advertis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based attention in advertisements induces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s.

본 연구는 한 제품 군(음료)의 다양한 TV 광고들을 대상으로 광고 수용자들이 어떤 속성을 중심으로 광고를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14개의 음료 광고들의 각 쌍에 대한 광고 수용자의 유사성 평정에 근거한 광고들의 포지셔닝 맵을 도출하였다. 광고 수용자의 인식 구조를 반영하는 포지셔닝 맵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각 광고에 대한 주의 요소, 태도, 구매의도에 대한 평정치와 포지셔닝 맵 상의 각 광고 위치 좌표 간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음료 광고인식 차원은 내용에 대한 주의, 색상, 움직임에 대한 주의 요소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주의 요소들 중 내용에 대한 주의가 강조될수록 광고에 대한 감성적, 행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구매 의도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를 끄는 내용이 담긴 광고가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영, 박장원, 이근영 (2006). 비교광고가 수용자의 감정, 태도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51-76.
  2. 김근배, 이훈영 (1995) 기준축의 회전을 고정시킨 MDS: 포지셔닝맵의 합성에 응용. 마케팅연구, 10(1), 1-17.
  3. 김순은 (2010). Q 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 1-25.
  4. 김은희 (2010). 뇌파(EEG) 측정을 통한 텔레비전 광고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8(1), 273-299.
  5. 김재선, 정진택 (2002). 정교화가능성모형에서 주변단서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5, 149-172.
  6. 김정수 (2003).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우유제품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호, 부수현, 김재휘 (2007). 광고의 깊이지각 단서가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아이트래커 활용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9(2), 277-310.
  8. 김혜성 (2009). 대학생의 광고인식 유형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언론과학연구, 9, 170-207.
  9.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0. 박기용, 안성식, 정기용 (2006).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외식기업 경쟁요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9. 93-114.
  11. 박은아 (2006). 광고에 대한 인식요인과 전반적 광고태도의 관계 연구. 광고학연구, 17, 193-223.
  12. 성기혁, 우예순 (2011). 선호색, 자아 이미지색, 모노톤광고 선호색의 상관관계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35, 182-190
  13. 소현진, 박범순 (2011). 텔레비전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구조탐색, 광고연구, 88, 248-272.
  14. 안재현, 이주원, 변준영, 한상필 (2009). 인터넷 배너 광고의 시각적 자극 특성이 시각적 주의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과제와 시각적 복잡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4, 67-86.
  15. 이민우 (2010). 광고에 대한 소비자반응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4, 402-416.
  16. 정성호 (2005). 광고소비자의 광고인식에 대한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6, 251-273.
  17. 정철근, 최인혁 (2007). TV 광고의 지각 차원과 효과: Schlinger's VRP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8, 57-79.
  18. 조경섭, 석중건 (2007). 실버 시장의 광고 커뮤니케이션 수용 특성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8, 39-69.
  19. Baker, M. J., & Gilbert A. C. Jr. (1977).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 538-555. https://doi.org/10.2307/3151194
  20. Mehta, A. (2000). Advertising attitude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0, 67-72. https://doi.org/10.2501/JAR-40-3-67-72
  21. Moore, R. S., Stammerjohan, C. A., & Coulter, R. A. (2005). Banner advertiser-web site context congruity and color effects on attention and attitudes. Journal of Advertising, 34, 71-84. https://doi.org/10.1080/00913367.2005.10639189
  22. Olney, T. J., Holbrook, M. B., & Batra, R. (1991).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The effects of Ad content, emotions, and attitude toward the Ad on viewing tim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 440-453. https://doi.org/10.1086/208569
  23. Petty, R. E., & Cacioppo, J. T. (1986).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9, pp.123-205).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4. Pollay, R. W., & Mittal, B. (1993). Here's the Beef: Factors, Determinants, and Segments in Consumer Criticism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57, 99-114. https://doi.org/10.2307/1251857
  25. Ray, M. L., & Batra, R (1983). Emotion and persuasion in advertising.: What we do and do it know about affec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543-548.
  26. Reeves, B., & Nass, C. I. (1996).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Stanford, 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Wang, M. (2003). Influence of the Story-Form Advertising on Consumer's Attitude. Master's Thesis, Soochow University,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