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 Shin, Hyun-Tak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Yi, Myung-Ho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ang-Hye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 Sung, Jung-W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 Kim, Ki-So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 Kwon, Yeong-Ha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Kim, Sang-Ju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An, Jong-Bi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Heo, Tae-Im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Yoon, Jung-Wo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신현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 이명훈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 이창현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 성정원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 김기송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 권영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 김상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 안종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 허태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 윤정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 보존과)
  • Received : 2014.02.24
  • Accepted : 2014.03.10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May 2012 to November 2013. Vascular plants based on voucher specimen were summarized as 313 taxa including 79 families, 211 genera, 272 species, 4 subspecies, 32 varieties, 4 forms and 1 hybrids. The rare plant specie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8 taxa including Galium boreale L.,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Eranthis stellata Maxim. and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etc. Endemic plant species were 4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Kimura, Clematis trichotoma Nakai, Philadelphus schrenkii Rupr. and Cirsium setidens (Dunn) Nakai. Furthermore, 51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 species based on phytogeographical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s 11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ded as 3.51%, and 3.43%, respectively.

본 연구는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79과 211속 272종 4아종 32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3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긴잎갈퀴, 가시오갈피,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 등 총 8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고광나무, 고려엉겅퀴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1%, 3.43%로 나타났다.

Keywords

서 언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 산 43번지에 위치하며, 해발 1,000 m가 넘는 대암산(1,304 m),도솔산(1,148 m), 대우산(1,178 m) 등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대암산, 도솔산 및 대우산 지역은 동물과 식물의 분포상, 지형, 지질 및 기후적 특성, 대표적 고층습원 및 임상의 특성으로 1973년 7월 10일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제 246호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또한 해안면 만대리 일대는 군사분계선의 인접지역에서 군사작전상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남방한계선으로부터 5~15 ㎞ 범위에 설정해 놓은 선(민간인통제선)의 이북지역인 민통선지역이다. 이러한 민통선지역은 50년 이상 군사활동을 제외한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고 한국의 고유한 야생동식물의 피난처인 DMZ 지역에 인접하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높고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유지되고 있는 지역이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 인근지역의 최근 연구사례를 보면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에 의해 대암산·대우산·도솔산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 등이 조사되었고,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에 의해 백석산, 대암산, 건봉산, 향로봉 등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 등의 조사가 이뤄졌다. 특히 대암산의 경우 대암산 및 고층습원에 대한 식물상 및 식생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Kang and Kwak, 2000; Min et al., 2000; Kim et al., 2005). 이처럼 대부분의 조사가 산지 및 습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후 식물상 현황, 희귀식물,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및 귀화식물 등을 파악하여 조성부지의 기초자료 구축및 기존의 식물자원을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는 2012년 5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총 7회 전수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강원도 양구군 만대리 산43번지 일대로 해발고도는 570~630 m, 면적은 180,000 ㎡이다(Fig. 1).

Fig. 1.The map of the surveyed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관속식물은 부지내에서 모든 분류군을 채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종의 동정은 현지에서 수행하거나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채집 후 건조표본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동정 및 분류는 Lee (2003a; b), Lee (2006a; b), 일부 양치류의 동정은 Korean Fern Society (2005)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의 표본은 영남대학교 조경식물생태연구실에 소장 중이며, 국립 DMZ자생식물원이 개원되면 옮겨질 예정이다. 식물목록은 확증된 증거표본의 동정된 종만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류군의 배열은 Engler (Melchior, 1964)의 체계에 따라 작성하였다.

식물명과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http://www.nature.go.kr/kpni/)을 따랐으며, 과내의 학명은 알파벳순으로 정리를 하였다.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 따라 작성하였고, 특산식물은 Oh et al. (2005),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Kim (2000),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작성하였다. 특히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원산지, 생활형, 귀화도, 이입시기를 구분하였고, 귀화도는 Kariyama and Kobatake (1988)의 문헌을 따랐다. 귀화율 (NI: Naturalized Index)과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는 각각 Numata (1975)와 Yim and Chun (1980)의 문헌을 따랐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9과 211속 272종 4아종 32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3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957분류군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http://www.nature.go.kr/ kpni/)의 6.3%에 해당한다. 이중 목본식물(Woody plants)은 총 313분류군 중 73분류군(23.3%), 초본식물(Herbaceous plants)은 240분류군(76.7%)이 확인되었다. 또한 양치식물(Pteridophyta)은 7과 9속 10종 2변종의 12분류군, 나자식물(Gymnospermae)은 1과 1속 1종의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피자식물(Angiospermae)은 71과 201속 261종 4아종 30변종 4품종 1교잡종의 30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식물 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분류군은 국화과(Compositae) 식물로 37분류군(11.8%)이며, 백합과(Liliaceae) 식물이 23분류군(7.3%), 장미과(Rosaceae) 식물이 18분류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Table 1.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본 대상지와 가장 가까운 대암산, 도솔산, 대우산지역이 조사된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의 문헌에서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토대로 재작성한 결과 총 52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대암산은 420분류군, 도솔산은 286분류군, 대우산은 3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암산의 420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두 개의 지역이 본 조사 보다 분류군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본 조사에서 47 분류군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대상지 일대는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서어나무, 가래나무, 왕느릅나무, 소나무 등의 혼효림지역이나 활엽수의 비중이 높으며 계곡부, 남서사면 및 북서사면 등지로 다수의 희귀·특산·특정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다. 특히 좁은 면적에 비해 많은 분류군수가 나타나 종다양성이 높기에 식물원 조성 시 불필요한 훼손 행위를 줄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은 취약종(VU)인 긴잎갈퀴(Galium boreale L.)와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2분류군, 약관심종(LC)인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과남풀(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Hara), 나도개감채(Lloydia triflora (Ledeb.) Baker),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6분류군등 총 8과 8속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의 문헌에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37분류군 중 대암산에서 백작약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닻꽃(Halenia corniculata (L.) Cornaz), 분홍바늘꽃(Epilobium angustifolium L.) 등으로 총 33분류군, 도솔산에서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 Nakai),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정향나무(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M.Y.Kim) 등 총 16분류군, 대우산에서 나도옥잠화(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연영초(Trillium kamtschaticumPall. ex Pursh) 등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도깨비부채, 금강제비꽃, 과남풀 등 3분류군은 4개 대상지에서 공통으로 확인되었으며, 긴잎갈퀴와 가시오갈피는 본 대상지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3), Az: Daeamsan, By: Dosolsan, Cx: Daeusan, Dw: This study. vDe.: Degree, uCR: Critical Endangered, tEN: Endangered species, sVU: Vulnerable, rLC: Least Concerned, qDD: Data Deficient.

긴잎갈퀴는 낙엽활엽수림 하부에서 소수의 개체를 확인하였으며 양호한 생육상태를 보였고, 너도바람꽃과 나도개감채는 계곡부 주위에 다수의 개체를 확인 하였다. 또한 가시오갈피는 본 대상지의 습한 바위지대 주변으로 3개체가 발견 되었으며 식물 식재지 주변에 있어 향후 훼손의 정도가 높아 현지내·외 보전에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산식물

본 대상지에서 확인된 한반도 고유식물인 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Dunn) Nakai)로 4과 4속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의 문헌에서 특산식물은 총 2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대암산에서 18분류군, 도솔산에서 9분류군, 대우산에서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광나무는 4개 대상지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고광나무와 할미밀망은 소수 개체가 식물 식재지 주변의 산지 경계부분에서 생육중이며, 고려엉겅퀴는 초지 부분에서 다수의 개체를 확인하였다. 특히 키버들의 경우 조성부지 도로 인근에 분포하여 훼손 정도가 높아 이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3), zA: Daeamsan, yB: Dosolsan, xC: Daeusan, wD: This study.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은 본 대상지에서 총 51 분류군을 확인하였다. Ⅴ등급은 가시오갈피로 1분류군, Ⅳ등급은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 도깨비부채, 나도 양지꽃(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긴잎갈퀴,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등 총 5분류군, Ⅲ등급은 분버들(Salix rorida Laksch.), 참조팝나무(Spiraea fritschiana Schneid), 나도개감채 등 총 12분류군, Ⅱ등급은 난티나무(Ulmus laciniata (Trautv.) Mayr),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Hara), 처녀치마 (Heloniopsis koreana Fuse & N.S.Lee & M.N.Tamura) 등 총 11 분류군, Ⅰ등급은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물양지꽃(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퉁둥굴레(Polygonatum inflatum Kom.) 등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Appendix 1).

Table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zA: Daeamsan, yB: Dosolsan, zC: Daeusan, wD: This study, vDe.: Degree.

귀화식물

본 대상지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토끼풀 (Trifolium repens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 등 총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본 대상지의 귀화율은 3.51%, 도시화지수는 3.43%로 분석되었다.이 결과 귀화율은 우리나라 산지 지역의 평균 귀화율 10.3%(Koh et al., 1995)보다 낮은 수치로 교란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의 문헌에서 귀 화식물은 총 18분류군(귀화율: 3.44%, 도시화지수: 5.61%)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대암산에서 14분류군(귀화율: 3.33%, 도시화지수: 4.36%), 도솔산에서 15분류군(귀화율: 5.24%, 도시화지수: 4.67%), 대우산에서 9분류군(귀화율: 2.99%, 도시화지수: 2.80%)이 확인되었다. 4개 대상지에서 토끼풀,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L.), 돼지풀,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6분류군이 공통으로 확인되었으며, 흰명아주, 아까시나무,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등 3분류군은 본 대상지에서 확인되었다. 돼지풀은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 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4)로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어 분포지 파악 후 물리적인 제거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국립 DMZ자생식물원이 개원할 경우 도로개설, 방문객, 물자이동 등으로 인해 귀화식물의 이입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귀화식물 제거작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zOrig.: Origin, yL-f: Life-form, xN.D.: Naturalized degree, wInt.-p.: Introduced period, vA: Daeamsan, uB: Dosolsan, tC: Daeusan, sD: This study, rEu: Europe, qEu-As: Europe-Asia, pnA: north America, oEu-Af: Europe-Africa, nAn: Annual, mPe.: Perennial, lBien.: Biennial, kTr.: Tree.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본 대상지에서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7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활형은 2년생 초본이 4분류군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화도는 5등급이 1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이입 시기는 1기가 8분류군으로 가장 많았다(Table 5).

References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Report Survey and Study of Daeamsan.Dosolsan Natural Reserv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p. 1-297 (in Korean).
  2. Kang, S.J and A.K. Kwak. 2000.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2):117-131 (in Korean).
  3.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4. Kim, B.W., J.S. Lee and Y.J. Oh. 2005. A study on the flora in the Mt. Daeam high moor. J. Environmental Science 11(1):1-8 (in Korean).
  5.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6.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I)-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74 (in Korean).
  7.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0.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11.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12.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11.41.1.087
  13.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I. Gyohaksa, Seoul, Korea. pp. 1-975 (in Korean).
  14.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Seoul, Korea. pp. 1-885 (in Korean).
  15. Min, W.K., C.S. Chang, J.I. Jeon, H. Kim, D.Y. Choi and S.S. Jung. 2000. Flora of Mt. Dae-am-san.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0:38-82 (in Korean).
  1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http://www.me.go.kr/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logical Survey on the DMZ area, in Korea -Ecological Survey in North Region of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282 (in Korean).
  19.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1-160.
  20.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lishing Co., Seoul, Korea. pp. 1-205 (in Korean).
  21. Yim, Y.J. and E.S. Chu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Botany 23(3-4): 69-83 (in Korean).

Cited by

  1. Vascular Plants of Hak Reservoir Valley in Korea DMZ Area vol.28, pp.4,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5.28.4.475
  2.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vol.29, pp.2,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2.264
  3.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egraded Environments Near DMZ in the Republic of Korea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5.18.1.135
  4.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가 수용력 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vol.48, pp.2, 2014,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