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Ontological Space

존재론적 장소개념에 의한 전통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 이옥재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학과) ;
  • 김문덕 (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5.29
  • Accepted : 2014.07.11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Nowadays when the social and cultural paradigm is changing, the incomplete space is becoming a matter of controversy. In order to figure out the solutions to it, are being held a variety of spatial discourses for spatial essence and meaning to be cleared. Accordingly, this study has tried to seek for any probability to interpret the ontology shown at any traditional space on the ground of Heidegger's Ontological Thinking Structure which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Modern Space, whose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Heidegger's ontological space theory, which provided a foundation of Placeness concept, includes not only the character of interdisciplinary learning among philosophy, arts and any related studies but also that of mutual oriental and occidental cultures. Second, between the thoughts of Heidegger and Lao-tzu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from the methodical viewpoint that materializes the meaning of existence as an essence. Third, for a convenient interpretation, the ontological spatial concept of Lao-tzu's philosophy shown at traditional spaces have been categorized into Typology-Incident, Morphology-situation and Topology-meaning generation with Schultz's Existential Spatial Concept based on Heidegger's Ontology as a medium. In particular, the meaning generation which materializes the placeness has the trait of being clarified as the product of interactions between incidents and situ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걸, 한.중.일의 공간조영, 도서출판 국제, 2006
  2. 김개천, 명묵의 건축, 안그라픽스, 2004
  3. 김봉렬,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돌베개, 2006
  4. 김용정, 동서사상의 만남과 한국, 도서출판 일념, 1982
  5. 김형효, 도가 사상의 현대적 독법, 도가철학 제2집
  6. 남만성, 노자 도덕경, 을유문화사, 서울, 1970
  7.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서광사, 2003
  8. 이수정, 하이데거-그의 물음들을 묻다, 생각의 나무, 2010
  9. 주남철, 한국건축의자, 일지사, 1994
  10. 한국하이데거학회, 하이데거철학과 동양사상, 철학과 현실사, 2001
  11. C. N. Schulz, Meaning and Place, Rizzoli, New York, 1993
  12. C. N. Schulz, Concept of Dwelling, Rizzoli, New York, 1994
  13. M. Heidegger, Die Grundprobleme der Phanomenlogie (SS.1927)
  14. C. N. Schulz, 건축론, 정영수 역, 세진사, 1987
  15. C. N. Schulz, 실존.공간.건축, 김광현 역, 태림문화사, 2002
  16. Edward Relph,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외 2인 역, 논형, 2005
  17. 강인보, Christian Norberg-Schulz의 현상학적 건축이론에 근거한 실존적 의미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1998
  18. 윤영선, 노자사상의 유기적 원리를 통한 건축공간구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 2호, 1997.10
  19. 이배화, 한국 전통건축에 나타난 공간구성의 유형학적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2호, 1998.2
  20. 이정민, 현대의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연관된 공공디자인의 신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통권92호, 2012.6
  21. 최정화, 노자사상에서 본 현대 미니멀리즘건축의 경향에 관한 고찰, 동아대 석사논문, 2003
  22. 하헌정 유인호, 병산서원의 배치형태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호, 2003.1
  23. 하헌정, 한국 불사의 건축공간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박사논문, 1996